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하이트론씨스템즈(이하 하이트론)의 주가가 강세다. 하이트론이 주총에서 미국 나스닥 상장사 엑시큐어 유증에 2차로 참여한다는 소식에 바이오 신사업 강화 기대감으로 관심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19일 오전 9시 49분 현재 하이트론은 전일 대비 110원(+3.53%) 상승한 32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8일 하이트론은 이사회를 열고 엑시큐어에 2차로 870만 달러를 투자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우선 1차로 130만 달러를 투입한만큼 총 1000만 달러를 태운 셈이다. 주당 발행가액은 3달러로, 모든 투자가 이뤄질 경우 하이트론은 엑시큐어 지분 약 60%을 보유한 최대주주가 된다. 엑시큐어는 하이트론을 최대주주로 맞이한 이우 지피씨알 한국 법인으로부터 핵심 파이프라인을 넘겨받고 지피씨알USA(미국 100% 자회사) 인수합병을 통해 핵심 연구 개발 인력을 확보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투자받은 금액으로 나스닥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겠단 계획이다. 하이트론의 자금 수혈로 엑시큐어도 상장 유지 조건을 만족시키며 재도약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엑시큐어는 지난 5월 나스닥 상장폐지 대상으로 지정됐으나 하이트론이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거래를 지속할 수 있게 됐다. 하이트론은 유상증자와 함께 이사회 이사 선임을 통해 엑시큐어 경영권 인수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엑시큐어는 핵산 치료제 선도적 기업으로 신경질환, 종양염증성질환, 기타 유전질환 핵산 치료제 등을 개발 중이다. 하이트론 관계자는 "당사는 엑시큐어 인수 이후 지피씨알(GPCR) USA와 함께 바이오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하이트론은 핵산 치료제 신약 개발사 엑시큐어와 세포 표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막 단백질인 GPCR에 특화된 항암제를 만드는 지피씨알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2-19 09:52:09[파이낸셜뉴스] 하이트론씨스템즈(이하 하이트론)가 인수한 미국 나스닥 상장사 엑시큐어가 최근 2거래일간 80%가 넘는 주가 상승율을 보이며 대량거래가 터져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된다. 19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엑시큐어는 전일 대비 1.88(47.72%)달러 상승한 5.82 달러의 상승율을 기록했다. 18일 주가 상승율(35.86%)에 이어 2거래일간 82% 급상승한 것이다. 엑시큐어의 이번 급상승 배경엔 하이트론으로부터 자금조달과 함께 나스닥 상장유지 조건 등 시너지 효과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 지난 5일 하이트론은 엑스큐어에 1000만 달러(약 138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주당 발행가액은 3달러로 하이트론은 오는 12월 중순 2차 투자가 완료되면 이사회 이사 선임을 통해 인수를 마무리 짓는다. 하이트론의 투자 집행으로 엑시큐어는 나스닥 상장 요건도 충족 가능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간 엑시큐어는 소송 발생액 등 영향으로 자본금 관련 지속 상장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이번 증자이후 요건이 충족될 것으로 봤다. 여기에 지난 14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된 엑시큐어의 3분기 재무결과에 따르면 순손실 폭도 대폭 줄였다. 실제 올 3분기 엑시큐어는 110만 달러(약 1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동기 530만 달러(73억원) 순손실 대비 대폭 감소한 수준이다. 하이트론 관계자는 "당사는 엑시큐어 인수 이후 지피씨알(GPCR) USA와 함께 바이오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하이트론은 핵산 치료제 신약 개발사 엑시큐어와 세포 표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막 단백질인 GPCR에 특화된 항암제를 만드는 지피씨알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1-20 14:55:26[파이낸셜뉴스] 국내 코스피 상장사인 엑시큐어하이트론이 인수한 미국 나스닥 상장사 엑시큐어가 급성 골수 백혈병(AML)에 대한 새로운 임상 시험계획을 발표해 눈길을 끈다. 15일 엑시큐어는 선도 자산인 소분자 CXCR4 억제제인 GPC-100(burixafor)에 대한 업데이트를 공유했다. 