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스포티파이가 국내 음악 스트리밍 시장에서 월간활성이용자(MAU)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입지를 빠르게 넓히고 있다. 무료 요금제 출시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업계 2위 멜론을 바짝 뒤쫒고 있다. 17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스포티파이 앱 MAU는 359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스포티파이의 한국 진출 이후 역대 최고 수치다. 스포티파이의 MAU는 2024년 10월 무료 요금제 도입 이후 급등하기 시작했다. 스포티파이는 2023년 10월 MAU 126만명에 그치며 유튜브 뮤직, 멜론은 물론이고 지니뮤직, 플로 보다도 낮았다. 그러다 지난해 10월 258만 명으로 뛰었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스포티파이는 2023년 말 플로와 지니뮤직을 제치고 사용자 기준 3위에 오른 이후 줄곧 자리를 유지 중이다. 음악 앱 전체 사용자 수 순위에서는 여전히 유튜브 뮤직이 982만 명으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멜론(654만 명), 스포티파이(359만 명), 지니뮤직(263만 명), 플로(175만 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튜브 뮤직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피해 라이트 요금제 출시를 예고한 것도 스포티파이로서는 호재다. 그간 '끼워팔기' 논란이 컸던 유튜브가 기존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에서 '유튜브 뮤직'을 제외하고 광고 없이 유튜브를 이용할 수 있는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를 출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유튜브 뮤직의 라이트 요금제는 유료 구독자를 타깃으로 한 절충형 상품이기 때문에, 무료 모델을 운영 중인 스포티파이와 직접 경쟁하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유튜브 뮤직이 유료 전환을 노리는 저가 요금제로 '프리미엄 시장'을 확대하는 반면, 스포티파이는 광고 기반의 무료 사용자층 확보에 집중하며 사용자 저변을 넓히는 방식으로 ‘사용자 수’ 기준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튜브 뮤직이 전체 유료 음악 소비 시장을 키워주면, 스포티파이도 이후 유료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포티파이의 무료 요금제 전략이 이용자 확보에 효과적으로 작용한 데다, 유튜브 뮤직 라이트 요금제 이슈에 따라 반사 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2025-06-17 14:24:27방탄소년단(BTS) 진의 신곡 '돈트 세이 유 러브 미'(Don't Say You Love Me)가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의 '위클리 톱 송 글로벌'에서 2위를 기록했다. 30일(현지시간) 스포티파이에 따르면, 진의 두번째 미니앨범 타이틀곡인 이 곡은 전주보다 5계단 상승하며 2위에 올랐다. 1위는 미국의 차세대 인디 팝 아티스트 알렉스 워렌의 '오디너리'(Ordinary)가 차지했다. '돈트 세이 유 러브 미'는 사랑의 끝에서 서로를 놓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감정을 담은 팝 장르의 곡으로, 진의 섬세한 감성과 보컬이 어우러져 담백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다. 이 곡은 발매 후 약 10일 만에 스포티파이의 '데일리 톱 송 글로벌'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 스포티파이 '위클리 톱 송 글로벌'에선 현재 BTS 지민의 솔로 2집 타이틀곡 '후'(Who)가 9위, 정국의 솔로 싱글 '세븐'(Seven)이 84위, 뷔가 박효신과 협업한 '윈터 어헤드'(Winter Ahead)가 139위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jsm64@fnnews.com 정순민 기자
2025-05-31 14:40:46[파이낸셜뉴스] 네이버가 세계 1위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와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12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최근 스포티파이와 다방면으로 사업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네이버가 스포티파이와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포함하는 협력 방식으로 제휴를 맺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네이버는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유료 쇼핑 멤버십 서비스인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의 콘텐츠 혜택으로 세계 최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인 넷플릭스의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제공했다. 월 구독료 4900원인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으로 월 5500원의 넷플릭스 요금제를 함께 제공하자 일평균 신규 멤버십 가입자 수는 제휴 전보다 약 1.5배 증가했다. 또 넷플릭스를 선택한 신규 가입자는 가입 전보다 쇼핑 지출이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관계자는 "스포티파이와 논의 중이나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고 전했다. wongood@fnnews.com 주원규 기자
