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넥써쓰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2분기 매출 약 93억 원, 영업이익은 약 3억 원으로 2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넥써쓰는 상반기 메인넷 ‘어드벤처’와 통합 앱 ‘크로쓰x’ 출시로 플랫폼 기반을 완성한 뒤 ‘로한2’, ‘SHOUT!’, ‘Project N’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 온보딩 계약과 투자를 통해 라인업을 강화했다. 커뮤니티형 플랫폼 ‘크로쓰 플레이’는 누적 가입자 수 100만 명을 돌파하며 빠르게 유저 기반을 확보했다. 파이드픽셀즈, 버스8 등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콘텐츠 다양성과 창작 환경도 확장 중이다. 특히 버스8과 독점 파트너십을 통해 누구나 프롬프트로 게임을 제작해 크로쓰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했다. 이와 함께 사업의 한 축을 담당할 스테이블코인 역시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KRWx 명칭을 BNB체인에 선제 등록하고 상표권을 출원했으며 전담 조직 신설과 전문 인력 영입을 통해 실행력을 높였다. 이 외, 재무 전략으로 비트코인(BTC)과 스테이블코인을 50:50 비율로 균형 있게 운용하는 트레저리 전략을 채택했고, 넥써쓰는 5일 이사회를 통해 30억원 규모의 비트코인 매입을 결의했다. 크로쓰 코인은 바이낸스 알파, 비트겟 등 글로벌 거래소에 이어 국내 코빗과 코인원에서도 거래가 시작되며, 게임과 토큰이 연결된 플랫폼 이코노미 구조를 완성했다. 이에 따라 넥써쓰는 하반기부터 크로쓰 플랫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한다. 최근 ‘로한2’ 티저 페이지를 오픈하고 ‘픽셀 히어로즈 어드벤처’ 온보딩 일정을 발표했다. 여기에 중국 넷이즈 출신 S급 개발자가 창업한 블록체인 SLG 장르 개발사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장현국 대표는 “개발사 투자와 파트너십으로 플랫폼 라인업을 확보하고, 스테이블코인 사업 기반을 구축했다”며 “향후 게임 온보딩과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양축으로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2025-08-05 11:16:35[파이낸셜뉴스] TYM이 2·4분기 연결 기준 매출 2626억원, 영업이익 242억원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수요 둔화 속에서도 북미 시장 공급망 효율화와 현지 맞춤 전략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TYM의 2·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2158억원) 대비 22.0% 증가했다. 전 분기(2257억원)와 비교해도 16.3%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42억원으로 전년 대비 101.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26억원을 기록, 전년보다 33.3%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도 TYM은 매출 4383억원(전년 대비 11.4%↑), 영업이익 396억원(73.1%↑)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TYM 관계자는 "북미 시장에서 노스이스트 캠퍼스 기반의 공급망 효율화와 딜러망 확대, 현지 맞춤형 제품 전략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오는 7일(미 동부 기준) 발효되는 미국 상호관세 15% 부과에 따른 부담은 변수로 꼽힌다. TYM은 고마진 중심 포트폴리오 운영과 시더타운 기반 현지 대응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계획이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2025-08-05 10:44:13[파이낸셜뉴스] 금호석유화학이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 구매 심리 위축과 시장 경쟁 심화 등으로 올해 2·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절반 가량 줄었다. 금호석유화학은 연결 기준 올해 2·4분기 영업이익이 65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5.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77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순이익은 577억원으로 56.1% 줄었다. 사업 부문별로는 올해 2·4분기 합성고무 부문 매출은 6745억원, 영업이익은 8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전분기보다 4.8%포인트 내린 1.3%를 달성했다. 합성수지 부문 매출은 2982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53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1.5%에서 1.8%로 소폭 개선됐다. 지난 1·4분기 19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페놀유도체 부문은 올해 2·4분기 23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로 돌아섰다. 매출은 4326억원을 기록했다. 오는 3·4분기에도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호석유화학측은 "3·4분기에도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수요 약세와 전방산업 수요 회복 불확실성으로 시장가격 약세가 예상된다"며 "고부가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NB라텍스의 수익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5-08-01 16:05:04[파이낸셜뉴스] 보령은 올해 2·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2515억원, 영업이익 254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은 10.1%로 처음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52% 감소했다.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3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억원 줄었다. 