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올해 올해 3·4분기 은행의 대출 문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 2·4분기 급증한 가계대출에 정부의 초강도 규제가 연달아 나오면서 은행들의 여신건전성 관리 기조가 크게 강화된 때문이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은행이 전망한 올해 3·4분기 대출태도지수(종합)는 -17로 집계됐다. 1·4분기(7)와 비교하면 24p 주저앉은 것으로 지난해 4·4분기(-27)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한은은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 신용위험에 대한 평가를 가중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로 산출한다. 지수가 양(+)이면 '증가(신용위험·대출수요)' 또는 '완화(대출태도)'라고 답한 금융기관 수가 '감소' 또는 '강화'보다 많았다는 뜻이고, 음(-)이면 그 반대다. 해당 조사는 203개 금융기관의 여신 총괄 책임자를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됐다. 대출 주체 가운데 대출 문턱이 가장 높아진 곳은 가계부문이다. 국내 은행의 차주별 대출태도지수의 경우 가계주택과 가계일반이 각각 -31, -22로 지난해 4·4분기(-42·-39) 이후 최고 수준으로 강화됐다. 스트레스 금리를 1.5%로 상향하고, 적용대상 대출을 확대하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이달부터 도입되는 등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안정화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 결과다. 또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고, 주택구입목적 주담대의 전입의무를 부과하는 등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이 시행되면서 주담대 및 신용대출 모두 대출태도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대출의 경우 중소기업은 강화 기조가 이어지지만 대기업에 대해서는 대출태도가 다소 완화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국내 은행의 기업에 대한 대출태도가 대기업은 전분기 -6에서 6으로, 중소기업은 -14에서 -6으로 각각 완화됐다. 가계의 신용위험도 역시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 3·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14로 올해 1·4분기(8) 대비 두 배에 육박했다. 국내 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9월 0.59%에서 올해 3월 0.69%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도 0.25%에서 0.29%로 높아졌다. 초강도 규제에 가계대출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3·4분기 대출수요 종합지수(5)는 전분기(15)보다 10p 하락했다. 특히 가계주택이 전분기 17에서 -6까지 하락했고, 가계일반의 경우에도 8에서 6으로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의 신용위험도 실물경제의 낮은 성장세 및 취약차주의 부채상환 능력 우려 등으로 경계감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규제 강화 영향으로 주택 관련 대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신용대출 등 일반대출은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5-07-15 10:53:53[파이낸셜뉴스] 6·27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부동산 수요가 위축되면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미 계약이 이뤄진 주택매매와 관련된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지난달 말 몰린 뒤 순차적으로 승인되면서, 8~9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5조726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말(754조8348억원)보다 8912억원 증가했다. 하루 평균 약 891억원 늘어난 수준으로, 6월(2251억원) 대비 40% 수준에 불과하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이달 말까지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2조7600억원이 될 전망이다. 전월(6조7536억원)의 40% 수준이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금리 인하와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관련 막차 수요가 맞물리면서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에 정부가 지난달 27일 수도권·규제 지역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6개월 내 실입주를 의무화하는 등 '갭투자'를 사실상 차단하는 정책을 내놓으면서 대출 수요가 크게 가라앉은 분위기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600조823억원으로, 6월 말(599조4250억원)과 비교해 열흘 사이 1조3773억원 늘었다. 신용대출은 3887억원 감소했다. 지난달 1조876억원이나 불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다만 가계대출 집행의 선행지표인 은행별 대출 신청 승인 추이에는 아직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거나 오히려 늘어난 경우도 있어 경계를 늦추면 안된다는 지적이다. 이달 들어 10일까지 A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신청 승인(서류접수 후 심사 완료 기준) 건수와 금액은 각 3723건, 1조355억원으로 하루 평균 372건, 135억5000만원씩 승인이 이뤄졌다. 지난달엔 총 8790건·2조2399억원으로 일평균은 293건·746억6000만원이었다. B 은행의 같은 기간 총 주택담보대출 하루 승인액(1466억원)도 전월(133억원)을 웃돌았다. 한국은행도 최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주택시장 과열의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8∼9월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달 말부터 길게는 보름 가까이 막혔던 주택담보대출이나 비대면 신용대출 등이 전산 시스템 정비 완료와 함께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재개되는 점도 변수다. KB국민은행의 경우 6월 28일 이후 계약 건에 대한 주택구입자금용 주택담보대출 신청을 지난 11일 오전 9시부터 대면·비대면 채널에서 다시 받기 시작했다. 