2025-05-12 15:30:01[파이낸셜뉴스] 국내 시장에서 좀처럼 자리를 잡지 못했던 글로벌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가 음원 무료 서비스 출시에 힘입어 사용자 수가 수직상승했다. 5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지난 10월 앱 신규 설치자 수가 109만 명으로, 전달인 9월보다 198% 급증했다. 스포티파이의 지난 10월 사용자 수는 262만명으로 9월(166만명)보다 96만명, 58%가 늘었다. 지난 8월과 비교하면 104만명이 늘어난 수치다. 이는 스포티파이가 오디오 형식의 광고를 청취하면 음원을 무료로 스트리밍할 수 있는 '스포티파이 프리' 서비스 출시에 따른 결과인 것으로 분석된다. 광고만 들으면 음악을 무제한으로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 신규 유입자를 크게 늘렸다. 스포티파이는 전 세계 음원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는 선두업체지만 유독 국내 시장에서는 유튜브 뮤직, 멜론 등에 밀려 열세였다. 같은 기간 안드로이드 기준 유튜브 뮤직 사용자는 689만명, 멜론은 442만명으로 여전한 차이를 보이나, 3위 플랫폼인 지니뮤직과는 약 12만명 정도로 차이를 급격히 줄였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2024-11-05 13:58:52공정거래위원회가 구글의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의혹에 대해 제재를 고민하는 사이 스포티파이가 광고 기반 무료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출시해 이용자가 급증했다. 멜론, 지니뮤직, 플로 등 국내 음원 스트리밍 업체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스포티파이의 침투 효과가 커질 경우 국내 플랫폼 업체들도 유사 수익모델을 고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광고 들으면 무료'에 이용자수 급증3일 업계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지난 10일 '스포티파이 프리' 옵션을 국내에 출시했다. 스포티파이 프리는 오디오 형식의 광고를 들으면 스포티파이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이다. 무료로 개인 맞춤형 플레이리스트와 팟캐스트 등의 기능까지 활용할 수 있다. 광고가 거슬리면 유료로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 초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9일 3709건에 그쳤던 스포티파이 앱의 신규 설치 건수는 10일 4만9816건으로 13.4배 급증했다.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1만건을 넘나들며 무료 서비스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3배 이상의 수치를 보이고 있다. 실제 지난달 한 달간 신규 설치 건수는 49만8295건으로 전달(14만2873명)보다 3.5배 가량 늘었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도 지난달 127만9189명으로 전달(81만9703명) 대비 56.1% 증가했다. 국내 토종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들의 이용자 수가 감소하진 않았다. 아직 유튜브 뮤직(754만9327명), 멜론(706만6811명), 지니뮤직(291만7375명), 플로(217만7833명)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바이브(60만7368명), 벅스(36만3497명)와의 격차는 크게 벌린 셈이다.■국내 업계 "3개월간 효과 지켜봐야"국내 음원 스트리밍 업체들은 시장에 미칠 여파를 살피고 있다. 스포티파이는 국내에선 존재감이 없지만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최대 음악 스트리밍 업체다. 공짜 서비스와 브랜드 효과를 통해 빠르게 국내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국내 한 업계 관계자는 "프로모션을 하고 나면 그 효과가 바로 3개월에 걸쳐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당장은 효과가 커보이진 않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는 10년 전에 국내 업체들이 시도해서 큰 반향이 있었으나 저작권자들의 반대가 있었다"면서 "지금은 저작권자들과 합의도 있어 보이지만, 1개월 효과만으로는 파급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논란에대해서도 결정이 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아직 스포티파이의 영향력이 크진 않지만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4-11-03 18:04:37공정거래위원회가 구글의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의혹에 대해 제재를 고민하는 사이 스포티파이가 광고 기반 무료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출시해 이용자가 급증했다. 