엑시큐어는 GPC-100을 사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임상 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회사는 GPC-100이 현대 AML 치료 요법과 결합하면 이러한 높은 미충족 임상 적응증에서 결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엑시큐어에 따르면 재발성 또는 불응성 AML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한 1상 화학 감작 연구는 이전에 GPC-100의 최초 개발자인 타이젠에 의해 수행됐다. 이 연구에서 GPC-100은 플루다라빈 및 시타라빈과 결합해 안전성과 예비 효능을 평가했다. 팸 베커 박사가 엑시큐어의 자회사인 지피씨알 테라퓨틱스 USA와 협력하여 발표한 전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GPC-100 및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과 함께 CXCR4의 이중 억제가 화학 요법 반응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치료 접근 방식은 미국, 일본, 호주, 대만에서 부여된 확장된 특허 포트폴리오로 보호된다. 엑시큐어 관계자는 “급성 골수 백혈병 외에도 GPC-100은 현재 자가 줄기세포 이식(ASCT; NCT05561751)을 받고 있는 다발성 골수종(MM)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2상 임상시험에서 평가중이며, 이 연구의 임상시험 결과는 2025년 4분기에 나올 예정”이라며 “엑시큐어는 급성 골수 백혈병 및 다발성 골수종 외에도 겸상 적혈구 질환, 소아 종양학, 세포 및 유전자 치료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잠재 적응증을 평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5-04-15 11:23:25[파이낸셜뉴스]코스피 상장사 하이트론씨스템즈(이하 하이트론)이 기업 재무 안정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하이트론 주가는 오후 2시 31분 전거래일 대비 23.57% 하락한 1605원에 거래되고 있다. 오전에는 가격제한폭으로 떨어지기도 했으나 하락폭을 반납하는 모습이다. 회사는 전날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진 채 마감했다. 주가 추락에 하이트론은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고 적극 방어하고 나섰다. 하이트론에 따르면 회사는 소액공모를 포함해 세 차례 유상증자로 115억원의 자본을 확충했다. 하이트론은 지난해 9월 말 현금성자산을 131억원 보유 중이다. 하이트론 관계자는 "미국 나스닥 상장 자회사인 엑시큐어에 유상증자 1000만달러(원화로 137억원)을 투자했지만, 엑시큐어의 지분을 60.54% 보유해 재무제표를 연결기준으로 작성하게 된다면 2024년 12월 말 현재로 하이트은 연결기준으로 현금을 325억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유동성은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가적으로 엑시큐어는 하이트론 이외의 투자자로부터도 400만 달러를 더 투자 받았다"면서 "하이트론은 실질적으로 380억 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으로 기존 2023년 8월에 발행된 23회 전환사채 180억원은 2025년 1월 현재 대부분 보통주로 전환되어 자본은 180억원이 증가되어 회사의 자본이 확충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로 인해서 기존 부채비율 1796%에서 79.57%로 급감하여 회사의 자본 안정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라고 부연했다. 한편, 하이트론은 지난달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상호를 '엑시큐어하트론'으로 변경하고 바이오 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자본 확충도 단행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2025-01-17 14:35:28[파이낸셜뉴스] 유앤디 하이트론씨스템즈(이하 하이트론) 대표가 업계 일각에서 우려하는 한국 거래소와의 마찰과 이로 인한 지피씨알과 바이오 사업 불확실성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7일 유 대표는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한국거래소의 입장을 존중하고 당사에선 거래소가 원하는 모든 관련 이슈에 대해 적극 소명하는 한편 마찰을 빚었다는 일각의 보도나 소문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라며 "지피씨알USA를 인수해 나스닥 상장사 엑시큐어의 핵산 치료제에 대한 라이센싱 아웃과 함께 기존 IP들을 적극 활용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단, 지피씨알 한국과의 기업결합이 해당하는 지분 스왑이나 직접 투자는 없을 것이라며 단언했다. 