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국 바이애슬론이 사상 처음으로 동계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에 성공했다. 영광의 주인공은 9년 전 러시아에서 귀화한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전남체육회)다. 압바꾸모바는 11일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여자 7.5㎞ 스프린트 경기에서 22분 45초 4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바이애슬론의 역대 아시안게임 최고 성적은 2003년 아오모리 대회 당시 남자 계주에서 따낸 은메달이었다. 경기 초반 2.4㎞까지 선두로 치고 나간 압바꾸모바는 이후 중국의 탕자린에게 선두를 내준 뒤, 2∼4위권을 유지하며 레이스를 펼치다 막판 스퍼트로 가장 먼저 레이스를 마쳐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압바꾸모바는 러시아 청소년 대표 출신으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을 위해 지난 2016년 귀화해 지금까지 태극마크를 달고 출전해왔다. 평창 올림픽 당시 여자 15㎞ 개인 경기 16위에 올라 한국 여자 선수 최고 순위를 보유 중이기도 하다. 평창 올림픽이 끝난 뒤 한국을 떠날 결심도 했으나, 2020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준비했다. 하지만 성적은 평창 때만큼 나오지 않았고, 이후 절치부심한 압바꾸모바는 이번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바이애슬론에 국제종합대회 첫 금메달을 안긴 주인공이 됐다. 대한바이애슬론연맹 관계자는 "압바꾸모바 선수가 한국을 굉장히 좋아한다. 평창 알펜시아 바이애슬론 센터 쪽에 소속팀 숙소에서 지내는데, 우리나라가 훈련하기에 환경이 정말 좋다고 한다"라며 "각종 국제대회에 태극마크를 달고 나서는 일을 평소에 굉장히 마음에 들어 했다. 압바꾸모바의 금메달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아시아권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게 증명됐다"라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
2025-02-11 14:41:22[파이낸셜뉴스] 러시아 출신 귀화 선수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전남체육회)가 한국 바이애슬론의 사상 첫 동계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수확했다. 압바꾸모바는 11일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2025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여자 7.5㎞ 스프린트 경기에서 22분 45초 4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 대한민국 선수단의 12번째 금메달이자 역대 아시안게임에서 이전까지 은메달(2003년 아오모리 대회 남자 계주)이 최고 성적이었던 한국 바이애슬론의 사상 첫 금메달이다. 바이애슬론은 크로스컨트리와 사격을 결합한 종목이다. 이번 아시안게임엔 여자 7.5㎞와 남자 10㎞ 스프린트, 여자 4×6㎞ 계주와 남자 4×7.5㎞ 계주 경기가 열린다. 압바꾸모바는 러시아 청소년 대표 출신으로 2016년 귀화했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때 여자 15㎞ 개인 경기 16위에 올라 한국 여자 선수 최고 순위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스프린트 종목에서는 입상은 예상됐으나 금메달 후보까지는 거론되지 않았는데, 아시안게임에서도 한국 바이애슬론의 새 역사를 썼다. 경기 초반 2.4㎞까지 선두로 치고 나간 압바꾸모바는 이후 중국의 탕자린에게 선두를 내준 뒤 치열한 경쟁을 이어갔다. 2∼4위권에서 달리던 압바꾸모바는 6.0㎞를 통과할 때도 탕자린에게 2초가량 밀린 2위였으나 막판에 힘을 내며 가장 먼저 레이스를 마쳤다. 압바꾸모바에게 2.4초 차로 뒤진 중국의 멍팡치(22분 47초 8)가 은메달을 가져갔고, 중반 선두를 지키던 탕자린은 3위(23분 01초 0)로 마쳤다. 또 다른 우리나라 귀화 선수인 아베 마리야(포천시청)가 10위(24분 12초 1)에 올랐고, 고은정(전북체육회)은 11위(24분 22초 0), 정주미(포천시청)는 14위(25분 21초 5)에 자리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5-02-11 13:33:33[파이낸셜뉴스] 밀라노 가는 길에 서광이 비쳤다.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가 다시 한번 중흥기를 맞이했다는 평가다. 대한민국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를 획득하며 개최국 중국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는 6개 종목에 걸쳐 총 222명의 선수단이 참가했으며, 일본(금10·은12·동15)을 큰 격차로 따돌리며 직전 삿포로 대회의 성과를 재현했다. 이번 대회에서 쇼트트랙 대표팀의 활약은 단연 돋보였다. 최민정(성남시청)은 혼성 계주와 여자 개인전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대회 유일한 3관왕에 올랐다. 