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올해 들어 계란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미국에서 계란을 밀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밀수는 미국과 비교해 계란 가격이 3분의 1 수준인 멕시코 국경에서 주로 적발됐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현지 관세국경보호청(CBP) 자료를 인용해 미국 농무부의 공식 검역 절차를 거치지 않은 계란 밀수가 최근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농무부는 질병 방지 등을 이유로 미국에 계란을 반입할 때 반드시 검역을 요구하며, 첫 적발 벌금은 300달러 수준이다. CBP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사무소는 지난해 10월 이후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입국자로부터 달걀을 압수한 건수가 전년 대비 158% 늘어났다고 집계했다. 텍사스주 남부 접경 도시 라레도의 CBP 사무소에선 같은 기간 달걀 밀수 단속 사례가 54% 증가했으며, 미국 전국적으로도 36% 늘어났다. WSJ는 지난달 텍사스주 엘패소 검문소에서 한 픽업트럭 운전자가 좌석과 예비 타이어에 필로폰을 몰래 숨겨 반입하려다 적발됐다면서, 정작 국경 요원들은 해당 트럭에 숨겨져 있던 밀수 계란에 놀랐다고 전했다. 미 노동부 물가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A등급 큰 계란의 12개 묶음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2월 5.9달러(약 8600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년 전의 3달러(약 4300원)에 비교하면 2배 수준으로 올라 현지에서는 '에그플래이션'(eggflation·달걀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공포감이 커지고 있다. 대도시의 일부 소매점에서는 12개 묶음 가격이 10달러를 넘는 경우도 확인됐다. 반면 멕시코 정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멕시코의 계란 가격은 12개 묶음 기준으로 2달러 미만, 일부 국경 도시에서는 2.3달러 수준이다. 미국의 계란 가격이 오른 표면적인 이유는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공급이 줄었기 때문이다. 미 농무부는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1320만마리의 산란계를 살처분했으며, 올해 1월 들어서도 AI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농무부는 계란 가격 안정을 위해 지난달 발표에서 최대 10억달러(약 1조45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법무부는 대형 공급 업체들의 담합 의혹 조사를 시작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2025-03-17 05:25:59[파이낸셜뉴스]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폭등, '에그플래이션'(eggflation·계란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미국 노동부 소비자물가 통계 발표에 따르면 미국에서 12개들이 A등급 대란(大卵)의 평균 소매가격이 지난 1월 4.95달러로 전월 대비 15.2% 급등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53% 오른 가격이다.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의 확산으로 계란값이 크게 올랐던 2023년 1월의 4.82달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1월 계란 가격 상승률은 월간 기준 지난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다. 미 노동부는 계란 가격 상승이 1월 가정 내 식품 물가 상승분의 3분의 2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농무부는 지난해 12월 한 달간 1320만마리의 산란계를 살처분했다.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은 지속세다.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서는 계란 공급 상황에 따라 일반 식료품 매장에서 계란 품귀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식당 프랜차이즈 와플하우스는 와플, 햄버거, 샌드위치 등 판매 메뉴에 계란이 들어갈 경우 50센트(약 700원)을 추가로 받는 정책을 3일부터 시행했다. 계란 가격 급등은 미국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키우는 것은 물론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며 미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미 노동부는 이날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올랐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온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만이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2025-02-13 14: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