그러면서 "국내법과 거래소 규정을 존중하고 해당사항에 대해 규정을 따르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거래소의 의견을 존중할 것“이라며 ”벌점 역시 당사가 고의성이 없다는 것을 거래소측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잘 해결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부연했다. 하이트론은 지난 5일 나스닥 상장사인 핵산치료제 신약 개발사 엑시큐어(Exicure)투자 합의서를 체결했다. 하이트론은 엑시큐어에 1000만 달러(138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 할 계획이다. 우선 1차 투자로 130만 달러를 집행하고 2차로 870만 달러를 투자한다. 주당 발행가액은 3달러다. 재무부분과 관련해서도 유 대표는 "200억의 자금 조달은 납입이 끝난 상태이고, 추가적으로 발표한 105억, 100억 총 405억원 자금 외에 해외 기관 투자자들과 추가로 자금 유치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바이오 사업을 진행 할 기본적인 자금은 모두 준비를 마친 상태"라고 언급했다. 그는 "지피씨알의 다발성 골수염 치료제 지피씨100은 현재 미국에서 임상 2상 중인데 1차 충족점을 달성했고, 현재 해당 중간 결과를 분석중“이라며 ”이와 관련한 IP와 권리를 하이트론이 다 사오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피씨알은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 관련 IP를 미국 자회사인 지피씨알 테라퓨틱스(GPCR Theraputics)에 이전하고 나스닥 상장회사인 엑시큐어는 지피씨알 테라퓨틱스를 인수·합병할 계획이다. 유 대표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지피씨알과 전략적 제휴를 이행하고, 지속적으로 공동사업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라며 “조만간에 세부적인 계획과 개별 프로젝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1-07 14:52:00[파이낸셜뉴스] 하이트론이 표적항암제 신약개발기업인 지피씨알과 신약 바이오 사업 협력을 위해 미국 나스닥 상장사의 유증에 본격 참여한다. 또한 28, 29회차 전환사채 철회 공시를 통해 자금 조달 이슈도 해결했다. 이로써 그간 시장에서 우려하던 신약개발 사업 무산 대신 미국 나스닥 상장을 통해 임상 자금을 조달해 지피씨알과 신약사업을 이어 간다는 계획이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하이트론은 제 28회, 29회차 전환사채 철회를 공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하이트론은 지난 9월 28회, 29회차 전환사채를 발행해 지피씨알과 타법인 출자 및 지분 맞교환을 추진했지만 이를 한국거래소가 우회상장 의도가 있다며 제동을 걸었다. 다만 이번 전환사채 발행 철회 대신 하이트론은 미국 나스닥 상장회사인 엑시큐어(Exicure Inc)에 137억 7900만원 규모의 제 3자 배정에 유증에 참여해 지분 60.54%를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하이트론 자기자본 대비 158%에 해당 하는 규모이며 취득 예정일자는 오는 14일이다. 엑시큐어는 독점적인 SNA(구형 핵산)기술을 기반으로 세포에 들어갈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중이며, 다국적 제약사들과 파트너쉽을 보유 중이다. 앞서 하이트론과 지피씨알은 지난 1일 공동사업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실제 하이트론이 재무적 지원을, 지피씨알은 신약 개발을 맡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지피씨알USA의 파이프라인 가운데 △미국 다발성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조혈모세포 가동화제제 △급성골수성백혈명 및 췌장암 등 고형암 대상의 면역항암제 등 적응증 확장 △GPCR을 표적으로 하는 비만치료제 발굴 및 개발 △발굴한 고형암, 유전질환, 특발성 폐섬유증, 비만 등 신규 표적의 검증, 후보물질 스크리닝, 특허 출원 및 권리확보, 비임상실험, 임상시험 및 인허가 등 신약개발의 전 분야를 함께 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 체결은 지피씨알USA의 빠른 바이오 사업화를 위한 결정으로 알려졌다. 하이트론 고위 관계자는 “하이트론이 지피씨알과의 전략적 제휴의 일환으로 미국 나스닥 상장회사 엑시큐어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지피씨알과 바이오 사업을 미국 시장에서 이어서 진행키로 했다”라며 “실제 미국 FDA 2상과 관련해 새로 인수한 나스닥 상장사에서 임상 자금을 조달하면서 주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피씨알은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 관련 IP를 미국 자회사인 지피씨알 테라퓨틱스(GPCR Theraputics)에 이전하고 나스닥 상장회사인 엑시큐어는 지피씨알 테라퓨틱스를 인수·합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1-05 19: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