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지난 23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본사 내 에코랩(ECOLAB)에서 자동차 카페트 제조사 '듀몬트(Durmont)', 업무지원사 '파아랑(Paarang)'과 독점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SK케미칼은 자사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PET) 소재인 '스카이펫 CR(SKYPET CR)'을 듀몬트에 독점 공급한다. 스카이펫 CR은 폐플라스틱을 분자 단위로 분해해 재활용하는 소재로 반복 재활용에도 품질이 유지돼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 구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SK케미칼과 듀몬트는 공동 개발을 통해 차량용 매트에 최적화된 스카이펫 CR 원사를 개발했으며 양산까지 완료했다. 듀몬트는 연간 약 700만대 규모의 차량 매트를 생산하는 유럽 최대 업체로 지난해 시장 점유율 40%를 기록한 '비셔-카라벨(Visscher-Caravelle Group)'의 자회사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유럽 주요 완성차 브랜드를 대상으로 스카이펫 CR 기반 차량 매트 공급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특히 스카이펫 CR로 제작된 차량 매트는 수명이 종료된 이후에도 해중합 과정을 통해 다시 소재화가 가능해 유럽연합(EU)의 '차량 순환성 및 폐차관리규정(ELV)'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유럽은 ELV 등 자동차 재활용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재활용 소재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해중합 기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지속가능한 소재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케미칼은 지난해 약 1300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 PET 상업화 설비를 갖춘 'SK산터우(SK Shantou)'를 설립했다. 또, 국내 울산 공장 부지 내에도 재활용 원료(r-BHET) 생산을 위한 리사이클 이노베이션 센터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 순환경제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6-25 08:57:16[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이 말레이시아 1위 기업과 손잡고 주방용품 소재 시장 공략에 나섰다. SK케미칼 말레이시아 주방용품 제조사 LH플러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코폴리에스터, 순환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등을 공급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LH플러스는 말레이시아에 위치한 플라스틱 소재 주방용품 제조사로 식음료 용기 등 연간 약 600만 개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기업이다. 주방용품 분야 말레이시아 내 생산 및 판매량 1위 업체로 유수의 글로벌 브랜드 기업에도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SK케미칼은 바이오매스를 함유한 코폴리에스터 '에코젠(ECOZEN)'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한 순환 재활용 페트 '스카이펫(SKYPET) CR'을 2027년까지 최대 2000t 이상 LH플러스에 공급키로 했다. 원료 2000t은 생수 1ℓ병 기준으로 약 1억개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이다. 또 양사는 에코젠, 스카이펫 CR 소재를 적용한 새로운 주방용품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글로벌 브랜드 기업을 적극 공략해 나가기로 했다. 에코젠은 유리와 같은 고급스러운 투명성을 구현하는 소재로 용기 속 내용물 확인이 가능해 식품용기로 다수 활용된다. 환경 호르몬의 일종인 비스페놀A를 함유하지 않아 조리도구, 주방 용품 등에도 적합한 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스카이펫 CR은 해중합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되는 재활용 소재다. 폐플라스틱을 분자 단위로 분해, 원료화해 생산되기 때문에 석유 기반 페트(PET)와 동일한 품질과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의류, 가구 등 일부 용도 중심으로 사용되는 물리적 재활용 플라스틱과 달리 식음료 용기, 식기 등 석유 기반 PET를 사용하는 대다수 용도에 사용될 수 있고, 위생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우려가 적은 것도 장점이다. 캘럼 챈(Callum Chen) LH플러스 대표이사는 "SK케미칼은 고내열, 투명성을 갖춘 코폴리에스터부터 순환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까지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며 "이번 MOU는 재활용, 바이오 등 소재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주방용품 브랜드사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응수 SK케미칼 그린소재사업본부장은 "아태지역 내 주방용품 산업군에서 재활용 플라스틱을 비롯한 환경성을 고려한 플라스틱 소재 채택률이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LH플러스와 협력해 소재부터 제품까지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주방용품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5-05-15 08:17:54[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지난 12~14일 중국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차이나 뷰티 엑스포 2024'에 참가해, 화장품 용기에 최적화된 친환경 소재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고 14일 밝혔다. 