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화 방산 3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한화오션)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지난 12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국가유공자, 국방대학교 외국군 장교, 순직군경 및 전몰군경의 가족 등 410여명을 초청해 한화이글스 홈경기를 관람하는 행사를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한화 방산 3사는 참석자와 관람객들에게 ‘121723 끝까지 찾아야 할 태극기’ 보훈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한 태극기 배지 2만여 개를 배포했다. 캠페인은 6∙25전쟁 75주년을 맞아 한화 방산 3사가 국가보훈부,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과 함께 진행한다. 6∙25전쟁에서 조국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웅들을 끝까지 잊지 말고 그 유해를 찾자는 염원을 담아 K9 자주포의 철을 활용한 태극기 배지를 제작했다. 경기에 앞서서는 제2연평해전(2002년) 당시 양다리에 총상을 입은 상황에서도 참수리 357호정을 지휘하며 북방한계선(NLL)을 지킨 이희완 국가보훈부 차관은 천안함에서 전사한 ‘46용사’ 중 한 명인 고 김경수 상사의 장녀 김다예 씨에게 태극기 배지를 달아줬다. 특히 경기에서 이 차관이 시구를 하고, 연평도 포격전(2010년) 당시 북한의 122㎜ 방사포에 파편상을 입고도 만기 전역한 이한 전상군경이 시타를 하며 의미를 더했다. 고상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사업장장은 “2016년부터 진행한 국가유공자 초청 한화이글스 홈경기 관람 행사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며 “호국영웅들을 국민과 함께 끝까지 기억하고 기리는 보훈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화이글스는 두산과의 접전 끝에 3대 2로 승리하며 3연승을 이어갔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5-06-13 15:39:19[파이낸셜뉴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제2연평해전과 연평도 포격전의 두 영웅, 이희완 차관과 이한 전상군경이 프로야구 경기에서 각각 시구·시타자로 나선다. 11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이들은 12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KBO리그' 정규 시즌 한화이글스-두산베어스 경기에서 시구·시타를 진행한다. 이 차관은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 당시 양다리에 총상을 입은 상황에서도 참수리 357호정을 지휘하며 북방한계선(NLL)을 사수했다. 이 기억을 되살려 이 차관은 시구자로서 등번호 '629'를 달 예정이다. 그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하신 호국영웅들에 대한 존경과 고마움을 잊지 않고 기억하고 보답한다는 호국보훈의 참 의미를 국민께 전달할 수 있는 프로야구 시구를 맡아 기쁘고 영광”이라며 “일상 속에서 보훈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더 만들어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상군경은 2010년 연평도 포격 당시 갓 입대한 19세 이등병으로, 북한의 122㎜ 방사포에 의해 얼굴과 왼쪽 다리 등 4곳에 파편상을 입고도 만기 전역한 국가유공자이다. 세계상이군인체육대회인 '인빅터스 게임'의 2029년 한국유치 염원을 담아 등번호 '29'를 달기로 했다. 그도 “연평도 포격전의 승리를 이끌었고, 2025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에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로서 5종목에 출전했던 저의 불굴의 의지와 좋은 기운을 담아 대한민국이 2029년 인빅터스게임 유치를 응원하겠다”고 밝은 미소로 답했다. 한편 경기 당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는 오후 2시부터 K9 자주포 철을 활용해 만든 태극기 배지를 무료로 배포한다. 태극기 배지는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국군 전사자 12만1723명을 상징한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2025-06-11 10:17:35국민연금공단은 14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국가유공자 구술 자서전 발간 기념회를 개최한다. 이번 발간사업은 국민연금공단과 신중년 세대로 구성된 사회적경제조직(꿈세생애설계협동조합)이 공동 기획하고 단국대 등 대학생이 참여했으며, 서울지방보훈청이 협업해 실시했다. 자서전 발간은 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서 진행한 신중년 특화교육 ‘작가탄생 프로젝트’로부터 시작됐다. 작가탄생 프로젝트는 노후준비 방법을 모색하는 5060세대가 자신의 삶이나 관심사에 대해 책을 쓰는 교육과정이다. 공단과 협동조합이 함께 선택한 주인공은 국가유공자였다. 국가에 헌신한 분들의 삶을 재조명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맞춰, 그분들의 자서전을 제작하기로 한 것이다. 다만 유공자들이 고령과 병환으로 직접 글을 쓰기 힘든 것을 고려하여 구술한 내용을 참여자들이 기록하는 방식으로 기획했다. 여기에 사회공헌활동에 관심 있는 대학생도 참여시켰다. 이번 자서전 사업에 참여한 국가유공자는 애국지사 임우철님, 이영수님, 참전유공자 김병갑님, 임기현님, 무공수훈자 심문원님, 전상군경자 이한우님이다. 서울지방보훈청이 이번 사업에 도움을 줬다. 이번 자서전 출간을 위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공단 직원, 신중년, 대학생이 각 한 팀을 이루어 국가유공자를 인터뷰했으며 2개월의 원고 편집 과정을 거쳐 총 6권의 자서전을 완성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18-11-14 09:3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