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국내 굴지의 자동차 부품기업 (주)디아이씨(DIC)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신성장사업 연구 협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주)디아이씨는 5일 울산시 울주군 본사에서 울산과학기술원과 산·학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공동 연구 및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을 본격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주)디아이씨 김성문 회장과 김정렬 대표이사, UNIST 박종래 총장과 김영식 산·학협력단장이 참석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에 따라 'DIC-UNIST 산학연구센터(가칭)'를 설립하고 △공동 연구 확대 △연구시설 공동 활용 및 기술 교류 △기업 맞춤형 전문 인재 양성과 재직자 교육 등의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디아이씨 관계자는 "UNIST의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과 당사의 신성장 사업 기술을 융합해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디아이씨는 이번 협약을 통해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플라스틱 해중합 분해 기술, 복합소재 개발 등 주요 신사업 분야의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디아이씨는 ESS 분야에서 화재 안전성을 극대화한 액침배터리 기술을 개발해 수많은 검증을 완료했으며, ESS 뿐 아니라 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기,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화재 시스템 개인 이동수단(전기킥보드, 전기오토바이) 등 다양한 시장에 진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목표다. 또 플라스틱 해중합 분해 기술을 활용해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재활용하는 친환경 공정을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 모델을 실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경량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복합소재 개발을 통해 자동차·산업용 부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디아이씨는 연구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기술의 실증화를 검증해 신사업 진출을 앞당길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유니스트의 배터리 관련 우수 인재 확보, 연구개발 촉진, 핵심 기술의 고도화 등 양 기관이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을 통해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2025-02-05 14:07:50◆울산과학기술원(UNIST) ◇보직 △정보바이오융합대학 생명과학과장 최장현 교수 △헬스케어센터장 정두영 부교수 △산학융합캠퍼스단장 양승준 부교수 ◇팀장 △교무처 Pioneers교육혁신팀장 신현배 선임행정원 △교무처 새내기학부 팀장 조아라 선임행정원 △입학처 학부입학팀장 백승민 선임행정원 △입학처 대학원입학팀장 김지연 책임행정원 △학술정보처 문헌정보팀장 이영철 선임행정원 △학술정보처 정보화전략팀장 임종희 책임행정원 △학술정보처 정보보안팀장 범수균 책임행정원 △공과대학 교학팀장 최용준 책임행정원 △자연과학대학 교학팀장 김영기 책임행정원 △연구처 연구기획팀장 이광호 선임행정원 △연구처 연구관리팀장 손수연 선임행정원 △산학협력단 산학기획팀장 전정민 선임행정원 △산학협력단 기술가치팀장 차수미 선임행정원 △산학협력단 창업지원팀장 강민욱 선임행정원 △산학협력단 기업육성팀장 장준용 선임행정원 △대외협력처 국제협력팀장 최영일 선임행정원 △연구지원본부 기획운영팀장 김철수 선임행정원 △연구지원본부 시험분석지원팀장 박지혜 선임행정원 △연구지원본부 공정가공지원팀장 이경선 선임행정원 △연구지원본부 슈퍼컴퓨팅센터 팀장 김선미 책임행정원 △산학융합캠퍼스단 통합행정지원팀장 조현래 책임행정원
2025-01-31 08:46:22◆울산과학기술원(UNIST) ◇팀장(전보) △교무처 교학기획팀장 김용휘 선임행정원 △기획처 기획팀장 서홍원 선임행정원 △학생처 생활지원팀장 황규진 책임행정원 △학생처 학생팀장 이현호 선임행정원 △행정처 인사팀장 정용호 책임행정원 △행정처 총무팀장 최소진 선임행정원 △헬스케어센터팀장 김선일 책임행정원 △발전기금운영단 발전기금팀장 강창식 선임행정원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팀장 최용준 책임행정원 △산학협력단 창업팀장 강민욱 선임행정원 △산학협력단 산학진흥팀장 전정민 선임행정원 △강소특구센터 특구육성팀장 장준용 선임행정원 ◇파트리더(전보) △인권센터 파트리더 박주현 선임행정원
2024-09-30 08:30:44◆울산과학기술원(UNIST) ◇처장 △행정처장 김령은 책임행정원 ◇센터장 △리더십센터장 최영도 책임행정원
2024-09-19 09:32:18[파이낸셜뉴스] IBK기업은행은 지난 26일 울산과학기술원과 우수 (예비)창업자 공동 발굴·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두 기관은 우수한 아이디어나 기술력을 보유한 우수 (예비)창업자를 발굴·지원하는데 적극 협력한다. 이를 위해 기술기반 창업팀을 공동 선발한다. 선발된 팀은 울산과학기술원 내 마련된 IBK창공 UNIST 캠프 공간에서 기업진단, 팀빌딩, 사업모델(BM) 수립, 창업교육, 멘토링·컨설팅, 기업공개(IR), IBK창공 선배기업과의 1대1 전담멘토제 등 다양한 UNIST-IBK창공 공동 육성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우수한 아이디어나 기술을 보유한 청년 창업가들을 적극 발굴·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번에 IBK의 여섯번째 창업공장 UNIST캠프를 통해 창업 생태계가 더 활성화되고 경제의 역동성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2-08-28 09:29:32◆ UNIST(울산과학기술원) <전보> △글로벌산학협력센터장 조원경 △리더십센터장 장부찬 △기획부장 김선일 △감사실장 권용태 △교무처 교무팀장 오숭록 △정보바이오융합대학 교학팀장 박정대 △기획처 기획팀장 전상호 △산학협력단 산학진흥팀장 장준용 △발전기금팀장 최소진