올해로 29회를 맞은 차이나 뷰티 엑스포는 전 세계 80여개국에서 40만명 이상이 찾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뷰티 산업 박람회다.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를 비롯해 연구개발·생산·포장 등 공급망 전반의 기업들이 참가해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소개했다. 올해에는 3200여개 전시업체와 1만개 이상 브랜드가 참가했다. 중국 코폴리에스터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인 SK케미칼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존하는 솔루션'을 슬로건으로 내세워, 다양한 프리미엄 화장품 패키징 솔루션을 전시했다. 특히 글로벌 브랜드와 공동 개발한 스킨케어 용기와 재활용 원료 기반의 포장재를 선보이며 현지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대표 제품인 '에코트리아 클라로'는 사용 후 페트(PET)로 분리 배출이 가능한 고기능성 코폴리에스터 소재로 △스킨·로션 병 △크림 자 △캡 △컴팩트 케이스 등 다양한 용기에 적용됐다. 특히 PET보다 뛰어난 투명도와 심미성을 갖춰, 고급 화장품 용기에 적합한 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폐플라스틱 재활용 원료를 70%까지 적용한 '클라로 CR70'도 함께 전시됐다. 이 소재는 재활용 PET를 원료로 사용하면서도 사용 후 재활용이 가능해, 플라스틱의 완전한 순환 구조 구현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외에도 △재활용 PET 소재 '스카이펫 CR'을 적용한 바디케어 용기 △100% 바이오 기반 폴리올 '에코트리온'을 활용한 쿠션 퍼프 및 인조가죽 부자재 등 다양한 친환경 포장 제품군이 함께 전시됐다. 김응수 SK케미칼 그린소재사업본부장은 "전 세계에서 매년 약 6만t의 화장품 용기가 폐기되지만, 90% 이상이 재활용되지 않는다"며 "해중합 기반의 순환 재활용 솔루션으로 고객사와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케미칼은 지난해 글로벌 화장품 용기 전문기업 톨리(TOLY)와 함께 클라로 CR70 기반 제품을 출시했다. 지난 2023년에는 에스티로더·연우·코스맥스 등과도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지속가능한 화장품 포장재 개발을 위한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5-14 08:59:08[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지난 23~25일까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25 자동차부품산업 지속가능경영(ESG)·탄소중립 박람회'에 참가해 자동차 분야 순환 재활용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업체와 정부 기관이 협력해 자동차 부품·소재 제조사의 ESG 및 탄소중립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SK케미칼은 전시를 통해 △폐차 부품 수거 △원료화 △소재 생산 △제품화까지 이어지는 '완결적 순환 체계 솔루션'을 소개했다. 특히 사용된 에어백을 수거해 해중합 기반 화학적 재활용 기술로 신제품 에어백을 재생산하는 과정을 시연해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해중합 기술은 폐플라스틱을 분자 단위 원료로 되돌려 반복 재활용해도 품질과 물성이 유지되는 것이 강점이다. 물리적 재활용에 비해 고부가가치 제품에 적용이 가능해, 자동차·전기전자 등 고도 기술 산업에도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K케미칼은 이 솔루션이 유럽연합(EU)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는 사용 종료 차량(ELV) 규제에도 최적화돼 있다고 설명했다. 박람회에서는 순환 재활용 페트(PET) 소재인 '스카이펫 CR'을 적용한 차량 내장재와 안전장비도 함께 공개됐다. △헤드라이너 △시트 △크래시패드 △플로어 매트 △도어 패널을 비롯해 안전벨트, 에어백으로까지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순환 재활용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CR PBT) 소재를 적용한 헤드램프 베젤 △단일 폴리에스터 소재로 재활용성을 높인 플렉시아(FLEXIA) 플로어 매트 △식물 기반 바이오 폴리올(PO3G) 인조피혁 등 다양한 친환경 신소재도 함께 소개됐다. 김현석 SK케미칼 리사이클사업본부장은 "EU ELV 규제 등 글로벌 탄소중립 기준이 갈수록 세분화되고 있다"며 "해중합 기술 기반으로 고도의 물성과 성능을 충족하는 재활용 소재를 자동차 업계에 적극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SK케미칼은 지난 2023년 세계 최초로 해중합 기반 순환 재활용 기술의 상업화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유색 용기·필름·섬유 등 다양한 플라스틱을 고품질 원료로 되살려 자동차·가전·패션 등 광범위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4-28 09:24:19[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이 아시아 최대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차이나플라스2025'에 참가해, 재활용 기반 친환경 소재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고 13일 밝혔다. '실현 가능한 지속가능성'을 핵심 메시지로, 이미 상용화된 순환소재 중심의 기술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SK케미칼은 이번 전시에서 △순환 재활용 소재 △바이오 기반 소재 △코폴리에스터 및 고기능성 코폴리에스터(PETG) 등 자사의 핵심 친환경 기술을 총망라한다. 