신한은행은 오는 16일 주담대 비대면 영업을 재개할 예정이다. 신용·전세대출은 현재 비대면 접수가 가능하다. 농협은행은 18일부터 비대면 주담대 영업을 재개할 예정이다. 지난 8일부터는 신용대출 비대면 영업을 시작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5-07-13 15:28:04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늘어난 주택거래량에 가계부채가 들썩이면서 숨고르기에 나섰다. 다만 성장률 하방 압력이 커지는 등 금리인하 필요성이 확대된 상황이라 정부의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 대책에 수도권 집값이 크게 둔화될 경우 다음 달 기준금리가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가계부채보다 수도권 집값 중요한은 금통위는 10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3년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리며 인하 사이클로 전환한 후 지난해 11월과 올해 2월, 5월 총 네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했으나 이달에는 멈춰섰다. 향후 금리인하 시기는 금융 안정이 좌우할 전망이다. 연내 금리인하가 한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가계부채가 안정되는 속도에 따라 추가 인하 시점이 8월과 10월로 갈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정부의 6·27 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의 효과가 얼마나 작용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무엇보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얼마나 떨어질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가계부채 규모는 이전 계약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쳐 예상할 수 있고,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다"며 "수도권 집값이 어떻게 되느냐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격이 생각보다 많이 올라오면 앞선 대출 규제에도 또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며 "8월이 되면 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미국의 관세 인상 충격으로 수출이 급감, 경기 부양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집값 상승세가 장기화할 경우 한은은 사면초가에 놓이게 된다. 이 총재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관세는 관세대로 크게 올라가고, 가계부채는 잡히는데 부동산 가격은 안 잡히는 것"이라며 "이 경우 금융안정과 성장의 상충 관계가 매우 나빠진다"고 짚었다. ■8월 인하 가능성 대두향후 서울의 주간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8월까지 눈에 띄게 둔화될 경우 한은의 금리인하 시점은 다음 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소비·수출 개선세에 추경 효과까지 유입된다 해도 올해 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치고, 실제 국내총생산(GDP)과 잠재 GDP의 격차인 GDP 갭도 상당히 커지는 등 기준금리 추가 인하 필요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잠재성장률이 2% 가까운 수준으로 나빠지고, 성장률도 몇년째 잠재성장률 밑으로 내려가 있다"며 "관세와 집값이 안정되는 시나리오에서는 통화정책이 훨씬 쉬워지고 금리를 낮출 여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자 국정기획위원회도 특단의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정위는 최근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은,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함께 잠재성장률을 3%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표적인 방안으로는 인공지능(AI)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 혜택과 중소기업 지원이 거론된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서지윤 기자
2025-07-10 18:26:02[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늘어난 주택거래량에 가계부채가 들썩이면서 숨고르기에 나섰다. 다만 성장률 하방 압력이 커지는 등 금리 인하 필요성이 확대된 상황이라 정부의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 대책에 수도권 집값이 크게 둔화될 경우 다음달 기준금리가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가계부채 규모보다 수도권 집값 추이가 중요한은 금통위는 10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3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리며 인하 사이클로 전환한 후 지난해 11월과 올해 2월, 5월 총 네 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했으나 이달에는 멈춰섰다. 향후 금리인하 시기는 금융안정이 좌우할 전망이다. 연내 금리인하가 한 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가계부채가 안정되는 속도에 따라 추가 인하 시점이 8월과 10월로 갈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정부의 6·27 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의 효과가 얼마나 작용할 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무엇보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얼마나 떨어질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규모는 이전 계약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쳐 예상할 수 있고,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다"며 "수도권 집값이 어떻게 되느냐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격이 생각보다 많이 올라오면 앞선 대출 규제에도 또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며 "8월이 되면 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미국의 관세 인상 충격으로 수출이 급감, 경기 부양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집값 상승세가 장기화할 경우 한은은 사면초가에 놓이게 된다. 