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광주=장충식 기자】경기도 광주시는 시민의 생애주기 마지막을 책임지는 종합 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설치 후보지를 선착순 접수 방식으로 수시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장사복지 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화장로 5기 이상,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 등을 포함한 부지면적 5만~10만㎡ 규모의 종합 장사시설을 2030년 개원을 목표로 추진해 왔다. 이와 관련해 하남시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예산 절감 및 공동 활용 방안도 모색 중이다. 앞서 시는 지난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광주시 종합 장사시설 설치 후보지 공개모집'을 진행했지만, 접수된 신청지가 없어 접수 방식을 선착순 수시모집으로 전환하게 됐다. 신청서는 2025년 5월 2일부터 최종 입지 선정 시까지 접수가능하며 같은 날 접수된 신청지는 모두 동등하게 검토한다. 사전검토에서 미통과된 신청지는 지속적으로 접수가 가능하다. 시는 유치지역 및 인접 지역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며, 설치 행정리·통에는 50억원 이내 기금 지원사업, 카페·식당·장례식장 등 수익시설 운영권 부여, 종합 장사시설 사용료 면제, 시설 내 근로자 우선 고용 혜택 등이 제공된다. 경계 인접 행정리·통(같은 읍·면·동 소속)에도 50억원 이내 기금지원과 사용료 면제 혜택이 주어지며, 설치 읍면동 전체에는 50억원 이내 기금지원과 사용료 50% 감면 혜택이 부여된다. 유치를 희망하는 마을은 총 세대주의 60% 이상 동의서와 함께 유치신청서를 작성해 광주시청 노인장애인과 노인지원팀에 제출하면 된다. 공모에 참여하는 마을의 요청이 있을 경우 시는 주민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제출된 후보지는 사회적, 지리적, 경제적 요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광주시 종합 장사시설 건립 추진위원회의 서류심사 및 현장 심사를 거쳐 2025년 7월 중 최종 건립 대상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5-05-07 11:29:25[파이낸셜뉴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의 대학 입학 전형 중 수시모집이 80% 돌파했다. 전체 모집인원이 34만5717명으로 소폭 늘었음에도 정시모집은 6만8000명대로 줄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95개의 전국 회원대학이 제출한 '2027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취합해 4월 30일 공표했다. 이날 공표된 대입전형시행계획을 살펴보면, 우선 전체 모집인원은 34만5717명으로 2026학년도의 34만934명보다 538명 증가했다. 전체 모집인원 중 수시모집 27만7538명으로 전년 대비 1735명 증가했으며, 정시모집은 6만8134명으로 전년대비 1197명 줄었다. 비율로 따져보면 수시모집은 80.3%로 전년 대비 0.4%p 증가, 정시모집은 19.7%로 전년 대비 0.4%p 감소했다. 수시모집은 학생부 위주, 정시모집은 수능 위주의 선발 기조를 유지했다. 수시모집은 85.8%를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정시모집은 92.7%를 수능 위주전형으로 선발키로 했다. 이에따라 학생부 위주 전형이 1275명 늘었으나, 수능 위주 전형은 707명 줄었다. 권역별 전형별 모집인원을 살펴보면, 수도권 소재 대학 수시모집은 학생부교과 341명, 학생부종합 392명 등 학생부 위주 전형이 733명 증가했다. 정시모집은 수능위주 전형이 234명 줄었다. 또 비수도권소재 대학의 수시모집은 학생부교과 567명, 학생부종합 166명 등 학생부위주 전형이 733명 늘고, 정시모집은 수능위주 전형이 473명 감소했다. 이외에도 사회통합전형에서 기회균형선발 모집인원은 전체 3만7324명으로 전년대비 총 876명이 줄었다. 수도권 대학의 지역균형선발인 교과성적을 활용하는 학교장추천 전형 인원은 전년 대비 총 786명 증가했다. 또 지역인재 특별전형 모집인원은 2만7730명으로 전년대비 952명 증가했다. 