멜론, 지니뮤직, 플로 등 국내 음원 스트리밍 업체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스포티파이의 침투 효과가 커질 경우 국내 플랫폼 업체들도 유사 수익모델을 고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광고 들으면 무료'에 이용자 수 3.5배 급증3일 업계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지난 10일 ‘스포티파이 프리’ 옵션을 국내에 출시했다. 스포티파이 프리는 오디오 형식의 광고를 들으면 스포티파이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이다. 무료로 개인 맞춤형 플레이리스트와 팟캐스트 등의 기능까지 활용할 수 있다. 광고가 거슬리면 유료로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 초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9일 3709건에 그쳤던 스포티파이 앱의 신규 설치 건수는 10일 4만9816건으로 13.4배 급증했다.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1만건을 넘나들며 무료 서비스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3배 이상의 수치를 보이고 있다. 실제 지난달 한 달간 신규 설치 건수는 49만8295건으로 전달(14만2873명)보다 3.5배 가량 늘었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도 지난달 127만9189명으로 전달(81만9703명) 대비 56.1% 증가했다. 국내 토종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들의 이용자 수가 감소하진 않았다. 아직 유튜브 뮤직(754만9327명), 멜론(706만6811명), 지니뮤직(291만7375명), 플로(217만7833명)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바이브(60만7368명), 벅스(36만3497명)와의 격차는 크게 벌린 셈이다. 국내 업계, "3개월간 효과 지켜봐야"국내 음원 스트리밍 업체들은 시장에 미칠 여파를 살피고 있다. 스포티파이는 국내에선 존재감이 없지만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최대 음악 스트리밍 업체다. 공짜 서비스와 브랜드 효과를 통해 빠르게 국내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국내 한 업계 관계자는 “프로모션을 하고 나면 그 효과가 바로 3개월에 걸쳐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당장은 효과가 커보이진 않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는 10년 전에 국내 업체들이 시도해서 큰 반향이 있었으나 저작권자들의 반대가 있었다”면서 “지금은 저작권자들과 합의도 있어 보이지만, 1개월 효과만으로는 파급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논란에대해서도 결정이 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아직 스포티파이의 영향력이 크진 않지만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4-11-03 14:01:27[파이낸셜뉴스] 블랙핑크 리사가 신곡 ‘락스타’로 더 높이 날아올랐다. 리사는 최근 전 세계 음원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락스타(ROCKSTAR)’를 공개하고 본격적인 홀로서기를 알렸다. 특히 리사의 ‘락스타’는 발매와 동시에 미국 스포티파이에서 글로벌 차트 8위에 오르며 스포티파이 기준 K팝 여성 솔로 아티스트로서는 가장 큰 성과를 거뒀다. 또한 스포티파이에서 전작 ‘라리사’와 ‘머니’로 기록했던 15위, 28위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의 고향인 태국에서도 257만 회 이상의 스트리밍으로 1위를 차지, 태국에서 발매된 모든 앨범 중 가장 높은 일일 스트리밍 기록을 세웠다. ‘락스타’ 뮤직비디오 역시 리사의 글로벌한 인기를 증명해냈다. 해당 뮤직비디오는 호주부터 영국, 프랑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한국, 튀르키예, 멕시코 그리고 영국에서 1위에 트렌딩 되는가 하면, 여세를 몰아 유튜브 뮤직비디오 트렌딩 월드와이드 정상까지 찍는 기염을 토했다. ‘락스타’는 리사가 라우드 컴퍼니(LLOUD Co.)를 설립해 소니뮤직 산하 레이블 RCA 레코드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발매한 첫 싱글이다. 리사의 능숙한 랩과 에너지 넘치는 팝 보컬이 돋보인다. 앞서 태국 정부와 방콕시는 리사의 ‘락스타’ 뮤직비디오 촬영지에 인파가 몰리자 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1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관광청은 리사의 신곡 '록스타' 뮤직비디오 촬영지인 방콕 야오와랏 거리에 도보 관광 코스를 만들 계획이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4-07-02 09:29:00'모든 가능성의 아이돌' 트리플에스(tripleS)의 성장세가 눈부시다. 25일 모드하우스에 따르면 최근 스포티파이에서 트리플에스 음악의 스트리밍 횟수가 1억을 돌파했다. 트리플에스는 2022년 10월 첫 디멘션(DIMENSION) Acid Angel from Asia로 가요계에 첫 인사를 건넨 이후 2023년엔 자연 발생 디멘션이자 10인조 ASSEMBLE을 탄생시켰으며, 그 이후에도 다양한 디멘션을 선보이며 활발히 활동해 왔다. 트리플에스는 전 세계 웨이브(WAV, 팬덤명)의 사랑 속에 꾸준히 성장했다. '2023 MAMA AWARDS'에서 여자 신인상(BEST NEW FEMALE ARTIST)을 품에 안으며 빛나는 글로벌 존재감을 과시했다. 