이 총재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관세는 관세대로 크게 올라가고, 가계부채는 잡히는데 부동산 가격은 안 잡히는 것"이라며 "이 경우 금융안정과 성장의 상충 관계가 매우 나빠진다"고 짚었다. ■집값 빠르게 둔화 시 8월 인하 가능성 대두향후 서울의 주간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8월까지 눈에 띄게 둔화될 경우 한은의 금리인하 시점은 다음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소비·수출 개선세에 추경 효과까지 유입된다 해도 올해 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치고, 실제 국내총생산(GDP)과 잠재 GDP의 격차인 GDP 갭도 상당히 커지는 등 기준금리 추가 인하 필요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잠재성장률이 2% 가까운 수준으로 나빠지고, 성장률도 몇년째 잠재성장률 밑으로 내려가 있다”며 “관세와 집값이 안정되는 시나리오에서는 통화정책이 훨씬 쉬워지고 금리를 낮출 수 있는 여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다.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자 국정기획위원회도 특단의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정위는 최근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은,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함께 잠재성장률을 3%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표적인 방안으로는 인공지능(AI)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 혜택과 중소기업 지원이 거론된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서지윤 기자
2025-07-10 15:31:02[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 대신 동결을 택하면서 기준금리가 연 2.50%로 유지됐다.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면서 정부가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속도조절에 나선 모습이다. 8월과 10월 중 추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한은이 기대보다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메시지를 던질지 주목된다. ■가계부채 확대 우려에 금리 동결한 한은10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동결했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내려오고 소비자물가가 2% 내외로 떨어진 가운데, 내수 부진에 따른 경기 하방 우려가 확대됐음에도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았다. 이는 집값 급등세에 따른 가계대출 급증이 우려한 결과다. 한은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5월 말보다 6조2000억원 증가한 1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지난해 8월(9조2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의 최대폭 증가다. 비은행권을 합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6조5000억원 늘며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대폭 늘었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금융안정에 대한 우려가 커진 이유는 서울 부동산 가격 상승에 의한 가계부채 증가세 확대 가능성 때문”이라며 “소비자심리지수 내 주택가격 전망도 연초 이후 지속해서 상승하고 지난달에도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주간 단위로 높은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달 27일에 발표된 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와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을 고려할 때 우선 금리를 동결하고 향후 집값 추이 등을 지켜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 심리가 다시 주택가격과 가계대출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추가 인하 시기 힌트 줄까...8월·10월 의견 갈려이번 금통위의 가장 큰 관전포인트는 이창용 한은 총재의 추가 금리 인하 시기와 관련한 발언이 될 전망이다. 시장에서 7월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한 가운데, 당초 8월 금리 인하 기대 전망이 우세했으나 가계부채 우려로 최근 매파적 메시지가 등장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면서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 총재가 과거 한은 총재들에 비해 재정정책, 정치적 상황 등에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한 점을 감안할 때 단순히 금융 불안을 진단하는 것뿐 아니라 정부의 대출 규제에 대한 기대(혹은 평가)도 함께 표현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발언은 시장에 곧 매파적으로 전달되며 8월 인하 기대를 희석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짚었다. 