특히 세계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해중합) 기술을 상용화한 제품들을 전면에 배치해, 지금 당장 실현 가능한 지속가능 솔루션을 강조할 계획이다. 전시 부스에는 △재활용 가능한 코폴리에스터 '클라로'가 적용된 로레알 화장품 용기 △'스카이펫CR'이 적용된 삼다수 생수병과 콜드플레이의 에코 레코드판(LP판) △화학적 재활용 기반 코폴리에스터 '에코트리아 CR' 등 실제 상용 제품이 함께 전시된다. 생활밀착형 친환경 제품도 다양하게 소개된다. 대표 바이오 기반 고내열 코폴리에스터 '에코젠'은 밀폐용기, 유아 식기 등으로 구현되며, 고투명·내화학 PETG '스카이그린'은 화장품 용기 및 아이스컵 등으로 실물로 선보인다. 또, △식물 유래 100% 바이오 폴리올 '에코트리온' △고무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장점을 결합한 폴리에스터 기반 탄성체 '스카이펠' 등 고기능성 스페셜티 소재도 함께 소개된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생태계는 미래의 과제가 아니라 현재 실현 가능한 기술"이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SK케미칼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상용 사례를 제시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차이나플라스는 △미국 NPE △독일 K show와 함께 세계 3대 화학 전시회로 꼽히며, 아시아에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4-13 11:27:50SK케미칼은 멕시코, 멕시코 시티 시티바나멕스 컨벤션 센터에서 오는 11일부터 나흘 간 개최되는 '플라스티마헨 멕시코 2025'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플라스티마헨은 남미 지역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로, 세계 5대 플라스틱 전시회 중 하나다. 올해 행사에는 전세계 27개국, 870개 이상의 기업이 참석해 최신 기술 및 제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SK케미칼은 멕시코를 포함한 남미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즉각적인 솔루션"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SK케미칼의 주요 제품들을 전시할 계획이다. △옥수수 등 바이오매스에서 추출한 원료가 사용된 고내열 코폴리에스터 에코젠(ECOZEN) △투명성과 내화학성을 바탕으로 화장품, 식품포장용기, 가전제품 등 다양한 용도에 주로 쓰이는 스카이그린(SKYGREEN) △ 스판덱스, 인조가죽, 우레탄 탄성소재 등에 사용되는 바이오 소재 에코트리온(ECOTRION) 등이 전시된다. 또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된 순환재활용 코폴리에스터 '에코트리아(ECOTRIA) CR'과 PET 소재인 '스카이펫(SKYPET) CR'을 비롯해 사용 후 PET로 분류, 재활용이 가능한 코폴리에스터 '클라로(Claro)'까지 재활용 가능성을 염두에 둔 제품군도 전시하며 지속가능한 소재를 강조한다. 안재현 SK케미칼 대표이사는 "남미 뿐 아니라 전 세계 각지에서 고객을 발굴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5-03-06 18:27:56[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멕시코, 멕시코 시티 시티바나멕스 컨벤션 센터에서 오는 11일부터 나흘 간 개최되는 ‘플라스티마헨 멕시코 2025’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플라스티마헨은 남미 지역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로, 세계 5대 플라스틱 전시회 중 하나다. 올해 행사에는 전세계 27개국, 870개 이상의 기업이 참석해 최신 기술 및 제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SK케미칼은 멕시코를 포함한 남미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즉각적인 솔루션”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SK케미칼의 주요 제품들을 전시할 계획이다. △옥수수 등 바이오매스에서 추출한 원료가 사용된 고내열 코폴리에스터 에코젠(ECOZEN) △투명성과 내화학성을 바탕으로 화장품, 식품포장용기, 가전제품 등 다양한 용도에 주로 쓰이는 스카이그린(SKYGREEN) △ 스판덱스, 인조가죽, 우레탄 탄성소재 등에 사용되는 바이오 소재 에코트리온(ECOTRION) 등이 전시된다. 또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된 순환재활용 코폴리에스터 ‘에코트리아(ECOTRIA) CR’과 PET 소재인 ‘스카이펫(SKYPET) CR’을 비롯해 사용 후 PET로 분류, 재활용이 가능한 코폴리에스터 ‘클라로(Claro)’까지 재활용 가능성을 염두에 둔 제품군도 전시하며 지속가능한 소재를 강조한다. 안재현 SK케미칼 대표이사는 “남미 뿐 아니라 전 세계 각지에서 고객을 발굴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5-03-06 08:48:26[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과 국순당이 순환 재활용 소재를 기반으로 주류 용기를 개발, 상용화했다. SK케미칼은 국순당의 프리미엄 전통주 용기에 순환 재활용 페트(CR-PET, Circular Recycle PET)를 적용했다고 25일 밝혔다. 해중합 기술 기반 순환 재활용 페트(PET) 소재가 전통주 용기에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케미칼과 국순당은 전통주 용기에 사용하던 석유화학 기반 페트(PET) 소재를 대체하기 위해 지난 7월 MOU를 맺고 순환 재활용 페트(PET)소재를 적용한 용기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 SK케미칼과 국순당이 함께 개발한 용기는 프리미엄 전통주 ‘옛날 막걸리 古’ 제품에 적용됐다. 