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LG CNS가 ‘피지컬 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에 나선다. LG CNS는 미국 AI 로봇기업 ‘스킬드 AI(Skild AI)’와 국내 최초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투자도 단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LG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통해 이루어졌다. 스킬드 AI는 AI 로봇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글로벌 톱 티어 AI 로봇기업으로 꼽힌다. 공동 창업자인 디팍 파탁, 아비나브 굽타는 컴퓨터 공학 및 로봇 사이언스 분야에서 가장 저명한 카네기멜론대학교의 교수 출신이다. 스킬드 AI의 핵심 기술은 로봇의 행동을 결정하는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이다. 이 모델은 이미지, 텍스트, 음성, 영상 등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로봇이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물체를 조작하고,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는 고도화된 작업을 가능케 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LG CNS는 이번 전략적 협력을 통해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은 제조, 물류 등 산업 현장의 데이터로 파인튜닝돼 기존 로봇이 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작업을 지원한다. 기존에는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해 각 업무별로 모델을 개발·제어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면,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은 산업 현장의 업무 사진·영상 데이터만으로 빠르게 학습해 자율적으로 행동한다.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은 공장 설비 모니터링과 운영, 제품 조립, 유해물질 투입, 물류센터의 물품 피킹·적재 작업 등 반복적이고 고강도이며, 위험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심 환경에서는 노약자 케어, 순찰 업무 등 서비스형 로봇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LG CNS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영역의 고객을 대상으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LG CNS가 자체 개발한 로봇 제어·관리·운영 통합 플랫폼 및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 솔루션 △로봇 하드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의 경우, 로봇 제조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 이준호 상무는 “글로벌 톱 로봇 AI 기업인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LG CNS의 로봇 솔루션 기술력을 결합해 최고의 지능형 AI 로봇 서비스 기업이 되겠다”며, “AI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고객의 업무를 지능화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5-06-17 09:45:08[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가 미국 로봇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스킬드AI'에 지분 투자를 단행한다. 미래 사업으로 로봇을 점찍고,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인수하는 등 미래 로봇 개발 및 인재풀 확보에 총력을 다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스킬드AI에 1000만 달러(약 136억원)를 투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시리즈 B 라운드 펀딩에 참여, 스킬드AI의 소수 지분을 확보할 방침이다. 스킬드AI의 기업 가치는 약 45억 달러(약 6조1100억원)로 책정됐다. 일본 소프트뱅크가 1억 달러(약 1360억원), 엔비디아는 2500만 달러(약 340억원)를 출자한다. LG, 한화, 미래에셋 등 국내 기업들도 각 500만~1000만 달러씩 스킬드AI 투자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은 삼성전자가 로봇 분야 스타트업 및 인재 풀 확보 차원에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분석했다. 애플·구글·테슬라 등 빅테크를 중심으로 로봇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는 가운데, 삼성전자도 로봇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기술 개발 및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 실제 로봇 사업을 키우기 위한 삼성전자의 노력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지난 3월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35%를 확보하며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최근엔 로보틱스 알고리즘 업체 피지컬인텔리전스에 소규모 지분 투자를 했다. 삼성전자는 연내 구글과 협력해 가정용 인공지능(AI) 집사 로봇 '볼리'도 출시할 전망이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2025-06-12 17:13:28[파이낸셜뉴스] 지난 연말부터 지속 된 로봇 투자 열기가 국내 대기업 및 중소형 상장사로까지 옮겨 붙는 모양새라 눈길을 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그룹 계열사인 LG CNS는 산업용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진출했다. LG CNS는 로봇의 ‘두뇌’를 보유한 미국 스타트업인 스킬드 AI와 국내 최초로 손잡고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보기술(IT) 분야는 물론이고 제조, 물류 등 실물 기반 산업의 AI 전환(AX)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목표다. 이같은 소식에 이 회사 주가는 지난 2월 상장이후 최초로 8만 1600원까지 올라 최고가를 경신했다. 중소형 상장사들도 근래 로봇 관련 신사업 행보에 분주한 모습이다. 