보령은 자가·전략 제품 등을 중심으로 영업력을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자가 제품의 비중은 꾸준히 상승해 52.6%를 차지했다. 이번 2·4분기 자가 제품 매출은 1322억원에 달했다. 보령은 핵심 전략 품목 중심의 포트폴리오 합리화를 통해 3대 만성대사질환 영역에서 약진을 거뒀다. 고혈압 치료제 '듀카브', 이상지질혈증 '엘제로젯', 당뇨 '트루버디' 모두 각 시장 대비 약 2배 성장하며 경쟁력을 강화했다. 별도 손익을 살펴보면 제약사업은 2·4분기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했다. 컨슈머헬스케어는 시장 침체 및 재고 정상화로 인해 수익이 악화됐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7-31 17:30:59[파이낸셜뉴스] JW중외제약의 2·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00% 이상 증가하는 등 호실적을 시현했다. JW중외제약은 31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2·4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이 18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54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103.3% 증가, 영업이익률은 13.4%로 두 자릿수를 회복했다. 당기순이익은 정기세무조사에 따른 추징금 납부 영향으로 일시적인 적자 전환이 발생했다.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ETC) 부문 매출은 1563억원으로 전년 동기(1379억원) 대비 13.3% 증가하며 전체 실적을 이끌었다.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바로젯’은 25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35.3% 성장했고, ‘리바로’ 단일제를 포함한 리바로 패밀리(리바로/리바로젯/리바로브이)는 총 474억원으로 18.4% 증가했다.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는 153억원의 실적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4.0% 성장했고,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악템라’는 0.5% 증가한 6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5월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 고용량 철분주사제 ‘페린젝트’는 4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92.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수액제 부문은 618억원으로, 전년 동기(604억원) 대비 2.3% 증가했다. 고부가가치 종합영양수액제 ‘위너프’ 제품군은 3.1% 성장한 200억원, 기초수액은 202억원으로 2.5% 증가했으며, 경장영양수액제 ‘엔커버’는 102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15.9% 성장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전문의약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운영과 고부가가치 제품의 성장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도 오리지널 의약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7-31 16:54:30[파이낸셜뉴스] DL이앤씨는 31일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2025년 2분기 매출 1조9914억원, 영업이익 1262억원, 신규수주 9626억원이 예상된다고 공시했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87.5% 증가했다. 영업이익이 1000억원대를 기록한 것은 2022년 4분기 이후 약 2년 6개월 만이다. 영업이익률도 4.7%p 상승해 실적 개선세를 보였다. 연결기준 2분기 원가율은 87.3%다. 지난해 3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90% 이하의 원가율을 달성하며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2022년 2분기 87.2% 이후 최근 3년 사이 가장 낮은 원가율이다. 특히 주택 사업 부문의 원가율이 전년 동기 93.0% 대비 5.8%p 낮아진 87.2%를 기록하며 수익성 향상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 DL이앤씨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조496억원, 순현금은 1조153억원을 보유하며 대형건설사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분기 말 기준 연결 부채비율은 96.0%, 차입금 의존도는 10.6%에 그쳤다. 신용등급도 2019년부터 7년 연속 건설업종 최고 수준인 'AA-(안정적)'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경기 침체와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어려운 업황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2분기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및 탄탄한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수익성이 담보된 양질의 신규 수주를 이어가면서 하반기에도 실적 향상세를 더욱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act@fnnews.com 최아영 기자
2025-07-31 15:18:46[파이낸셜뉴스]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2·4분기 연결 기준 매출 17조5560억원, 영업이익 6070억원, 순이익 84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국내외 철강 수요 둔화와 보호무역 강화 등 불리한 대외 환경 속에서도 매출은 전분기 대비 0.68%, 영업이익은 6.9% 증가하며 2분기 연속 실적 개선세를 이어갔다. 