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고려아연이 지난해 9월 지분 투자로 경영권을 확보해 자회사로 편입한 로보틱스 솔루션 기업 ‘로보원(ROBOne)’이 2025 CES에서 2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 로보원이 개발한 ‘폐기물 선별 로봇’ 로빈(ROBin)이 스마트시티와 지속가능성·에너지&전력 분야에서 혁신상을 받았다. 국내 로보틱스 솔루션 기업인 로보원은 로봇과 자동화 시스템, 인공지능 선별 로봇, 협동 로봇 솔루션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2025 CES에서 혁신상을 받은 대표 제품인 로빈에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융합한 AIoT 기술을 적용했다.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로빈은 폐기물이 컨베이어 위로 지나가면 비전(카메라)이 이를 인식하고 로봇에 달린 진공 블로어를 통해 목적물을 스스로 잡아낸다. 앞서 고려아연은 로보원의 인공지능 폐기물 선별로봇을 활용해 미래 신성장 동력인 ‘트로이카 드라이브’의 자원순환 분야, 즉 전자폐기물(E-Waste) 선별공정 상당수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봇 회사에 대한 투자 인수를 단행했다. 이후 첫번째 프로젝트로 이번에 2개 부문에서 혁신상을 휩쓴 ‘폐기물 선별로봇’ 로빈을 지난해 11월 미국 계열사인 이그니오 에브테라(evTerra) 시카고 허브에 설치해 현재 운전 중이다. 이를 위해 고려아연과 이그니오 기술진들이 합심해 해당 로빈을 최적화했다. 로빈의 압도적인 로봇 성능과 효율성은 이번 CES 2025에서 2개 부문에 걸쳐 혁신상을 수상하는 원동력이 됐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로빈을 통해 e-Waste로부터 파쇄∙선별한 알루미늄 스크랩의 순도를 높이고, 동과 은, 금 등이 포함된 PCB, 축전기 등에서 추가적인 유가금속을 회수해 효율성 제고와 원가 절감, 스마트팩토리 실현에 앞장설 것”이라며, “앞으로 미국 전역 총 6곳의 지역 허브에 있는 에브테라 공장에 순차적으로 로빈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고려아연은 ‘폐기물 선별 로봇’ 로빈을 현장에 설치하고 운용함으로써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이를 다른 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로봇 관련 기술 투자도 병행할 예정이다. 폐배터리 선별처리와 제련소 공정 빅데이터 활용 등 자원순환과 기존 제련 분야 뿐만 아니라 트로이카 드라이브 전체로 산업로봇 적용 범위를 확대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5-01-09 15:45:47【 인천=한갑수 기자】 재활용폐기물을 수작업으로 종류별로 골라내야 하는 재활용 선별장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자원순환 선별시스템(선별로봇)이 도입됐다. 인천환경공단은 남부권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송도생활자원회수센터)에서 AI 기반 선별로봇 제작·설치 사업 완료에 따른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내 재활용 사업장 대부분이 인력을 투입해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재활용품을 분류하고 있으나 사고 발생 위험과 먼지·악취, 소음 등 열악한 환경으로 늘어나는 재활용폐기물을 제대로 선별하기 어려운 상태다. 인천시는 지난해부터 이 사업을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해 지난 7월 본격 사업에 들어가 11월 선별로봇 도입 및 부대시설 공사를 마치고 시운전을 실시했다. 공단은 재활용 선별장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국·시비 5억8200만원을 투입해 선별로봇 2대를 인천시 남부권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에 설치했다. 선별로봇은 AI 기반의 로봇 제어방식 분류시스템을 적용해 재활용(플라스틱 5종, 캔, 유리)품을 선별하는 설비다. 송도자원회수센터는 선별로봇을 플라스틱 선별공정에 투입해 운영한다. 1분당 플라스틱을 최대 85개, 1시간당 5100개를 선별할 수 있으며 분류 정확도는 99.4%에 달한다. 이 선별로봇은 현재 경기도 고양시 민간선별장에서도 운영 중이다. 공단은 선별로봇 설치로 생긴 잉여 인력을 다른 공정에 투입하거나 신규 공정을 추가 설치해 성상에 따른 선별품 품목을 다변화(알루미늄캔, 유리병 등)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날 시연회에는 최계운 인천환경공단 이사장과 인천시 자원순환과 직원, 연수구·중구 재활용 관련 직원 등 관계 기관 임직원들이 참석해 선별로봇의 폐기물 재활용 선별과정을 살펴봤다. 송도자원회수센터의 2023년 선별품 회수율은 73.7%였으며 공단은 이번 선별로봇 도입으로 회수율이 2023년 기준 2.6%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플라스틱 선별량도 2023년 기준 1066t에서 1364t으로 295t 증가하고 판매수익도 7억3000만원으로 1억6000만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송도자원회수센터는 인천시 연수구·중구 단독주택과 상가에서 발생하는 재활용폐기물 처리 시설로 2017년 1월 운영을 시작해 연평균 1만t의 재활용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16종의 재활용품을 선별해 연간 10억원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다. 최계운 이사장은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먼지와 악취, 소음 등으로 고생하는 근무자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앞으로 선별로봇을 확대 설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2024-12-30 18:10:53【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재활용폐기물을 수작업으로 종류별로 골라내야 하는 재활용 선별장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자원순환 선별시스템(선별로봇)이 도입됐다. 