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국에 필로폰을 밀반입했던 대만 최대 폭력조직 죽련방(竹聯幇) 두목 황사오천이 4일 오전 노환으로 사망했다. 중시신문망 등 현지 매체들은 5일 황사오천이 설 전날 타이베이 재향군인종합병원으로 이송돼 숨졌다고 보도했다. 그는 천식과 당뇨, 고혈압 등을 앓아 몇 년 사이 건강이 악화됐다고 한다. 황사오천은 죽련방 초대 보스이자 정신적 지주인 천치리(陳啓禮)의 지목으로 1995년 두 번째 두목이 됐다. 이후 30년간 조직을 이끌었다. 죽련방은 여러 분파가 통합되기 이전부터 두목이 다음 후계자를 고른다고 한다. 하지만 대만 경찰은 황사오천이 생전 차기 두목을 임명하지 않았다고 보고 그의 장례식을 주시하고 있다. 새로운 권력 구도가 장례식에서 드러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7년 천치리 영결식엔 조폭과 여야 정치인, 연예인 등 조문객 1만명이 몰렸었다. 이번 황사오천 장례식도 대규모로 치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죽련방은 중국 대륙에서 넘어온 세력을 기반으로 1950년대 후반 결성됐다. 초기 멤버들이 대만 신베이시 죽림로(竹林路)에 살았던 데서 따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중국 바이두의 온라인백과에 따르면 1970∼80년대 최전성기 당시 조직원은 10만명에 달했지만 최근에는 세력이 약화됐다고 한다. 대만에선 3대 폭력조직으로 죽련방, 사해방(四海幇), 천도맹(天道盟)을 꼽는다. 이들의 수입원은 주로 마약 밀매다. 지난 2018년 우리나라에 3700억원 상당의 필로폰이 밀반입됐는데 경찰 조사 결과 죽련방이 주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압수된 필로폰 112kg은 300만명이 투약할 수 있는 역대 최대 규모였다. 이후 2020년 동남아발 필로폰 유입 사건에도 죽련방이 연루됐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5-02-06 09:23:51【대전=김원준 기자】지난해 세관에 적발된 마약 총량이 전년대비 6배나 급증했다. 국내 마약시장 진출을 노린 중국계 마약조직의 밀수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관세청은 지난해 적발한 마약류는 모두 660건에 426㎏으로 전년(429건, 69㎏)과 비교해 건수는 약 1.5배, 중량은 약 6배가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적발된 마약류 가운데는 메트암페타민(필로폰)이 총 110건에 222.9㎏(전년비 622%↑)으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했으며, 코카인은 15건, 72㎏이 적발돼 건수는 전년과 같지만 중량은 약 600배나 늘었다. 대마류는 309건, 59.9㎏이 적발돼 전년대비 건수 171%, 중량 342%가 늘었으며, 양귀비종자류는 66건, 57.6㎏으로 전년대비 288%, 중량 514%가 증가했다. 반면, 합성마약 MDMA 등 기타 마약류의 경우 230건, 13.3㎏이 적발돼 전년대비 건수는 4% 증가했지만 중량은 12%감소했다. 지난해 메트암페타민 밀수가 증가한 것은 대만 마약조직 죽련방 등 대만·동남아 일대 중국계 마약조직이 우리나라 필로폰 암시장 진출을 노린 밀수 시도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죽련방과 연계된 필로폰 적발실적은 2017년 1㎏에서 2018년 161㎏으로 폭증한데 이어 올들어서도 현재까지 11㎏이 적발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메트암페타민은 미얀마 황금삼각지대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대량생산되고 있으며 한국·일본·호주 등지로 밀반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세청은 메트암페타민 밀수가 많은 일본·호주 등 아태지역 국가들과 마약운반책에 대한 정보공유 등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관세청은 이와함께 마약류 밀반입 적색경보를 발령하고 인력과 탐지 장비를 확충,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검찰·세관 합동 수사반을 편성하고 경찰청·국정원 국제범죄정보센터를 통해서도 정보 수집을 강화한다. 동남아 지역 세관 당국 등과 국제 합동 단속도 벌일 계획이다. 관세청 관계자는 "필로폰 주요 생산지인 동남아 세관당국과 밀반입 지역인 일본·호주 등 아태지역 세관당국과 마약류 밀수 차단을 위한 국제합동단속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19-01-24 11:0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