국순당은 이번에 양산하게 된 국내 전통주 용기 적용을 시작으로 수출 제품군 용기에도 ‘스카이펫(SKYPET) CR’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SK케미칼은 지난 2022년 세계 최초로 해중합 기반 순환 재활용 기술을 개발, 상업 생산을 시작한 이후 화장품, 식품, 음료, 패션,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상업화 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다. 김현석 SK케미칼 사업개발본부장은 “국순당과의 협력을 통해 소스, 생수, 음료 용기부터 주류 용기까지 식음료 시장에서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게 됐다”며 “각 산업군이 필요로 하는 물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다양한 산업계 제조사와 적극적 협력을 리사이클 소재 사용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4-11-25 09:48:24[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25일 국순당과 전통주 업계 최초로 순환 재활용 페트(CR-PET) 적용 전통주 용기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순환 재활용 소재를 적용한 전통주 패키지 개발을 본격화하고 상업화 단계까지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협력한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재를 활용해 전통주 용기를 개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위해 SK케미칼은 국순당 전통주 용기 생산에 필요한 '스카이펫(SKYPET) CR' 소재를 공급하고 폴리에스터 소재 분야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국순당은 이를 활용해 전통주 용기에 최적화된 리사이클 패키징을 개발, 적용하게 된다. 또한 양사는 단순 리사이클 패키지를 활용한 용기 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개발된 용기의 실제 적용과 상용화에 이어 소비 확산을 위해서도 함께 노력키로 했다. 국순당은 재생원료를 사용을 확대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전통주 용기에 사용하던 석유화학 기반 페트 소재의 대체제를 찾는 과정에서 SK케미칼과 협력하게 됐다. 국순당 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주 포장산업의 재활용 패키징 소재 적용으로 획기적인 기술적 진보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주류를 비롯한 생수, 음료 등 음용 용품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분야 중 하나"라면서 "폐플라스틱 사용이 많은 산업계 리딩 기업과 협업을 확대해 버려지는 폐플라스틱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플라스틱 사용 감축에 일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2024-07-25 09:27:31[파이낸셜뉴스] SK케미칼은 지난 22~23일까지 프랑스 두에에서 열린 '플라스틱·환경 총회 2024'에 발표자로 참여했다고 29일 밝혔다.플라스틱·환경 총회는 프랑스 플라스틱 협회(SFIP)가 매년 주관하는 행사로, 다양한 산업의 플라스틱 소재 생산 업체, 플라스틱 제조 업체, 재활용 업체, 브랜드 오너 같은 사용자 등이 모여 순환 경제 구축을 위한 솔루션을 논의하는 회의다. 올해 플라스틱·환경 총회에서는 SK케미칼을 포함해 이스트만, 사빅 등 글로벌 화학 분야 핵심 기업들도 참석 및 기술 발표를 진행했다. SK케미칼이 프랑스 플라스틱 협회 행사에 공식적으로 발표자로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케미칼이 최근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재활용 사업과 관련해, 규제 트랜드를 이끌고 있는 EU 지역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총회 첫 날 재활용 솔루션 발표 세션에서 SK케미칼은 유럽 파트너사 알비스와 함께 SK케미칼만의 순환 재활용의 우수성에 대해 발표했다. 순환 재활용은 SK케미칼만의 화학적 재활용 방식을 칭하는 명칭이다. 폐플라스틱을 잘게 부숴 세척한 후 다시 플라스틱의 원료로 쓰는 물리적 재활용과는 다르게, 화학적으로 분자단위까지 분해한 후 플라스틱의 원료로 쓰기 때문에 투명도 등 제품의 품질 손상 없이 무한대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K케미칼은 지난해 3월 중국 그린소재 전문업체 슈에의 화학적 재활용 원료 및 화학적 재활용 페트 사업 관련 자산을 1300억원에 인수해 SK산토우를 설립한 바 있다. 이를 통해 SK케미칼은 세계 최초로 상업화한 폴리에스터 화학적 재활용 원료와 생산 설비를 확보하게 됐다. SK케미칼은 이번 발표에서 발 빠른 상업화 설비 구축과 순환재활용 기술의 적용 경험이 모아진 소재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순환재활용 기술이 적용된 페트(PET)인 ‘스카이펫(SKYPET) CR’과, 사용 후 PET로 분류돼 재활용이 가능한 코폴리에스터 ‘에코트리아 클라로 CR’까지 다양한 소재 라인업이 제시돼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SK케미칼은 앞으로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순환재활용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업계 관계자들과 협업 방향을 다양화할 예정이다. 김응수 SK케미칼 그린소재사업본부장은 "글로벌 브랜드 오너들이 순환재활용 소재 사용을 위해 러브콜을 보내오고 있다"며 "앞으로 적극적으로 SK케미칼의 재활용 솔루션을 알리고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고객사와 함께 맞춤형 친환경 제품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4-05-29 1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