[파이낸셜뉴스]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개월 만에 둔화세를 멈췄다. 미 노동부는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월(2.4%)에 비해서는 0.2% p 상승했다. 지난 3월 전년 대비 3.5%를 기록한 후 9월까지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던 미국 CPI 상승률이 10월 들어 7개월 만에 반등한 것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7월 이후 4개월째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주거비 가격이 전월 대비 0.4% 오르면서 전체 물가지수 상승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변동성이 큰 식품 및 에너지 비용을 제외한 근원 CPI는 1년 전보다 3.3% 상승했다. 근원물가지수는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보여주는 지표다. 전월 대비 근원물가지수는 0.3% 오르며, 3개월째 같은 수준을 이어갔다. AP통신은 "장기적으로 이러한 속도의 근원물가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를 초과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승리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선 물가 동향에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앞서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정책과 감세정책, 이민자 정책 등 핵심 공약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다만 이날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와 근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과 전월 대비 상승률 모두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시장에 안도감을 줬다는 평가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2024-11-13 23:58:41[파이낸셜뉴스]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달 소폭 반등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월과 9월에 다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양호한 기상여건에 농산물 가격이 오름세가 둔화한 가운데 지난해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에 수렴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품목별 머신러닝 예측을 통한 단기 물가전망’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이달 2%대 초반, 9월 2% 내외로 둔화할 전망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6%를 기록하며 전월(2.4%)에 비해 소폭 상승했으나 다시 하향 안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8~9월중 2.1% 내외 수준에서 내림세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품목별로 보면 최근 유가가 다소 하락한 가운데 양호한 기상여건 등으로 농산물가격도 둔화되면서 농산물·석유류 등 비근원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근원상품 가격 상승률은 더딘 수요회복의 영향으로 당분간 1% 후반 수준을 유지하고 집세를 제외한 근원서비스 물가는 2%대 중반 수준에서 둔화할 예정이다. 집세는 그간 전세가격 상승세 등이 반영되면서 낮은 수준에서 완만한 오름세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이번 전망에서 단기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머신러닝 기법과 상향식 추정을 결합한 예측모형을 사용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세부 품목군 별 가격변화를 보루타-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으로 예측한 후 이를 가중합산해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의 단기 흐름을 전망하는 방식이다. 총 2300개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평균 예측 오차가 당월(20일경) 예측시 0.14%p로 기존 연구 대비 30~60% 수준이라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동재 한은 인천본부 인천업무팀 과장은 “상향식 머신러닝 예측에는 개별 품목 단위의 물가 흐름과 연관성이 높은 정보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됐다”며 “예측의 정확성 외에도 상향식 방식은 직접 예측방식과 달리 품목군 별 물가상승률 예측치를 도출하고 변동요인을 점검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달 및 다음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세에는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할 예정이다. 