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신한자산운용이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시장에 발맞춰 출시한 공모펀드가 수타고 300억원을 넘어섰다. 4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펀드’ 설정액(3일 기준)은 30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200억원이었던 수치는 연초 이후 디폴트옵션 클래스뿐 아니라 리테일 및 퇴직연금 자금을 흡수하며 100억원 이상 늘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세 발표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서도 성과를 지키고 있다. 지난 3일 기준 최근 6개월 수익률은 6.67%로 같은 기간 코스피(-2.18%), 코스닥(-10.14%), S&P500(-0.68%), 나스닥100(-1.81%)을 웃돌았다. 지난 2023년 12월 설정된 이 상품은 향후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제를 주도할 미국 주식(60%)과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추구하는 국내 채권(40%)에 나눠 투자한다. 효율적인 자산배분으로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구조로 설계했다. 국내 출시된 디폴트옵션 펀드 중 업계 최저 수준인 합성총보수 0.22%로 설계돼 동일 유형 평균치(0.66%) 대비 대폭 낮다. 특히 미국주식 및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는 장기 변동성 축소 및 환헤지 비용 절감을 위해 환노출(UH) 전략을 취하고 있다. 류지은 신한자산운용 WM마케팅기획실 실장은 “퇴직연금 펀드 특성상 긴 투자기간을 고려했을 때 운용전략이 명확하고 보수율이 낮아야 유리하다”며 “해당 상품 설계부터 자산배분까지 디폴트옵션에 최적화 돼있어 은퇴 자금을 마련하는 투자 수단으로 적합하다”고 말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5-04-04 09:13:53[파이낸셜뉴스] 신한자산운용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펀드 시리즈 3종 설정액이 올해 초 대비 3배 넘게 성장했다. 자금 유입 요인은 결국 수익률이었다. 13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신한자산운용 펀드 시리즈인 신한마음편한TDF,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 신한밸런스프로 합산 설정액(8일 기준)은 1328억원으로 집계됐다. 연초(405억원) 대비 227% 증가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3개 상품 설정액은 각각 771억원, 119억원, 33억원 늘었다. 이는 디폴트옵션 펀드 규모 1000억원 이상 자산운용사 중 가장 빠른 성장세다. 이 중 수탁고 증가에 가장 기여한 상품은 ‘신한마음편한TDF’ 시리즈다. 2030, 2035, 2040, 2050 빈티지 평균 1년 수익률은 12.26%로 이 기간 디폴트옵션 펀드 평균수익률(10.55%)을 웃돌았다. 지난해 12월 출시한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은 짧은 운용기간에도 불구하고 운용 능력을 인정받아 지난 5월 하나은행 디폴트옵션 저위험 포트폴리오에 새롭게 편입됐다. 미국주식과 국내채권을 활용한 업계 최저보수 수준의 자산배분 상품이다. 투자자가 사전에 정한 위험 성향에 맞춰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배분하는 ‘신한밸런스프로적극형’은 밸런스드펀드(BF) 중 1년 수익률(16.76%) 전체 2위를 기록했다. 류지은 신한자산운용 DT/마케팅기획 실장은 “향후 금리인하 사이클에서 원리금보장상품으로는 물가상승률조차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며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효율적인 투자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 실장은 이어 “20~30대를 위한 신한마음편한TDF2060 빈티지와 신한디딤글로벌EMP 등을 출시해 연금투자자에게 다양한 선택지와 효율적인 투자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08-13 09:46:56[파이낸셜뉴스] 신한자산운용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펀드 운용규모가 1000억원을 넘어섰다. 안정적 운용성과와 장기투자에 적합한 다양한 전용 상품 라인업이 올해만 500억원 넘는 자금을 잡은 결과다. 17일 신한자산운용에 따르면 ‘신한마음편한TDF시리즈’,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 ‘신한밸런스프로 시리즈’ 등의 디폴트옵션 합산 수탁고가 1000억원을 돌파했다. 가장 기여도가 큰 상품은 ‘신한마음편한TDF시리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wlsks 13일 기준 모든 빈티지(2030·2035·2040·2050) 1년 성과는 각각 12.11%, 14.60%, 16.48%, 18.59%로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을 가리켰다. 2030을 제외하면 디폴트옵션 펀드 평균수익률(13.83%)을 웃돈다. 지난해 12월 설정 이후 짧은 운용기간에도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에 새롭게 선정된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도 연초 이후 수익률 8.55%를 기록 중이다. 디폴트옵션 편입 28개 밸런스펀드(BF) 평균 연초 이후 수익률(5.89%)을 약 2.66%p 초과한 수치다.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은 향후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제를 주도할 미국 주식(60%)과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국내 채권(40%)에 투자한다. 효율적인 자산배분으로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상품으로 설계했다. 또 퇴직연금 상품인 만큼 장기투자를 감안한 최저 수준의 보수도 장점으로 꼽힌다. 총 보수는 0.22%로 디폴트옵션 전용 전체 펀드 평균 총보수(0.45%) 대비 절반 수준이다. 신한자산운용 D/T마케팅기획실 류지은 실장은 “퇴직연금 관리는 은퇴 후 삶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준비 과정으로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인 디폴트옵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자산배분을 통한 상품 라인업 강화로 투자자들에게 최적의 투자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05-17 09:12:16[파이낸셜뉴스] 신한자산운용 밸런스드펀드(BF)가 올해 들어 6% 중반대 수익률을 내며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편입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30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신한빅사이클자산배분(주식혼합형)’ 연초 이후 수익률(25일 기준)은 6.55%로 집계됐다. 디폴트옵션에 편입된 BF 평균 성과를 2.56%p 초과한 수치다. 보수도 저렴하다. 퇴직연금이라는 장기투자에 있어 주요한 요인이다. BF 상품 중 가장 낮은 운용보수(0.08%)와 총보수(0.22%)로 구성했다. 해당 펀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나스닥100 등에 편입된 미국주식과 국내채권 사이 균형 있는 운용전략을 구사한다. 연금자산 투자에 적합한 자산배분 상품인 이유다. 향후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제를 주도할 미국 주식 투자(60%)로 장기적으로 자본차익을 추구하며, 안정적 이자수익을 위해 국내채권(40%)에 투자한다. 동시에 수시로 금융시장 환경을 고려해 리밸런싱을 할 예정이다. 류지은 신한자산운용 DT·마케팅기획실장은 “이 상품은 글로벌 대표 위험자산인 미국주식과 대표 안전자산인 국내채권을 활용해 자산배분에 최적화돼있다”며 “향후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 등 퇴직연금 대표 BF 펀드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펀드는 하나은행에서 가입 가능하며,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뿐 아니라 일반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투자할 수 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04-30 14:5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