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페라테너 임형주(37·사진)가 영국왕립예술학회(RSA) 종신 석학회원에 선정됐다고 소속사 디지엔콤이 26일 밝혔다. 1754년 창립된 영국왕립예술학회는 찰스3세 국왕 산하 왕립단체이자 세계 최고 권위의 예술학회로, 종신 석학회원은 인문예술 분야 등에서 국제적으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인물들 가운데 입회를 희망하는 자를 대상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한다. 주요 석학회원으로는 아담 스미스, 찰스 디킨스, 벤자민 프랭클린, 마리 퀴리, 넬슨 만델라, 스티븐 호킹, 주디 덴치 등이 있다. 소속사는 임형주가 종신 석학회원에 선정된 배경에 대해 "지난 2003년 세계 데뷔 이후 성공적인 음악 활동을 펼쳐온 점 외에도 오랜 기간 예술로서 인류화합, 세계평화증진을 위한 활발한 사회봉사 및 자선활동을 전개해온 점 등을 높이 평가한 것 같다"고 전했다. 한편, 임형주는 “한·영 수교 140주년이 되는 올해 영국왕립예술학회 종신 석학회원 가입 승인이 이뤄져 기쁘다"며 "양국의 문화예술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기 위해 더욱 연구하고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3-12-26 15:58:57【파이낸셜뉴스 런던(영국)=서영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대한민국 정부는 과학기술 협력 파트너로서 영국과의 공고한 연대를 제안하고 희망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영국 왕립학회에서 개최된 한-영 최고과학자 과학기술미래포럼에서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글로벌 이슈 해결은 물론 인류 자유와 후생 증진을 위해 한국과 영국 과학자들이 긴밀히 협력하고 연구·공유해 주시길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 발전의 속도와 그 복잡성은 우리에게 지금보다 높은 수준의 협력과 연대를 요청하고 있다"며 "뛰어난 천재 한명이 세상을 바꾸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여러 인재들이 함께 공동연구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내는 것이 현대 과학기술 발전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예측하기 어려운 전염병, 에너지 자원 고갈, 기후위기 등 인류의 미래를 전 지구적으로 위협하는 도전 과제들은 한 나라의 기술혁신과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며 "최근 코로나 위기때 mRNA와 바이러스 연구를 토대로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해 전세계가 이를 함께 극복한 것이 좋은 사례"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정부의 성공적인 경제성장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과학기술연구에 힘을 쏟고, 이를 기반으로 강력한 산업화에 나섰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양적 위주의 성장에서 질적 위주의 성장으로, 추격형에서 선도형 전환하기 위해 이를 뒷받침하는 국가 R&D 지원체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은 "연간 230억달러가 넘는 국가 R&D 재정을 민간 시장에서 투자하기 어려운 기초원천기술과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 연구에 중점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라며 "영국왕립학회와 같은 세계 최우수 연구자들과의 글로벌 연구협력과 교류도 적극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오랫동안 교류해 온 영국 왕립학회와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 과학기술한림원이 중심이 돼 세계 최고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미래 연구자를 함께 양성할 수 있는 공동 연구 프로그램을 추진해 주시기 바란다"며 "대한민국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은 "아이작 뉴턴이 말했듯이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서면 더 멀리 볼 수 있다"며 "오늘 여기 모인 최고과학자들의 연대와 협력이 한영 양국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거인의 어깨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2023-11-22 22:01:11세계적인 권위의 영국 왕립 단체인 영국왕립예술학회가 영국 맨체스터혁신연구소의 박태제 박사연구원을 석학회원인 펠로우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1754년 설립된 영국왕립예술학회는 영국 왕실의 공식 단체로 정식 명칭은 왕립 예술, 제조, 상업학회(Royal Society of Arts, Manufactures and Commerce)이다. 영국왕립예술학회의 펠로우는 인류의 지적 발전에 지속 가능성을 갖는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들에게 엄격하게 심사를 거쳐 선정되며, 공식적으로 왕실헌장에 의해서 왕립예술학회로부터 이름 뒤에 FRSA(왕립예술학회 펠로우)라는 직위를 공칭 받는 영예를 얻는다. 지난 250여 년간 영국 왕실은 아담 스미스, 찰스 디킨스, 벤자민 프랭클린, 마리퀴리, 칼 마르크스, 넬슨 만델라, 스티븐 호킹 등의 세계적인 석학들을 영국왕립예술학회 펠로우로 승인했다. 박태제 펠로우는 대표적인 혁신생태계 정책 전문가로 한국과 영국에서 여성과 청년을 위한 초기 기업가정신생태계 조성에 기여해 왔다. 현재는 유럽 최고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씽크탱크인 영국 맨체스터혁신연구소(Manchester Institute of Innovation Research)에서 기업가정신생태계와 전환적혁신정책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액셀러레이터 중 한 곳인 킥스타트아시아 이사회 의장을 겸하고 있다. 영국왕립예술학회의 펠로우쉽은 왕실헌장(Royal Charter)과 펠로우십차터(Fellowship Charter)에 의해 펠로우 신분을 구분하는 공식 직위 사용에 대한 명예와 특권을 인정받는다.