특히 8월부터는 전년 동월 유가·농산물가격의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한은은 11월 이후에는 지난해 연말 유가하락 등이 반대 방향의 기저효과로 작용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둔화세를 다소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이 과장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일시 반등하였으나 부문별 물가 상황과 머신러닝 및 기저효과를 통한 단기 예측을 바탕으로 평가해 볼 때, 앞으로 물가 흐름은 공급충격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한 목표 수준을 향해 안정적으로 수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지정학적 정세, 기상여건, 공공요금 인상 시기·폭 등에 따라 농산물·석유류 등 비근원품목의 월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리스크가 남아있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8-25 16:17:43[파이낸셜뉴스]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024년 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3개월 전 전망치인 2.1%보다 0.4%p 상향된 것이다. 2025년 전망치는 2.1%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4년 2.6%, 2025년 2.1%로 내다봤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5-23 09:51:58#OBJECT0# [파이낸셜뉴스] 떡볶이·김밥·햄버거 등 서민들이 즐겨 찾는 외식 물가가 치솟고 있다. 이들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도는 현상이 35개월째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P) 높았다. 이로써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이 2021년 6월부터 35개월째 이어졌다.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절반 정도인 19개가 평균을 상회했다. 떡볶이가 5.9%로 가장 높고 △비빔밥(5.3%) △김밥(5.3%) △햄버거(5.0%) △도시락(4.7%) △칼국수(4.2%) △냉면(4.2%) 등 순이다. 외식 품목 중 물가가 하락한 품목은 없다. 다만 외식 물가 상승률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 간의 격차는 0.1%P까지 좁혀져 2021년 6월 역전 현상이 발생한 이후 격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4.3%, 2월 3.8%, 3월 3.4%, 4월 3.0% 등으로 둔화세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26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돌다가 지난 2월에 역전돼 지난달까지 석 달째 전체 평균을 밑돌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6%로 전체 평균보다 1.3%P나 낮았다. 세부 품목 73개 중 35.6%인 26개는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설탕이 18.6%로 가장 높고 이어 △소금(17.4%) △양주(10.6%) △건강기능식품(8.7%) △발효유(6.7%) △우유(6.2%) 등 순이다. 반면에 소주(-1.3%)와 밀가루(-2.2%), 라면(-5.1%), 김치(5.5%) 등 26개 품목은 물가가 내렸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식품·외식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며 외식물가는 더 오를 전망이다.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이 지난달 바른김밥 등의 가격을 인상했고 치킨 프랜차이즈인 굽네는 9개 메뉴 가격을 1900원씩 올렸다. 맥도날드도 지난 2일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올렸고 피자헛도 같은 날부터 갈릭버터쉬림프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 달 가나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한훈 차관 주재로 식품·외식기업 관계자들을 불러 간담회를 열고 물가안정을 위해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4-05-06 14:04:43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9%를 기록하며 3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사과는 80%, 배가 102% 오르며 과일 값 강세가 지속됐다. 국제유가가 출렁이며 석유류도 2개월 연속 상승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9(2020년 100)로 1년 전보다 2.9% 올랐다. 2~3월 연달아 3%대를 나타냈던 물가는 3개월 만에 2%대에 재진입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동월 대비 10.6% 상승했다. 사과(80.8%)와 배(102.9%) 등 과일 값 오름세가 컸다. 특히 배 가격은 1975년 1월부터 시작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축산물(0.3%), 수산물(0.4%)은 안정적 흐름을 보였다.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석유류도 지난 3월 14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후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석유류는 지난달 1.3% 상승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통계심의관은 "정부의 긴급안정자금이 지원되기는 하지만 사과나 배는 저장량과 출하량이 적다 보니 가격이 크게 떨어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외생변수인 석유류 가격을 주의해서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3%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5%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보다는 3.7% 하락했지만, 작년동월 대비로는 19.1% 오르면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으로 구성돼 밥상물가와 직결된다. 사과, 배를 중심으로 신선과실이 38.7% 상승하면서 3월(40.9%)에 이어 40% 안팎의 오름세를 유지했다. 신선채소는 12.9% 올랐다.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2%대 물가가 안착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대통령실은 범부처를 아우르는 민생물가 태스크포스(TF) 등을 구성,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첫째로 가격변동 폭이 크거나, 둘째 국민 체감이 높거나, 셋째 전체 물가에 영향이 큰 품목 등 핵심품목을 중심으로 물가 대응방안을 논의하겠다"면서 "특히 개별가격 차원의 접근이 아니라 비용, 유통 공급구조 및 해외 요인의 파급경로 등 구조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날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6%, 물가상승률은 2.6%로 전망했다. 성장률 전망치를 2월 전망치(2.2%)보다 0.4%p 상향한 가운데 물가상승률은 종전(2.7%)보다 0.1%p 내려 잡았다. OECD는 내년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0%까지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김학재 기자