한편, 대교협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각 대학이 대학교육의 본질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를 고려하고, 학교교육 정상화와 사교육비 절감, 대입전형 간소화, 공정성 확보 등의 원칙을 준수해 대입전형시행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4-30 09:17:03포스코스틸리온, GS리테일, HD현대오씨아이 등이 수시채용 및 채용형 인턴제 등을 통해 인재 확보에 나섰다. 20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포스코스틸리온은 2025년 상반기 생산기술직 수시채용을 실시한다. 모집분야는 △생산 △설비 △운전이다.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로 금속·화공·기계·전기 관련 전공자 또는 관련 자격증 소지자, 2025년 6월 초 입사가 가능한 자, 교대근무 가능자면 지원할 수 있다. 전문대학 이상 학력 소지자는 2025년 8월 졸업 예정자도 지원 가능하다. GS리테일은 2025년 상반기 수퍼사업부 채용형 인턴 및 경력사원을 채용한다. 초대졸 이상 및 2025년 8월 졸업 예정자로 2025년 7월 입사해 근무가 가능한 자, 채용연계형 인턴사원은 6월 인턴십 근무가 가능한 자, 경력은 대형 슈퍼마켓 2년 이상 경력 보유자면 지원할 수 있다. HD현대오씨아이는 2025년 경력사원을 채용한다. 모집 직무는 △설비 △공정기술 △영업이다. 학사 이상 학위 보유자로 관련 전공자, 2년 이상 경력 보유자면 지원할 수 있다. 단 영업은 전공과 무관하게 지원 가능하다. 신지민 기자
2025-04-20 18:33:16【파이낸셜뉴스 광주=장충식 기자】 경기도 광주시는 종합 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설치 후보지를 최종 입지 선정 시까지 수시모집으로 변경한다고 4일 밝혔다. 시는 생애주기 마지막을 위한 장사복지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부지면적 5만㎡~10만㎡ 부지에 화장로 5기 이상,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을 갖춘 종합 장사시설을 오는 2030년 개원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종합 장사시설 건립 시 사업비와 운영비 등 예산 절감을 위해 하남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12일부터 올해 1월 2일까지 '광주시 종합 장사시설 설치 후보지 공개모집' 재공고를 통해 2개 마을이 신청했지만, 주민 동의율 60% 미달 등 적격 신청지가 없어 논의를 통해 수시모집으로 설치 후보지 신청 방침을 변경했다. 수시모집에 따른 신청 기간은 3월 1일부터 최종 입지 선정 시까지이며 1차 접수는 오는 4월 30일까지다. 접수 서류 검토 후 광주시 종합 장사시설 건립추진위원회에서 최종 입지 선정하고 1차 접수 기간에 최종 입지 미 선정 시 2차 접수 예정이다. 또 종합 장사시설 유치에 따른 주민 지원도 기존 총 100억원의 주민 지원 사업 기금을 150억원으로 확대했으며, 주민수익시설 운영권에 장례식장 운영권도 추가했다. 이에 따라 유치지역(설치 행정리·통)에는 50억원 이내 기금 지원 사업과 카페, 식당, 매점, 장례식장 등 수익시설 운영권을 부여하고, 시설 내 근로자 우선 고용과 종합 장사시설 사용료 면제의 혜택을 제공한다. 유치지역 설치 부지와 경계를 맞닿은 행정리·통(설치 부지가 포함된 읍면동에 한함)에는 50억원 이내의 기금 지원사업 지원과 종합 장사시설 사용료 면제의 혜택을 제공하고, 해당 읍·면·동에는 50억원 이내의 기금 지원사업을 지원과 종합 장사시설 사용료 50%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유치를 희망하는 마을에서는 유치신청서와 함께 주민등록상 총 세대주의 60% 이상의 동의를 받아 광주시청 노인장애인과 노인지원팀으로 제출하면 된다. 또 공모 참여 마을 요청 시 주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주민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후보지는 사회적·지리적·경제적 요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광주시 종합 장사시설 건립 추진위원회의 서류심사, 현장 심사를 거쳐 2025년 7월 중 건립대상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5-03-04 11:51:06주요 대학들이 2026학년도 입시 전형 계획에서 1년 만에 대폭 변화를 예고했다. 일찍 모집을 시작하는 수시전형에서 대학측 논술시험이나 면접 비중이 커졌고, 수능에서도 각 대학별 가산점과 변환점수의 변동이 크다. 새 학기 시작 전부터 2026학년도 입시 변화를 두고 예비 수험생들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시립대 등이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을 점차 공지하고 있다. 