2022-06-10 13:22:36"노벨상은 연구의 '부산물'일 뿐 '목표'가 돼서는 안 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초청으로 28일 서울대를 찾은 벤카트라만(벤키) 라마크리슈난 영국 왕립학회 회장은 일본, 중국과 달리 노벨상 수상자를 한 명도 내지 못하고 있는 한국을 향해 이같이 조언했다. 라마크리슈난 회장 역시 노벨상 수상자다. 세포 안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리보솜'의 3차원 구조를 풀어낸 공로로 지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는 "젊은 과학자라면 노벨상보다 본인이 어떤 질문을 가졌는지, 또 그 질문이 얼마나 재밌는 것인지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는 오래 걸리고 지루할 때도 있는데 재미가 있어야 끝까지 포기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라마크리슈난 회장은 본인 역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재미가 없어 생물학을 선택했다는 경험담을 전했다. 그는 과학자들이 연구소에만 머물지 말고 대중을 만나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국민의 세금으로 연구하는데 이를 어떻게 쓰는지 알려줘야 한다는 이유다. 그는 "대중강연을 하거나 저서를 남기는 과학자들에 대해 '연구 열심히 안 하는 사람'이라는 편견이 있는데, 이는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라마크리슈난 회장은 연구자가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돼야만 좋은 성과가 나온다며 영국의 '홀데인 원칙'을 소개했다. 정책 결정자가 연구에 대한 큰 주제를 정해줄 수는 있지만, 연구비와 연구에 대한 세부사항은 모두 과학자가 정한다는 내용이다. 한편 라마크리슈난 회장은 한국의 과학정책에 대해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투자율이 높다는 점이 가장 인상 깊다"며 긍정적으로 답했다. golee@fnnews.com 이태희 기자
2016-10-30 18:30:28\r \r \r \r \r \r \r \r \r \r \r \r \r 백점기 부산대 교수(왼쪽)가 브루스 로젠블랫 영국왕립조선학회 회장으로부터 '윌리엄 프루드 메달'을 전달받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r \r \r \r \r \r 부산대는 조선해양공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백점기 교수가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왕립조선학회의 '윌리엄 프루드 메달'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앞서 백 교수는 2013년 미국 조선해양공학회로부터도 미국과 유럽지역 이외의 인사로는 최초로 '데이비드 W 테일러 메달'을 수상한 바 있다.'윌리엄 프루드 메달'은 세계 조선해양계를 이끌고 있는 영국왕립조선학회가 세계적 공학자였던 윌리엄 프루드를 기리기 위해 지난 1955년 제정, 세계 조선해양계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과학자에게 부정기적으로 수여한다. 15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영국왕립조선학회 역사상 영국 지역 이외의 과학자로는 최초로 백 교수가 수상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백 교수는 선박 해양플랜트 안전설계 분야의 핵심 원천기술 연구개발에 탁월한 공적을 이뤄냈다. 백 교수는 "부산대와 겸직 중인 런던대 동료 교수와 학생들, 산업계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업과 지원에 감사드린다"며 "특히 부산대에 로이드선급재단 우수연구센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10년에 걸쳐 220만파운드의 연구비를 지원해주고 있는 영국 로이드선급재단에 감사한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sr52@fnnews.com 강수련 기자 \r \r \r
2015-05-04 16:59:19기초과학연구원(IBS)과 영국 왕립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IBS-영국왕립학회 리서치 컨퍼런스가 20일~21일 양일간 서울대에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IBS 연구단장과 영국왕립학회 펠로우 등 30여명의 국내외 최고 수준 과학자들이 연사로 참석한다. 특히 뇌세포 위치정보 처리 연구로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John O'Keefe 교수(영국 UCL)가 20일 컨퍼런스의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two memory systems in the temporal lobers: hippocampus and amygdala'주제로 연설했다. John O'Keefe 교수는 21일에도 컨퍼런스에 참여하며 오후 2시에는 성낙인 총장과 접견을 가질 예정이다. cynical73@fnnews.com 김병덕 기자