2024-05-02 18:34:19올 2, 3월 두달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였던 물가가 4월 2%대로 내려앉았다. 정부는 5월 이후 물가는 굴곡은 있겠지만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류 가격 상승을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이 상쇄하고 있고, 근원물가도 2%대 초반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 하지만 변동폭이 컸던 4월 국제유가는 시차를 두고 5월 이후 물가에 반영된다. 기상여건도 불확실하다. 물가당국의 각종 억제책에도 외식물가는 여전히 들썩이고 있다. ■예상 부합하지만 체감은 "아직…"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다. 시장의 예상과 맞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4월 물가상승률 둔화 정도는 당초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했다. 물가가 다시 2%대로 하락한 것은 정부가 정책역량을 집중시킨 효과가 컸다.'금(金)사과' 수준인 사과 값 등을 낮추기 위해 긴급안정자금을 투입하고 할당관세 품목을 확대했다. 4월 사과 가격은 1년 전 대비 80.8%, 배 가격은 102.9% 올랐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지난 3월 6일 이후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은 2000억원 이상 투입됐다"고 밝혔다. 할당관세 적용을 통한 가격상승 억제에도 나섰다. 지난달 24일 정부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물가안정 관련 현안 간담회'를 열고 배추, 양배추, 당근, 포도, 마른 김 등에 할당관세를 신규 적용키로 했다. 또 대중성 어종 6종(명태, 고등어, 오징어, 갈치, 조기, 마른 멸치)은 비축물량 1960t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정책효과는 물가지표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4월 농축수산물 가격 인하가 석유류 상승을 상쇄하는 형태다. 전월 대비로 4월 농축수산물 가격은 2.4% 하락했다. 반면 석유류는 1.6% 올랐다. 지표상 2%대 후반 물가지만 체감은 여전한 '고물가'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과일 값 강세에 대해 "긴급안정자금이 지원되기는 하지만 사과나 배는 저장량과 출하량이 적다 보니 가격이 크게 떨어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새로 출하될 때까지는 가격이 유지되지 않겠나 싶다"고 말했다. 체감물가 가늠자인 외식물가도 지난 3월 3.4%(전년동월비)에서 4월 3.0%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정책역량 집중…유가 등 변수 여전기재부 관계자는 "물가가 둔화 흐름을 재개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추세적인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지수)가 소비자물가보다 낮은 상승률(3월 2.4%, 4월 2.3%)을 보이는 등 하향 안정세라고 했다. 또 가계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도 4월 3.5% 상승, 지난 3월(3.8%) 대비 낮아졌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는 여전히 물가가 다시 불안해질 수 있는 요인이다. 통상 유가는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된다.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는 올 1월 평균 배럴당 78.9달러였지만 3월 84.2달러, 4월 89.2달러까지 상승했다. 다소 안정세지만 지난달 장중 한때 1400원까지 치솟은 원·달러 환율도 변수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수입물가 상승은 다시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린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물가흐름은) 굴곡 있는 (울퉁불퉁한) 모습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가 또 3% 이상을 찍을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정책역량을 한층 더 집중시킬 방침이다. 석유류 가격 안정을 위해 4월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인하조치를 6월 말까지 2개월 연장했다. 알뜰주유소 가격을 시중 대비 30~40원 낮게 유지하는 방침도 내세웠다. 5월 도시가스 요금도 동결된다.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 1년 동안 동결돼 5월 인상이 유력했다. 농식품부는 과일, 채소류의 가격안정대책을 더욱 강화한다. 5월 소비 비중이 큰 참외·수박 등 제철 과채류와 전통시장에 대한 지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사과 대체재로 바나나, 키위, 체리 등 11개 과일에 대한 직수입 할인공급은 6월 말까지 5만t가량으로 늘려나간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공정위 등을 통한 범물가안정책 시행에도 나섰다. 지난달 30일 공정위는 '민생 안정을 위한 시장감시 및 경쟁 촉진 강화 방안'을 내놨다. '시장 모니터링 전담팀'을 구성해 먹거리, 생필품, 서비스 등 민생과 밀접한 분야에서 담합이나 재판매 가격 유지 행위 등 불공정행위가 있는지 감시하는 게 핵심이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이창훈 기자