2022-08-01 10:45:18【 울산=최수상 기자】 의학교육의 명가 울산대학교와 의공학융합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공동으로 미래 의료 환경을 선도할 '의과학자'를 양성한다.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과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은 11일 울산대에서 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학술교류 협정식을 갖고 국내 최고의 의과학자 양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서울아산병원도 양 대학의 의과학자 양성 협력병원으로 참여해 바이오메디컬 분야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번 일은 '대학-특성화대학-협력병원'으로 체계화한 국내 의학 분야 교육·연구의 새로운 모델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의과학자는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는 의사과학자와 의료기술을 개발하는 의공학자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주도한 의료 선진국 사례에서 보았듯 치료제 개발 등 기초의학 분야와 의료기기 혁신 등 의공학 분야에서 막중한 역할을 한다. 양 대학은 협력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학적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주도할 의과학자를 양성한다'는 목표로 국내 최초의 예과-본과-대학원의 전주기적 의과학 교육인 '한국형 HST(Health Science and Technology)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HST는 미국 MIT와 하버드의대가 과학과 기술을 접목해 의과학자를 공동으로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 2023년 2학기부터 울산의대 학부생과 석·박사과정을 대상으로 전공기초교육을 하는 △MD(Medical Doctor, 의사과학자) HST 트랙, 울산과학기술원 학부생을 대상으로 해부학 등 임상중심교육을 하는 △ME(Medical Engineering, 의공학자) HST 트랙을 운영한다. 울산과학기술원은 이 프로그램으로 공학, 자연과학 등 분야 10개 전공이 참여하는 의과학원을 개설한다. 울산과학기술원은 KAIST, POSTECH과는 달리, 협력의대(울산의대)를 가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의과학원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임상 분야에 한정된 의과학자가 아닌, 국내 최초의 '공학 기반 의사과학자' 교육 모델을 확립해 노벨상 의과학자 배출에 도전하겠다는 목표이다. 이에 따라 내년 2학기 울산의대 예과 1학년 40명이 울산과학기술원 학생들과 함께 '메디컬AI' '재생재활공학' '게놈공학' 등 예비 의과학자로서의 기초 교과목을 이수하게 된다. 이번 프로그램을 제안한 김승후 울산의대 학장은 "의대 졸업생들이 병원으로만 진출하지 않고 의과학자의 길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학부과정에서부터 연구 및 의료기기의 중요성을 경험하는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고 소개했다. 프로그램을 함께 설계한 정웅규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메디칼학과장은 "각각 이론-임상 통합교육과 의공학융합교육으로 특화된 대학 2곳이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보완, 최적의 의과학자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ulsan@fnnews.com
2022-07-11 18:10:05조원경 전 울산시 경제부시장(사진)이 지난 1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로 임명됐다. 대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산학협력, 국제협력 분야에서 활약할 예정이다. 조 교수는 경북 상주 출신으로 행정고시 34회로 1991년 4월 공직에 첫발을 디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책본부 조세본부장, 기획재정부 통상조정과장, 대외경제총괄과장, 대외경제협력관, 국제금융정책국 금융심의관 등을 역임했다.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협상을 총괄하고, 우리나라 공무원으로 처음 '세계 주요 20개국 모임(G20)' 회의에서 국제금융체계 실무그룹 공동의장을 맡는 등 실력을 인정받아 지난 2020년 2월 5일 울산시경제부시장에 임명됐다. 한편 조 부시장은 지난달 29일 이임식에서 명예 시민증과 공로패를 받았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2022-07-03 18:47:13◆ 울산과학기술원(UNIST) ◇승진 △대외협력처 대외협력팀 대외협력실장(부장) 김학찬 ◇전보 △헬스케어센터 팀장 김재현 △교무처 교학기획팀 팀장 이현호 △안전시설관리본부 연구실안전팀 팀장 윤성욱 △자연과학대학 교학팀 팀장 이재천
2022-04-28 15:01:35포스코케미칼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함께 배터리 소재 전문 인재 육성에 나선다. 포스코케미칼은 26일 울산과학기술원에서 울산과학기술원과 'e-배터리 트랙 과정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사장은 “최근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배터리소재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데, 탁월한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울산과학기술원과의 협력을 통해 K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선발된 학생들이 배터리 산업의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2-04-26 13:4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