다만 경기부양이 시급한 만큼 부동산 시장이 진정될 경우 8월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8월에도 한은은 ‘펀더멘털만 보면 금리 인하가 가능하지만 부동산을 위시한 금융 안정 문제로 금리 동결을 단행한다’고 밝힌 뒤 10월, 11월 연속 인하를 단행했다”며 “8월 이후에는 한국은행의 정책 공조 테마가 ‘다시 경기 부양’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했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도 “최근 서울 부동산 가격 급등과 가계대출 급증에 따른 금융안정 훼손 가능성에 대한 부담은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수 있는 제약 요인”이라면서도 “하지만 금융안정 문제 부각에도 최근 부동산 대책이 대출 총량 규제에 맞춰져 있어 금리 인하에 따른 불안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8월 인하 전망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5-07-10 09:50:166·27대출규제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서울 내 '알짜 분양'들이 줄줄이 흥행에 성공했다. 하루 차이로 규제를 피한 단지는 물론, 규제 여파를 정면으로 맞게 된 단지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부동산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거운 양상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1순위 청약에 나선 성동구 성수동1가 '오티에르 포레'는 총 40가구 모집에 2만7525명이 몰리면서 평균 경쟁률이 688.1대 1에 달했다. 이곳은 부동산 핵심지로 떠오른 성수동에서 8년만에 나오는 민간 청약 단지로, 10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이 기대돼 시장의 관심이 높았다. 같은 날 영등포구 영등포동5가에 들어서는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 1순위 청약에는 83가구 모집에 1만5882명이 신청했다. 평균 경쟁률은 191.3대 1로, 이곳 역시 세 자리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7일 특별공급 평균 경쟁률은87.7대 1이었다. 두 단지 모두 대출규제 시행일(6월 28일) 하루 전 입주자 모집공고를 발표하면서 규제 적용을 피했다. 규제 전 '막차'를 타기 위한 청약 수요자들이 대거 몰린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규제 후 서울에서 나온 첫 무순위 청약인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역시 경쟁이 치열했다. 전날 39가구를 모집하는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총 3502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89.7대 1을 기록했다. 분양가가 9억원대인 59D타입에는 1가구 모집에 337명이 신청해 최고 경쟁률은 337대 1로 집계됐다. 약 12억원인 84C타입도 122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 단지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에 따라 중도금 대출과 잔금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고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도 적용 받는다. 여기에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도 맞물렸고,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 통과로 무주택자만 신청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에 청약 통장 없이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고, 입주 전 전매가 가능하다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끈 것 결과"라고 전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5-07-09 18:20:09[파이낸셜뉴스] 6·27대출규제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서울 내 '알짜 분양'들이 줄줄이 흥행에 성공했다. 하루 차이로 규제를 피한 단지는 물론, 규제 여파를 정면으로 맞게 된 단지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부동산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거운 양상이다. 9일?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1순위 청약에 나선 성동구 성수동1가 '오티에르 포레'는 총 40가구 모집에 2만7525명이 몰리면서 평균 경쟁률이 688.1대 1에 달했다. 이곳은 부동산 핵심지로 떠오른 성수동에서 8년만에 나오는 민간 청약 단지로, 10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이 기대돼 시장의 관심이 높았다.? 같은 날 영등포구 영등포동5가에 들어서는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 1순위 청약에는 83가구 모집에 1만5882명이 신청했다. 평균 경쟁률은 191.3대 1로, 이곳 역시 세 자리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7일 특별공급 평균 경쟁률은?87.7대 1이었다. 두 단지 모두 대출규제 시행일(6월 28일) 하루 전 입주자 모집공고를 발표하면서 규제 적용을 피했다. 규제 전 '막차'를 타기 위한 청약 수요자들이 대거 몰린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규제 후 서울에서 나온 첫 무순위 청약인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역시 경쟁이 치열했다. 전날?39가구를 모집하는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총 3502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89.7대 1을 기록했다. 분양가가 9억원대인 59D타입에는 1가구 모집에 337명이 신청해 최고 경쟁률은 337대 1로 집계됐다. 약 12억원인 84C타입도 122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 단지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에 따라 중도금 대출과 잔금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고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도 적용 받는다. 여기에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도 맞물렸고,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 통과로 무주택자만 신청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에 청약 통장 없이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고, 입주 전 전매가 가능하다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끈 것 결과"라고 전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5-07-09 16:19:49[파이낸셜뉴스] 6·27대출규제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서울 내 '알짜 분양'들이 줄줄이 흥행을 이루고 있다. 