사교육계에선 지난해와의 차이점을 토대로 입시전략을 차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수시모집에서 높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했던 고려대는 2026학년도부터 '등급컷' 완화에 나선다. 경영대학 논술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은 기존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4개 등급 합 5 이내'에서 '4개 영역 등급 합 8 이내'로 크게 낮췄다. 다른 모집 단위와 기준을 통일하며 수능 부담은 다소 줄었다. 추천(학생부교과) 전형과 학업우수-의예(학생부종합) 전형도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 시 탐구 영역 2개 과목 평균이 아닌 탐구 영역 1개 과목을 반영하기로 했다. 올해 수능에서 탐구영역 변별력이 컸던 것을 감안하면 내년엔 올해 입결과 다른 전략을 세워야 한다. 탐구 계열별 수능 응시 과목 지정은 정시와 수시 모두에서 폐지된다. 탐구영역과 무관하게 인문·자연계열에 교차지원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다만 과학탐구 응시자가 자연계열 지원 시 변환표준점수에 각 3% 가산점을 준다. 절대적인 표준점수의 높낮이와 가산점을 고려해 입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성균관대도 수시모집에서 큰 변화를 예고했다. 기존 논술우수(논술) 전형은 언어형과 수리형으로 나눠 선발한다. 탐구형(학생부종합)전형 진행 과정에서도 면접 전형을 없애고 대신 면접형-성균인재(학생부종합)전형을 새로 만들었다. 학생부 100%로 1단계를 선발한 후 다시 면접을 치러 학생부 70%, 면접 30%로 2단계를 선발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도입하지 않았다. 정시 (나)군 모집에선 표준점수와 변환표준점수가 아닌 '백분위'를 반영할 예정이다. 특히 한국사 영역은 반영 방식을 등급별 감점으로 바꿨다. 4등급까지 감점이 없어 최소 4등급을 받는 것이 유리하도록 설계됐다. 서울시립대는 수시 논술위주전형 모집에서 논술비중을 기존 70%에서 80%로 올렸다. 학생부 100%로 선발하던 지역균형선발(학생부교과)전형도 10%를 '교과정성평가'에 할당했다. 수시 모집에서 학생부 비중을 줄이는 추세다. 수능 반영 비중도 기준을 완화했다. 지역균형선발(학생부교과)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중 3개 등급 합 7 이내'에서 '3개 영역 등급 합 8 이내'로 낮아졌다. 수학 영역의 응시과목 지정도 폐지해 기준을 충족했다면 '확률과 통계' 응시자도 자연계열 모집 지원이 가능하다. 수능위주(일반)전형도 마찬가지다. 학생부종합Ⅱ(학생부종합)전형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없앴다.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는 "정시 지원 전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전년도 전형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변경된 점을 찾아내는 것"이라며 "차이점에 따른 입학 결과 변동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2-24 18:22:29[파이낸셜뉴스] 국립부경대학교는 13일 오후 2025학년도 수시 신입생모집 합격자 2952명을 확정해 발표했다. 전형별로 △교과성적우수인재전형 1364명 △일반전형 267명 △지역혁신인재전형 449명 △실기우수인재전형 19명 △학교생활우수인재전형 392명 △사회적배려대상자전형(Ⅰ·Ⅱ·Ⅲ) 123명 △평생학습자전형 22명 △농어촌인재전형 93명 △미래인재전형 55명 △특성화고교인재전형 33명 △특성화고교등을 졸업한 재직자전형 127명 △특수교육대상자전형 8명 등 총 2952명이다. 합격자 등록은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이며, 국립부경대학교 입학 안내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문서등록을 해야 한다. 추가 합격자는 19일부터 26일에 발표한다. 한편 2025학년도 정시 신입생모집은 오는 31일부터 2025년 1월 3일까지이며, 719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4-12-13 22:32:04[파이낸셜뉴스] 부산대학교는 13일 2025학년도 수시모집 합격자 2991명을 확정·발표했다. 