2014-10-20 17:06:40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4일부터 7일(이하 현지시간)까지 영국을 방문, 창조경제 벤치마킹 행보를 보이고 있다. 먼저 최 장관은 5일 오전에 영국 최고 학술단체인 왕립학회를 찾아 한국기초과학연구원(IBS)과 왕립학회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최 장관은 6일 오전 영국 내각부를 방문해 정보통신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정례적인 한·영 정보통신기술(ICT) 정책협의회를 신설해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에너지기후변화부와 원자력 해체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한편 최 장관은 6일 오후 영국 임피리얼 대학에서 개최되는 '한·영 창조경제 포럼'에 참석, 상호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hwyang@fnnews.com 양형욱 기자
2013-11-06 16:55:38부산대학교는 조선.해양공학과 백점기 교수(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장) 연구팀이 영국왕립조선학회로부터 다섯번째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백 교수팀은 1995년, 2003년, 2008년, 2010년에 이어 2013년에도 최우수논문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kjs0105@fnnews.com 강재순 기자
2013-01-22 14:03:53[파이낸셜뉴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00년 이상 잘못 사용돼 온 동북아시아 자생식물 ‘참두메부추’의 학명을 바로잡아 이를 국제 식물학계에 공식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단순한 명칭 변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통용돼 온 학명의 오류를 바로잡은 중요한 학술적 이정표로 평가된다. 참두메부추는 한국 강원도 고성군 해안을 비롯해 북한, 중국 동북부, 러시아 연해주 등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줄기에 날개처럼 납작하게 돌출된 구조와 약간 구부러진 선형의 잎, 구형 꽃차례에 연한 자주색의 종 모양의 꽃이 특징이다. 독일의 식물학자 빌덴노(Willdenow)가 지난 1814년 이 식물을 'Allium spirale Willd.'라는 이름으로 처음 학계에 소개했으며, 이후 이 학명은 국내외 다양한 문헌과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랫동안 표준으로 사용돼 왔다. 그러나 최근 영국 큐 왕립식물원이 운영하는 세계 최대 식물 데이터베이스인 POWO (Plants of the World Online)는 이 식물을 1812년 독일 식물학자 슈바이거(Schweigger)가 발표한 이름 'Allium spirale Schweigg.'으로 변경해 표기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표기는 충분한 분류학적 검토없이 국제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 사례로 국내외 식물학계와 관련 연구자들에게 큰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국립수목원과 창원대학교는 공동연구를 통해 두 학명의 원기재문과 관련 문헌자료를 면밀히 비교·검토했다. 이를 통해, 슈바이거가 1812년 기술한 식물은 ‘속이 찬 원형의 화경’과 ‘나선 모양으로 꼬인 평평한 잎’을 특징으로 하며, 동아시아산 참두메부추(날개가 달린 화경과 약간 구부러진 평평한 선형의 잎)와는 명백히 다른 식물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200년간 사용된 1814년 명칭은 국제명명규약(ICN)에서 규정하는 '후일동음명(later homonym)'에 해당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됐다. 후일동음명은 국제명명규약에 따라 동일한 이름이 선행 발표된 경우 이후에 출판된 이름은 사용할 수 없도록하는 것이다. 공동연구진은 참두메부추의 새로운 학명으로 'Allium alatoscapum J.E. Jang, H.J. Choi & D.C. Son'을 제안했으며, 이 명칭은 최근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정식으로 게재됐다. 