비록 남녀 계주에서는 메달 획득이 불발됐지만, 쇼트트랙팀은 총 금메달 6개를 포함해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스피드스케이팅에서는 김민선(의정부시청)과 이나현(한국체대)이 각각 여자 500m와 1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특히 두 선수는 팀 스프린트에서도 합작 우승을 거두며 한국 빙속의 저력을 보여줬다. 이 두 선수는 밀라노에서도 충분히 금메달에 도전할 수 있는 선수들이다. 피겨스케이팅에서도 새 역사가 쓰였다. 차준환(고려대)과 김채연(수리고)은 일본의 강력한 도전을 제치고 나란히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피겨 사상 첫 '동반 우승'이라는 새 역사를 썼다. 설상 종목에서도 고무적인 결과가 이어졌다.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에서 이채운과 하프파이프의 김건희가 정상에 섰으며, 프리스타일 스키 하프파이프의 이승훈도 금메달을 추가했다. 또 바이애슬론에서는 귀화 선수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가 사상 최초로 대한민국에 금메달을 안기는 데 성공했다. 특히 스노보드에서는 10대 선수들의 기량 발전속도가 워낙 빨라 밀라노 올림픽을 기대해봐도 되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솔솔 나오고 있다. 컬링에서는 여자 대표팀 경기도청이 전승으로 우승을 달성하며 눈길을 끌었고, 남자부와 믹스더블에서도 은메달 소식이 전해졌다. 아이스하키 남자 대표팀은 비록 목표였던 금메달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동메달을 따내며 꾸준한 성과를 유지했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번 아시안게임을 통해서 쇼트트랙, 빙속 외에도 종목 다변화를 어느정도 이뤄냈다. 여기에 김길리(20), 이나현(20), 이채운(19), 김건희(17) 등 만 20세 이하 신예들이 다수 등장한 것은 다가올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에 대한 기대치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기에 충분하다는 평가다. jsi@fnnews.com 전상일 기자
2025-02-16 14:24:13[파이낸셜뉴스] 한국 바이애슬론 여자 대표팀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여자 계주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이번 성과는 대표팀의 꾸준한 노력과 귀화 선수들의 활약이 결합된 결과로 평가된다. 대표팀은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전남체육회), 고은정(전북체육회), 아베 마리야(포천시청), 정주미(포천시청)로 구성됐으며, 13일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4×6㎞ 경기에서 1시간29분27초3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우승은 1시간29분6초3을 기록한 개최국 중국에 돌아갔고, 카자흐스탄은 1시간30분1초9로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는 러시아 출신 귀화 선수 압바꾸모바가 두각을 나타냈다. 그녀는 지난 11일 여자 7.5㎞ 스프린트 경기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바이애슬론 역사상 첫 동계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안긴 데 이어 이번 은메달로 대회 두 번째 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한국 바이애슬론 역사상 최초로 한 선수가 단일 대회에서 두 개의 메달을 따낸 사례다. 이번 성과는 또한 한국 바이애슬론이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두 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사례로, 이는 지난 1999년 강원 대회 이후 무려 26년 만이다. 경기 초반부터 한국은 좋은 흐름을 보였다. 특히 2번 주자인 압바꾸모바가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며 선두를 유지했고, 이어진 주자인 아베도 안정적인 경기를 펼쳤다. 마지막 주자로 나선 정주미는 한때 중국과 카자흐스탄에 추격당해 순위가 내려앉았으나, 경기 후반 다시 역전에 성공하며 팀에 은메달을 안겼다. 바이애슬론은 크로스컨트리와 사격이 결합된 종목으로, 한국은 과거 세계 및 아시아 무대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했으나, 최근 귀화 선수 영입 이후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꾸준한 발전세를 보이며 국제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한편, 대표팀은 이날 오후 열리는 남자 4×7.5㎞ 계주에서도 추가 메달 획득 가능성을 노리고 있다. jsi@fnnews.com 전상일 기자
2025-02-13 14:4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