트리플에스의 스포티파이 1억 스트리밍 돌파는 소녀들의 당찬 행보는 물론 팬들과의 끊임없는 소통이 시너지를 일으킨 결과란 분석이다. 2024년도 트리플에스는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먼저 첫 발라드 디멘션(DIMENSION) 아리아(Aria)가 데뷔 싱글 'Structure of Sadness'를 발매하며 팬들을 만났으며, 특히 헤이즈가 타이틀곡 'Door'의 작사를 선물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았다. 더욱이 아리아의 메인 보컬 서다현은 지난 21일 방송한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이하, 복면가왕)에 피자엔 콜라라는 이름으로 출연, 박봄의 'You And I'를 선보이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아울러 새로운 'S'들이 함께하는 새로운 디멘션 트리플에스 NXT 역시 탄생해 'Just Do It'을 선보이는 등 쉼 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트리플에스는 기세를 몰아 팬들과의 특별한 추억을 만든다. 오는 2월 3일과 4일 양일간 서울 용산구 한남돌 블루스퀘어 마스터카드 홀에서 '2024 tripleS Authentic in Seoul'을 개최하는 것. 특히 3일에는 러블루션(LOVElution)과 에볼루션(EVOLution) 두 디멘션의 공연을 각각 만나볼 수 있으며, 4일에는 트리플에스 전 멤버들이 함께하는 공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 디멘션(DIMENSION) : 팬들의 선택으로 탄생하는 일종의 트리플에스 유닛 slee_star@fnnews.com 이설 기자 사진=모드하우스
2024-01-25 10:09:30【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테크기업 스포티파이·트윌리오의 '칼바람'이 끝나지 않고 있다.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기업 스포티파이와 소프트웨어 기업 트윌리오 등 테크기업의 정리해고가 계속되고 있다. 4일(현지시간) CNBC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직원의 17%인 약 1500명을 추가로 감원하기로 했다. 올해만 세 번째 정리해고다. 대니엘 에크 스포티파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직원들에게 편지를 보내 해고 계획을 발표했다. 스포티파이는 지난 1월에는 600명, 6월에 200명 감축계획을 발표했고 이번 구조조정이 올해 세 번째다. 에크 CEO는 "스포티파이가 비용 절감 노력에도 여전히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다"라면서 "경제 성장 둔화와 이자율 인상으로 인한 자금 조달 비용의 상승으로 경영상 어려움이 있다"라며 정리해고 배경을 설명했다. 스포티파이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급성장하면서 직원 수가 3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였으며 현재는 8800여 명이다. 스포티파이는 올해 9월까지 5억 3000만 달러(약 6916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통신기술업체 트윌리오도 이날 정리해고를 발표하면서 1년이 조금 넘는 기간동안 3차례나 감원을 진행하게 됐다. 트윌리오는 올해 2월에 전체 직원의 17%를 감원했는데 이날 추가로 5%의 정리해고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정리해고는 리전 파트너스와 앤슨 펀드 등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트윌리오의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부서에 촛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리전 파트너스와 앤슨 펀드 등 트윌리오 지분을 보유중인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트윌리오의 경영진 교체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트윌리오 관계자는 구조조정 계획에 대한 주주들의 의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스포티파이의 세 번째 정리해고가 발표된 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스포티파이 주가는 7% 이상 급등하며 거래를 마쳤다. 트윌리오 역시 구조조정 계획이 공개도니 후 주가가 약 1% 상승했다. theveryfirst@fnnews.com 홍창기 기자
2023-12-05 13:25:47[파이낸셜뉴스] 4세대 걸그룹 뉴진스의 미니 2집 수록곡 '뉴진스'가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에서 누적 스트리밍 수 1억회를 돌파했다. 16일 소속사 어도어에 따르면 수록곡 '뉴진스'는 지난 14일 기준 1억17만1957회 재생되며 누적 스트리밍 수 1억회를 넘겼다. 이로써 뉴진스는 통산 8번째 1억회 스트리밍 곡을 보유하게 됐다. '뉴진스'는 지난 7월 발매된 뉴진스의 미니 2집 '겟 업'(Get Up)에 수록돼 있다. 팀 이름을 활용한 참신한 가사와 세련된 멜로디가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겟 업' 앨범은 6개 수록곡의 스포티파이 합산 누적 재생수가 5억회를 넘는 등 큰 국내외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3-09-16 10:3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