하루 차이로 규제를 피한 단지는 물론, 규제 여파를 정면으로 맞게 된 단지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부동산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거운 양상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1순위 청약에 나선 성동구 성수동1가 '오티에르 포레'는 총 40가구 모집에 2만7525명이 몰리면서 평균 경쟁률이 688.1대 1에 달했다. 이곳은 부동산 핵심지로 떠오른 성수동에서 8년만에 나오는 민간 청약 단지로, 10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이 기대돼 시장의 관심이 높았다. 지난 7일 진행된 특별공급에서도 233.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같은 날 영등포구 영등포동5가에 들어서는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 1순위 청약에는 83가구 모집에 1만5882명이 신청했다. 평균 경쟁률은 191.3대 1로, 이곳 역시 세 자리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7일 특별공급 평균 경쟁률은 87.7대 1이었다. 두 단지 모두 대출규제 시행일(6월 28일) 하루 전 입주자 모집공고를 발표하면서 규제 적용을 피했다. 규제 전 '막차'를 타기 위한 청약 수요자들이 대거 몰린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규제 후 서울에서 나온 첫 무순위 청약인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역시 여러 악조건에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다. 전날 39가구를 모집하는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총 3502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89.7대 1을 기록했다. 분양가가 9억원대인 59D타입에는 1가구 모집에 337명이 신청해 최고 경쟁률은 337대 1로 집계됐다. 약 12억원인 84C타입도 122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 단지는 정부가 지난 6월 27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에 따라 중도금 대출과 잔금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고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도 적용 받는다. 84㎡의 경우 6억원의 현금이 필요한 셈이다. 여기에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도 맞물렸고,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 통과로 지난달 10일부터 무순위 청약은 무주택자만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도 악조건으로 꼽혔다. 이같은 배경 탓에 평균 경쟁률이 세 자리수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목동 학원가와 접근성이 뛰어나 학세권으로 여겨지는 이 단지는 서울 뿐 아니라 경기와 인천 거주자도 청약이 가능해 '서울 입성의 기회'로도 불렸다. 또 재당첨 제한·실거주 의무가 없고 무주택 세대구성원이라면 청약 통장 없이도 누구나 신청이 가능했다. 전매제한 기간도 1년으로 짧아 투자 수요도 많이 몰렸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에 청약 통장 없이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고, 입주 전 전매가 가능하다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끈 것 결과"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10~11일 진행되는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4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에도 시장의 이목이 집중된다. 이 단지 역시 이번 대출규제로 84㎡가 12억원대로 현금 6억원이 필요하며 90일 안에 잔금을 치러야 해 수요자들의 부담이 높아졌지만 더욱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 시세차익이 12억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면서다. 이곳은 서울 거주자만 청약이 가능하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5-07-09 10:57:19[파이낸셜뉴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원 넘게 늘면서 지난해 8월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2~3월에 폭등했던 주택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8개월 만에 가장 크게 늘어난 결과다. 이달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을 앞두고 지난 5~6월에 급증한 주담대 영향으로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지난달 정부의 초고강도 규제 방안의 효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끌' 주담대에 가계대출, 6조2000억원 급등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5년 6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61조5000억원으로 전월보다 6조2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2월(3조2000억원)과 3월(1조6000억원), 4월(4조7000억원)에 그리고 5월(5조2000억원)에 이은 다섯 달 연속 증가세이자, 지난해 8월(9조2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크게 확대된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본격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 1월 2만6000호에서 5월 4만5000호까지 늘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경우 1만1000호에서 2만2000호까지 상승했다. 이에 주담대는 5조1000억원 늘며 지난해 9월(6조1000억원) 이후 최대폭으로 늘었다. 