철강 부문은 판매량 및 판매가 확대와 철광석·원료탄 등 주원료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35.6% 증가한 61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특히 포스코(별도 기준)의 영업이익률은 5.7%로, 지난 2023년 3·4분기 이후 가장 높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설비 효율화 △에너지 비용 절감 △디지털 전환(DX) 등 원가구조 개선 노력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홀딩스는 향후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철강 본원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수소환원제철 상용기술 개발 등 미래형 제철 전환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차전지소재사업은 신규 공장 가동 초기 비용과 리튬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다소 약화됐지만 △리튬 직접추출 기술 개발 △공급망 내재화 △유상증자 등을 통해 중장기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시장의 본격 성장에 대비해 핵심 기술과 재무 기반을 강화 중이다. 인프라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가스전·팜농장 등 자원개발 사업에서 견조한 수익을 올렸으나 포스코이앤씨의 건설 원가 상승 영향으로 전체 이익은 감소했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상반기 중 11건의 구조개편을 통해 약 350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하반기에도 47건의 구조조정을 통해 총 1조원 규모의 현금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7-31 14:38:00[파이낸셜뉴스] HD현대의 조선 부문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연결기준 2분기 매출이 7조4284억원, 영업이익 9536억원이라고 31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3%, 153.3% 증가했다. 조업일수 확대와 생산성 향상, 고선가 선박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엔진기계 부문의 매출 증가 등으로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조선 부문은 건조 물량 증가와 선가 상승분 매출 반영으로 매출 6조254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9.3% 성장이다. 영업이익은 8056억원으로 같은 기간 104.5% 증가했다. 엔진기계 부문은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 수요 확대와 인도 물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9.6% 증가한 매출 7740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20.7% 증가한 2011억원이다. 해양플랜트 부문은 주요 프로젝트 매출 인식 확대와 수익성 개선 등이 반영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6.9% 증가한 2479억원의 매출과 37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계열사별로는 HD현대중공업이 매출 4조1471억원, 영업이익 4715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성장을 주도했다. HD현대삼호와 HD현대미포도 각각 매출 2조1187억원과 1조2345억원, 영업이익 3717억원과 894억원을 기록, 실적을 뒷받침했다. HD현대마린엔진은 고부가가치 엔진의 매출 비중 확대와 판매가격 상승, 생산 효율성 개선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6.7%, 영업이익 91.2% 증가한 각각 993억원, 174억원을 기록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매출 1337억원, 영업이익 151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국내외 시장에서의 태양광 모듈 판매 확대와 신규 고효율 모듈의 판매 호조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7-31 13:47:54[파이낸셜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1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2분기 지상방산 매출액은 1조7732억원, 영업이익은 5543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31.3%"라고 밝혔다. 이어 "수주잔고는 31조7000억원"이라며 "4월 인도K9자주포 및 폴란드KRAB 자주포차체구성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7-31 10:06:46[파이낸셜뉴스] 유한양행이 폐암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의 기술이전 수익에 힘입어 올 2·4분기 실적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기록했다.30일 유한양행은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2·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90.1% 증가한 45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556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늘어났다. 이번 실적 호조의 가장 큰 배경은 기술료 수익의 급증이다. 유한양행은 폐암치료제 렉라자의 일본 상업화와 관련해 글로벌 제약사 얀센으로부터 약 207억원 규모의 마일스톤 수익을 수취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기술료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4500% 이상 증가한 255억원으로 집계됐다. 해외 사업 부문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2분기 해외 매출은 114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8.1% 늘었다. 다만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는 다소 온도차가 있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은 전년 대비 9.7% 증가한 574억원을 기록한 반면, 최근 의료계 집단행동의 영향을 받은 처방의약품(ETC)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누적 실적도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상반기 누적 매출은 1조25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43억원으로 148.1% 늘어났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7-30 15:2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