지난달 19일 확정·발표한 실기전형 중 수능최저 미적용 학과·체육특기자전형 합격자 135명을 포함하면 총 3126명이다. 합격자는 전형별로 △학생부교과(학생부교과전형) 983명, 학생부교과(지역인재전형) 421명, 학생부교과(농어촌학생전형) 125명, 학생부교과(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11명 △학생부종합(학생부종합전형) 568명, 학생부종합(지역인재전형) 128명, 학생부종합(지역인재 저소득층학생전형) 5명, 학생부종합(사회배려자전형) 209명, 학생부종합(저소득층학생전형) 84명, 학생부종합(특수교육대상자전형) 21명 △논술(논술전형) 322명, 논술(지역인재전형) 37명 △실기/실적(실기전형) 77명이다. 이번 합격자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는 전형에서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한 지원자 중에서 전형요소 고득점자순으로 선발했다.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 전형에서는 전형요소 고득점자순으로 선발했다. 수시모집에서 미충원된 인원은 총 45명으로, 모집인원 대비 충원율은 98.6%이며 전년도 충원율은 99.0%였다. 수시모집 합격자는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합격자 온라인 문서등록을 해야 한다. 부산대는 합격자와 함께 예비후보자를 발표했는데, 합격자 온라인 문서등록 이후 미등록에 따른 충원 합격자는 19일부터 26일까지 3차에 걸쳐 발표할 예정이다. 충원 합격자 발표일은 1차 19일, 2차 23일, 3차 26일이다. 부산대 정시모집은 오는 31일부터 2025년 1월 3일까지 모집단위별로 가군 867명, 나군 675명, 다군 48명을 모집한다. 수시모집에서 이월되는 인원을 포함한 정시 최종 모집인원은 오는 30일 부산대 입학정보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4-12-13 22:27:29【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대는 지난 13일 2025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1811명 모집에 2만351명이 지원해 개교 이후 역대 최다 수험생이 몰리며 11.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쟁률 상승이 두드러졌다. 올해부터입학 후 2학년 진학 시 전공선택권을 보장하는 자유전공학부를 신설,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모집함에 따라 자유전공학부 역시 경쟁률 상승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학생부종합전형, 실기・실적전형 또한 평균 경쟁률을 웃도는 등 대부분 전형에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유아교육과(교과성적우수자)로 4명 모집에 207명이 지원, 51.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인문계열에서는 역사교육과 28.0대 1, 경영학부 25.9대 1(이상 교과성적우수자), 행정학과 25.5대 1, 정치외교학과 17.0대 1(이상 지역균형)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5대 1, 패션산업학과 18.5대 1(이상 자기추천)을 기록했다. 자연계열에서는 생명공학전공(교과성적우수자)이 26.3대 1로 가장 높은 가운데 자유전공학부 13.5대 1(이상 교과성적우수자), 생명과학전공 24.7대 1, 신소재공학과 18.5대 1 (이상 지역균형), 환경공학전공 22.4대 1, 건설환경공학전공 13.8대 1(이상 자기추천)로 경쟁률이 높았다. 예체능계열 중 유일하게 실기고사 없이 신입생을 모집하는 운동건강학부는 23.8대 1을 기록, 작년에 이어 학생부종합전형(자기추천)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였다. 실기우수자전형에서는 공연예술학과(42.8대 1), 체육교육과(15.3대 1), 서양화전공(13.8대 1)의 경쟁률이 높았다. 특히 인천대 공연예술학과는 수도권에 있는 공연예술계열 학과들 중 유일하게 국립대학에 설치된 학과로서 매년 연기자 등을 꿈꾸는 수험생들의 관심이 뜨겁다. 지역별 지원 현황으로, 인천(6728명, 33.1%)과 경기(6524명, 32.1%), 서울(2016명, 9.9%) 출신 학생들의 지원이 많았다. 인천대는 10월 11일(예체능계열), 11월 8일(자기추천 등)에 1단계 합격자를 발표한다. 예체능계열 실기고사는 10월 21일부터 종목별로 진행되고, 면접고사는 10월 26일(특기자, 체육교육과)과 11월 23일(자기추천 등)에 치러진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24-09-19 11:01:04[파이낸셜뉴스] 2025학년도 의과대학 수시모집에 총 7만명 이상이 지원했다. 