2024-05-02 18:31:05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아득히 웃돌며 역대 최대 격차를 기록했다.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은 40.6%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보다 37.5%p 높았다. 과실 물가 통계가 잡히기 시작한 1985년 1월 이후 약 40년 내 최대 격차다. 2%대 안팎을 오가며 안정세에 접어드는 소비자물가와 달리 과일 물가는 여전히 널뛰기를 하고 있다.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이 40.6%로 1991년 9월(43.7%) 이후 32년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특히 사과 물가 상승률은 71.0%로 1999년 3월(77.6%)과 작년 10월(74.7%)에 이어 역대 세 번째 70%대로 올라섰다. 사과 가격 폭등은 이상기온으로 사과 수확량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다만 사과 가격이 오르며 대체재인 다른 과일 가격도 덩달아 오름세에 올라타는 모양새다. 배 물가 상승률은 61.1%로 1999년 9월(65.5%) 이후 24년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복숭아 물가 상승률이 63.2%로 1976년 7월에 기록한 기존 최고치(61.2%)를 경신했다. 이 밖에도 감(55.9%), 참외(37.4%), 귤(78.1%) 역시 역대 최고 폭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은 품목조차 수박(51.4%), 딸기(23.3%), 체리(28.0%) 등으로 3%대의 소비자물가와 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다. 반면 과일가공품은 신선과일류 대비 낮은 6.8%의 인상률을 기록했다. 주스류 역시 2.6%로 소비자물가 인상률보다 낮다. 검역 등의 요인으로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신선과일에 비해 외국산 원자재 도입에 어려움이 적어서다. 농식품부는 올해 설 성수기에 690억원을 투입해 농축산물 할인행사를 지원한 데 이어 이달과 다음 달에도 농축산물 납품단가 인하와 할인 지원에 모두 43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올해 할인지원 예산 1080억원 가운데 920억원가량을 상반기에 소진하는 셈이다. 수입 등 공급확대도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통상 검역협상 완료에 8.1년이 소요됐다"며 "과학적 입증 과정이 필요한 만큼 검역협상 완료 시점을 속단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4-03-12 18:44:50[파이낸셜뉴스] 2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024년 성장률을 2.1%로 전망했다. 2025년 전망치는 2.3%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4년 2.6%, 2025년 2.1%로 내다봤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02-22 09:54:22[파이낸셜뉴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만에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농산물 가격 등이 지난달에 이어 두자릿수 급등하는 등 기록하는 등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2일 통계청의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1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올랐다. 지난해 7월(2.4%) 이후 가장 낮은 상승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2.4%까지 둔화했다가 8월 3.4%로 오른 후 5개월 연속 3%대를 이어갔다. 지난해 기상 이변이 반복되면서 농산물 생산량은 물론 품질이 떨어지면서 가격이 급등한 데다 이스라일 하마스 사태 이후 국제 유가도 불안한 모습을 보여서다. 정부는 올해 초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6%로 제시했다.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여파로 올해 초반엔 3% 수준을 유지하다가 하반기 이후 2%대 초반으로 낮아질 것으로 봤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상승률은 2.6%로, 전월(3.1%) 대비 0.5%p 하락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농산물은 15.4% 올라 지난달(15.7%)에 이어 두 달 연속 15%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24-02-02 08:19:46[파이낸셜뉴스] 11월 소비자 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올랐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2.3%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8월 3.4%, 9월 3.7%, 10월 3.8%로 상승 폭을 키웠다. 11월 상승률이 3.3%로 10월보다 상승 폭이 줄어든 데는 석유류 물가 하락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석유류 물가는 1년 전보다 5.1% 하락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6.6% 올라 전달보다는 상승 폭이 줄었지만, 신선식품 지수는 12.7% 올라 지난달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23-12-05 0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