전기차 충전업이 본업인 와이투솔루션은 최근 로봇 시스템 통합(SI) 전문기업 에이치알티로보틱스(HRT)를 인수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HRT는 글로벌 협동로봇 제조사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의 국내 1호 공식 파트너사이며, 고객사의 제조 환경에 맞춘 로봇 자동화 설계·공급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 시스템 연동, 비전카메라, AMR(자율주행로봇) 등과의 통합 역량을 갖춘 자동화 솔루션 기업이며 현재 자율주행로봇(AMR)을 자체 개발 중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향후 와이투솔루션과 사업적 시너지 측면에서 기대가 높다고 봤다. 라이다 전문 기업 에스오에스랩도 글로벌 1위 휴머노이드 로봇 B사에 라이다(LiDAR) 공급 계약이 임박하는 등 로봇기업으로 재평가가 기대된다는 증권가의 전망이 나왔다. CTT리서치는 "동 사는 글로벌 1위 휴머노이드 로봇 B 사에 탑재될 라이다 공급을 위해 오랜시간 내부 테스트를 진행했고, 드디어 공급이 확정된 것으로 파악된다“라며 ”기존에 탑재되고 있는 경쟁사 제품은 매립이 불가한 반면, 동사 제품은 컴팩트해 매립이 가능하고 성능면에서 우위라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사의 라이다는 휴머노이드 및 사족보행 등 B 사의 모든 로봇에 탑재될 예정이고, 현재 구체적인 계약 내용을 조율 중으로 이르면 6월내 최종 계약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현대차 로보틱스랩에 이어 B사 로봇에도 라이다 공급이 확정되면서 이제 로봇 기업으로 재평가할 때가 됐다. 국내 로봇관련 상장 기업 중 가장 저평가인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여기에 IT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씨아이테크는 기반 자율주행 로봇 전문기업 클로봇과 지난 13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스마트병원·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자율주행 로봇 솔루션 공동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핵심 기술인 자율주행 플랫폼과 온프레미스 AI 연산 시스템을 결합해 △병원 △도서관 △공공기관 △스마트빌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융합형 AI 로봇 솔루션을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것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고정형 키오스크와 이동형 로봇이 연동된 ‘AI 안내·상담 시스템’을 비롯해 △무인 도서 회수·반납 로봇 △병원 접수 로봇 등 다양한 특화형 솔루션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한편 증권업계에선 해외 휴머노이드 개발 기업들의 전반적인 밸류에이션 상승이 관측되면서 상장사들의 신사업 먹거리로 로봇이 올해도 대세일 수 밖에 없다는 전망을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실제 올해 피규어 AI는 전년대비 15배 상승한 400억달러 기업가치에 투자라운드를 진행하고 있으며, 스킬드 AI는 2.7배, 유니트리는 약 1.9배 몸값이 상승중"이라며 "여기에 삼성, LG그룹, 현대차 등 국내 대기업들도 결국 휴머노이드 등 로봇 사업을 강화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5-06-19 14:12:37LG CNS가 '피지컬 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에 나선다. LG CNS는 미국 AI 로봇기업 '스킬드 AI(Skild AI)'와 국내 최초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투자도 단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LG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통해 이루어졌다. 스킬드 AI는 AI 로봇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글로벌 톱 티어 AI 로봇기업으로 꼽힌다. 공동 창업자인 디팍 파탁, 아비나브 굽타는 컴퓨터 공학 및 로봇 사이언스 분야에서 가장 저명한 카네기멜론대학교의 교수 출신이다. 스킬드 AI의 핵심 기술은 로봇의 행동을 결정하는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이다. 이 모델은 이미지, 텍스트, 음성, 영상 등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로봇이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물체를 조작하고,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는 고도화된 작업을 가능케 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LG CNS는 이번 전략적 협력을 통해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은 제조, 물류 등 산업 현장의 데이터로 파인튜닝돼 기존 로봇이 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작업을 지원한다. 기존에는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해 각 업무별로 모델을 개발·제어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면,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은 산업 현장의 업무 사진·영상 데이터만으로 빠르게 학습해 자율적으로 행동한다.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은 공장 설비 모니터링과 운영, 제품 조립, 유해물질 투입, 물류센터의 물품 피킹·적재 작업 등 반복적이고 고강도이며, 위험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심 환경에서는 노약자 케어, 순찰 업무 등 서비스형 로봇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LG CNS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영역의 고객을 대상으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LG CNS가 자체 개발한 로봇 제어·관리·운영 통합 플랫폼 및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 솔루션 △로봇 하드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의 경우, 로봇 제조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 이준호 상무는 "글로벌 톱 로봇 AI 기업인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LG CNS의 로봇 솔루션 기술력을 결합해 최고의 지능형 AI 로봇 서비스 기업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5-06-17 18:3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