지난해보다 1만5000여명이 늘어난 수치다. 14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전일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전국 39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대 제외·정원 내 기준)에 총 7만2351명이 지원했다. 전년(5만7192명)보다 1만5159명(26.5%) 많다. 지원자는 늘었지만 모집 인원이 늘어난 탓에 전체 경쟁률은 24.04대 1로 전년(30.55대 1)보다 하락했다. 올해 의대 수시 모집인원은 총 3010명이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으로 지난해(1872명) 대비 60.8%가 확대됐다. 권역별로 보면 경인권의 경쟁률이 77.01대 1로 가장 높았고, 서울권(35.77대 1), 지방권(14.79대 1)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가천대가 104.19대 1로 가장 높았다. 성균관대(90.1대 1), 중앙대(87.67대 1), 가톨릭대(65.3대 1), 아주대(59.35대 1), 인하대(49.86대 1) 순이다. 전형 유형별로 보면 성균관대 의대 논술전형이 412.5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방대학은 지원자 수가 지역인재 쪽에 편재돼 중복 합격으로 인한 합격선 변동이 예상된다"며 "수도권 학생 상당수는 논술전형에 지원했는데 이 학생들은 대체로 N수생으로 정시도 대비하고 있어 정시경쟁도 치열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blue73@fnnews.com 윤경현 기자
2024-09-14 09:53:17[파이낸셜뉴스]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 2025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이 8.57대 1로 역대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국립부경대 입학본부(본부장 공승표)는 13일 2025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2914명 모집에 2만4968명이 지원해 전체 경쟁률 8.57대 1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정원내 경쟁률은 9.10대 1(2,585명 모집/23,512명 지원)이었다. 올해 신설된 무전공 모집단위 중 자유전공학부는 교과성적우수인재전형에서 200명 모집에 1980명이 지원해 단일 전형, 단일 모집단위에서 지원자 수가 2000명에 달하는 기록을 보여 무전공 모집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해 국립부경대 수시모집 경쟁률은 전체 7.03대 1(,921명 모집/20,524명 지원), 정원내 7.37대 1(2598명 모집/1만9155명 지원)이었다. 전형별로는 정원 내 모집에서 교과성적우수인재전형 7.68대 1(1364명/1만478명), 일반전형 8.90대 1(216명/1923명), 지역혁신인재전형 8.63대 1(449명/3873명), 실기우수인재전형 23.95대 1(19명/455명), 학교생활우수인재전형 14.44대 1(392명/5661명), 사회적배려대상자Ⅰ전형 6.69대 1(103명/689명), 사회적배려대상자Ⅱ전형 18.95대 1(19명/360명), 사회적배려대상자Ⅲ전형 16대 1(1명/16명), 평생학습자전형 2.59대 1(22명/57명)이었다. 정원 외 모집에서는 농어촌인재전형 6.96대 1(93명/647명), 미래인재전형 4.15대 1(55명/228명), 특성화고교인재전형 11.97대 1(33명/395명), 특성화고교등을졸업한재직자전형 0.99대 1(140명/138명)이었다. 올해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등 취약계층에게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신설된 특수교육대상자전형은 6대 1(8명/48명)이었다. 경쟁률 상위 학과로 교과성적우수인재전형의 생물공학과 19.57대 1(7명/137명), 일반전형의 경제학과 14.40대 1(5명/72명), 지역혁신인재전형의 경제학과 16.40대 1(10명/164명), 학교생활우수인재전형의 국제지역학부 39.80대 1(5명/199명)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4-09-14 08:2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