새 이름인 ‘alatoscapum’은 라틴어 ‘alatus (날개)’와 ‘scapus (화경)’을 합친 말로, 이 식물이 지닌 날개 달린 화경의 독특한 형태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 임영석 산림청 국립수목원장은 “자생식물의 이름을 바로잡는 일은 국가 생물주권을 지키고 우리 연구의 전문성과 신뢰를 각인시키는 중요한 학술적 작업”이라며 “앞으로도 정확한 식물 분류와 이름 정리를 통해 국립수목원이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7-02 09:40:01올해 설립 32주년을 맞이한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미래를 선도하는 개척자(The Pathfinder Leading the Future)'를 표방하며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창의적인 연구와 글로벌 협력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미래 연구에 나서고 있다. ■창의성과 자율성…연구성과 높여 GIST만의 실험적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연구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바로 '무한도전 프로젝트'다. 이는 2016년 시작된 '딴짓이 혁신의 씨앗이 된다'는 독창적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운영 중이다. GIST는 올해 10주년을 맞아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딴짓'을 중심으로 참가 팀을 모집했다. 모두 19개 팀이 선정돼 오는 23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11월까지 본격적인 연구활동에 나선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주제를 자유롭게 정하고 소정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실무 경험을 동시에 쌓는다. △AI 기반 반려동물 맞춤 의류 서비스 창업 △국회 법안 해설 GPT 플랫폼 개발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수상 등은 실질적인 사회적 파급 효과를 낳은 사례들이다. 무한도전 프로젝트는 아이디어 실현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 창출까지 나아가는 게 목표다. GIST의 연구 성과도 더 심화·확장되고 있다. 국내 유일의 광(光)과학·기술 전문연구소인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는 최근 '고등광기술연구원(APRI)'으로 승격됐다. GIST는 고등광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초강력 레이저 및 광기반 기술을 선도하고, 우주·국방·바이오·양자정보·에너지 등 국가 미래전략 분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 선도연구센터(IRC)로 선정된 'AI 기반 중대분자 연구센터'의 경우 저분자와 고분자의 중간 영역인 '중대(中大)분자' 분야에서의 신약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중대분자를 항체·약물 중합체(ADC)와 결합하면 암과 난치성 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어 신약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할 가능성이 커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글로벌 연구협력…세계 무대 공동연구 글로벌 공동연구도 속도를 내고 있다. GIST는 AI·바이오·에너지·환경 등 첨단 분야에서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활발한 국제 공동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AI 분야의 협력은 기술교류 차원을 넘어 혁신적인 연구 성과로 이어지며 GIST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일례로 AI융합학과 김승준 교수 연구팀은 MIT와 함께 자율주행차의 탑승객에게 필요한 안전정보를 최적 시점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0월 국제컴퓨터학회(ACM)가 선정한 상위 1% 논문상을 수상했다. 또 생명과학과 이선재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7월 영국 킹스칼리지런던(KCL), 스웨덴 왕립공과대학교(KTH), 프랑스 국립농업·식품·환경연구소(INRAE)와 공동으로 '인체 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를 세계 최초로 완성해 국제학술지 '지놈 리서치(Genome Research)'에 발표했다. GIST 측은 "GIST는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대학 및 연구기자와의 협업을 확대하며 국제 공동연구의 허브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30년 후인 2053년까지 세계 50위권 연구중심대학 진입, 글로벌 과학기술 인재 3만명 양성, 글로벌 석학 30명 배출, 유니콘급 기업 30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지안 기자
2025-05-14 18:2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