한은은 다음달까지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향후 가계대출 전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택거래량”이라며 “5~6월에 늘어난 주택거래량이 오는 7~8월까지 영향을 끼치면서 그때까지는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DSR 3단계 등의 조치와 지난달 금융당국이 발표한 대책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더 지켜봐야한다는 입장이다. 박 차장은 “아직 대책이 발표된 지 2주밖에 되지 않았다”면서 “주담대 6억원 제한이나 6개월 내 전입신고 의무 등이 의도한 대로 성과를 거둔다면 주택 시장 과열을 진정하고 가계부채가 둔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지역 간 풍선효과나 금융권 가계대출 취급 행태를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6월 은행 기업대출, 대기업 중심으로 석 달 만에 감소은행 기업대출은 3조6000억원 감소하며 지난 3월(-2조1000억원) 이후 석 달 만에 감소 전환했다. 대기업대출(+5조4000억원 → -3조7000억원)은 반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상환, 일부 대기업의 한도대출 상환 등으로 상당폭 감소했다. 중소기업대출(+2조6000억원 → 1000억원)은 은행권의 신용리스크 관리 지속, 반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회사채는 5000억원 순상환되면서 지난 4월(-4000억원)에 이어 순상환 흐름이 지속됐다. 기업들의 차환목적 선발행 등의 영향이 이어진 결과다.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는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단기부채상환 등으로 5월 2000억원 순상환에서 6월 6000억원 순상환으로 규모가 확대됐다. 은행 수신은 지난 6월 27조3000억원 증가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반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증가폭(+7조원 → +38조4000억원)이 크게 확대됐다. 정기예금은 그간의 예수금 확충 등으로 은행들의 자금조달 유인이 낮아지면서 전월 19조2000억원 증가에서 7조1000억원 감소로 전환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5월 25조2000억원 증가에서 6월 1조3000억원 감소로 전환했다. 머니마켓펀드(MMF)가 반기 말 재무비율 관리, 반기 결산 등을 위한 기업 및 정부자금유출 등으로 전월 8조1000억원 증가에서 6월 20조5000억원 감소로 전환했다. 주식형펀드(+4조5000억원 → +7조원) 및 기타펀드(+2조3000억원 → +9조5000억원)는 유입규모가 확대됐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5-07-09 10:50:17정부가 수도권을 대상으로 고강도 대출 규제를 내놓으면서 지방 분양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대출규제를 피했을 뿐만 아니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예외가 적용되면서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다. 다만 지방 부동산에 대한 규제완화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는 경색된 분위기 반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7일 수도권 주택 매수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출 규제책을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서울과 수도권 집값을 잡는 동시에 침체된 지방 시장은 살아나길 원하는 정부의 바람이 담겼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직방에 따르면 올 하반기 지방에서는 총 63개 단지에서 4만8729가구(일반분양 2만8634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부산이 1만5708가구로 가장 많으며 충청북도(6929가구), 충청남도(3875가구), 대구(3509가구) 등이 뒤를 잇는다. 특히 지방 부촌으로 여겨지는 핵심 지역에서는 하이엔드·프리미엄 주거 단지가 분양에 나섰거나 분양을 앞둬 주목된다. 수도권에 투자해온 지방 자산가들의 관심이 지방으로 옮겨붙을 수 있다는 점에서다. △포스코이앤씨의 '어나드 범어'(대구 수성구) △대우건설의 '써밋 리미티드 남천'(부산 수영구)과 '서면 써밋 더뉴'(부산 진구) △롯데건설의 '르엘 리버파크 센텀'(부산 해운대구) 등이 그 대상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규제의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나름대로 희망을 가지고 있다"며 "특히 대형사들은 애초에 좋은 입지에 프리미엄을 내세우기 때문에 우려가 크지는 않다"고 전했다. 지방은 이번 대출 규제 뿐만 아니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피해간 상황이다. 정부는 비수도권 지역은 주택담보대출에 3단계 DSR을 적용하는 방안을 올해 말까지 유예하기로 했다. 올해 초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시행할 때에도 지방은행에는 대출여력을 더 부여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추가 완화책이 나오지 않는 한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고준석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 교수는 "펜트하우스 등 지방의 일부 초고가 단지에서는 일부 영향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숫자는 미미하다"며 "대구나 부산의 미분양이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않은 데다 지방으로까지 가서 투자에 나설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또 다른 전문가도 "부동산은 심리로 움직인다"며 "국민 전반적으로 매수 심리가 수그러들면 지방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 지역을 지방 핵심지역으로까지 확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대구 수성구는 지난 2017년 투기과열지구로, 2020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이후 미분양 증가 등의 문제로 2022년 규제가 해제됐다. 해운대구를 비롯한 부산의 14개구도 2020년 조정대상지역이 된 후 2년 만인 2022년에 규제에서 벗어나게 됐다. 고 교수는 "그나마 숨통을 쉬고 있는데 규제지역까지 지정하게 되면 지방 시장은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5-07-08 18: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