인천환경공단은 남부권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송도생활자원회수센터)에서 AI 기반 선별로봇 제작·설치 사업 완료에 따른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내 재활용 사업장 대부분이 인력을 투입해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재활용품을 분류하고 있으나 사고 발생 위험과 먼지·악취, 소음 등 열악한 환경으로 늘어나는 재활용폐기물을 제대로 선별하기 어려운 상태다. 인천시는 지난해부터 이 사업을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해 지난 7월 본격 사업에 들어가 11월 선별로봇 도입 및 부대시설 공사를 마치고 시운전을 실시했다. 공단은 재활용 선별장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국·시비 5억8200만원을 투입해 선별로봇 2대를 인천시 남부권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에 설치했다. 선별로봇은 AI 기반의 로봇 제어방식 분류시스템을 적용해 재활용(플라스틱 5종, 캔, 유리)품을 선별하는 설비다. 송도자원회수센터는 선별로봇을 플라스틱 선별공정에 투입해 운영한다. 1분당 플라스틱을 최대 85개, 1시간당 5100개를 선별할 수 있으며 분류 정확도는 99.4%에 달한다. 이 선별로봇은 현재 경기도 고양시 민간선별장에서도 운영 중이다. 공단은 선별로봇 설치로 생긴 잉여 인력을 다른 공정에 투입하거나 신규 공정을 추가 설치해 성상에 따른 선별품 품목을 다변화(알루미늄캔, 유리병 등)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날 시연회에는 최계운 인천환경공단 이사장과 인천시 자원순환과 직원, 연수구·중구 재활용 관련 직원 등 관계 기관 임직원들이 참석해 선별로봇의 폐기물 재활용 선별과정을 살펴봤다. 송도자원회수센터의 2023년 선별품 회수율은 73.7%였으며 공단은 이번 선별로봇 도입으로 회수율이 2023년 기준 2.6%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플라스틱 선별량도 2023년 기준 1066t에서 1364t으로 295t 증가하고 판매수익도 7억3000만원으로 1억6000만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송도자원회수센터는 인천시 연수구·중구 단독주택과 상가에서 발생하는 재활용폐기물 처리 시설로 2017년 1월 운영을 시작해 연평균 1만t의 재활용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16종의 재활용품을 선별해 연간 10억원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다. 최계운 이사장은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먼지와 악취, 소음 등으로 고생하는 근무자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앞으로 선별로봇을 확대 설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24-12-30 13:53:14[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대전시는 23일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사업’ 선정기업과 실증기관 담당자들이 모여 '착수 회의(Kick-off)'를 열고 본격 사업 추진에 나섰다고 밝혔다.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사업은 혁신기술을 개발하고도 초기 시장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29개 기업 신청 기업 중 전문가 기술 평가 및 발표 평가 등을 거쳐 최종 9개 기업이 선정됐다. 대전교통공사, 충남대병원, 대전테크노파크,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 10개 공공기관이 실증기관으로 참여해 선정기업의 실증절차를 지원한다. 사업별 선정기업과 실증기관은 △대전지하철 외삼기지 구조물 변위계측을 통한 광섬유 각도 센서 적용성 검증(에프비지코리아·대전교통공사) △안전한 도로 구축을 위한 스마트 도로 노면 감지센서 및 데이터 플랫폼 실증(모바휠·시 건설도로과) △비전기반 요양시설 인공지능 낙상 실증(와이티·시립 제2노인병원)등이 있다. 또 △비침습 혈당측정기 체험을 통한 빅데이터 수집 및 인공지능(AI)성능 개선(에이치엠이스퀘어·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유성보건소) △키오스크를 활용한 다중 드론 운용 및 배송 서비스 실증(나르마·대전테크노파크) 다중이용시설 사물인터넷(IoT)기반 무정전 에너지 안전관리시스템 실증(에프에스·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사업 등도 있다. 이외에도 △AI기반 간편형 호흡기 질환검사기의 기초 신뢰도 및 타당도 규명(티알·충남대병원)참여 △로봇 무인 카페 시스템의 제빙기 냉각 시스템 개선 및 음료의 맛 실증(플레토로보틱스·대전테크노파크) △재활용선별장의 폐비닐 등 잔재물 새활용(upcycling) 향상을 위한 자원순환 시범거리 조성(이프랜트·대전 동구청) 등 모두 9개 과제 실증에 나선다. 선정기업은 지역 공공기관에 시제품을 설치해 애로 기술 해결과 품질 향상을 위한 실증을 진행하고, 실증기관은 선정기업의 원활한 실증을 위해 공간과 현장 모니터링 등을 제공한다. 또한 선정기업과 실증기관은 ‘공공실증기관 협의회’를 구성해 기업 제품들이 실제 사업화로 진행될 수 있도록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실증이 완료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확인서를 발급해 제품 상용화와 초기 판로개척 및 시장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김영진 대전시 창업진흥과장은 “대전에는 공학, 과학연구·개발을 기반으로 첨단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제작 판매하는 딥테크 기업이 많다”며 “딥테크 기업들이 초기에 원활히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1년도‘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은 2022년에 매출 101%(67억→135억 원), 고용 38%(159→221명)가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3-05-24 08:4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