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베이징= 】 중눙그룹(CNAMPGC)과 중화그룹(Sinochem) 등 주요 요소 비축·무역기업 15곳이 2024년 수출총량 94만4000t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데 동의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5일 중국화학비료업계 온라인 플랫폼인 중국화학비료망에 따르면 업계 분석가 푸야난은 지난 1일 올린 글을 통해 "11월 24일 회의에서 주요 기업들이 2024년 요소 수출 자율(제한을) 협의했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통계를 보면 올해 1∼10월 중국의 요소 수출량은 339만t이었다. 한국은 올해 10월 기준 산업용 요소의 91.8%를 중국에서 수입한다. 푸야난은 "이들 15개 회사는 항구에서 수출검사증을 발급받을 수 있고, 다른 요소 생산기업은 공장에서 검사증을 받아야 한다"며 "각 업체의 수출량은 보증된 2023∼2024년 비축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일부 항구에선 (수출) 증빙서류를 갖고도 수출을 할 수 없고, 화물이 항구에 쌓여 있으며 항구 화물이 회수되는 현상도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글이 사실이라면 중국의 요소 수출길은 내년도 1·4분기까지 막히는 데다 내년 1년간 수출물량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가능하다. 한국 외교당국은 중국 당국이 국내 요소 수급을 우선 해결해야 하는 상황 때문에 통관보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주중 대사관 고위관계자는 전날 베이징에서 한국특파원들을 만나 "지난 1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해관총서(관세청), 상무부, 외교부에 요소 수입 애로를 제기하고 차질없는 통관을 요청하는 공한(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며 "중국 측 국가발전개혁위는 공한 발송 당일에 '관련 내용을 적시에 파악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jjw@fnnews.com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3-12-05 19:19:21【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눙그룹(CNAMPGC)과 중화그룹(Sinochem) 등 주요 요소 비축·무역기업 15곳이 2024년 수출 총량 94만4000t을 초과하지 않는다는데 동의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5일 중국화학비료업계 온라인 플랫폼인 중국화학비료망에 따르면 업계 분석가 푸야난은 지난 1일 올린 글을 통해 “11월 24일 회의에서 주요 기업들이 2024년 요소 수출 자율 (제한을) 협의했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통계를 보면 올해 1∼10월 중국의 요소 수출량은 339만t이었다. 한국은 올해 10월 기준 산업용 요소의 91.8%를 중국에서 수입한다. 푸야난은 “이들 15개 회사는 항구에서 수출 검사증을 발급받을 수 있고, 다른 요소 생산기업은 공장에서 검사증을 받아야 한다”며 “각 업체의 수출량은 보증된 2023∼2024년 비축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수출을 전면 제한한다는 소문이 또 나왔는데, 2024년 1·4분기까지 수출을 불허한다는 것”이라면서 “현재 일부 항구에선 (수출) 증빙서류를 갖고도 수출을 할 수 없고, 화물이 항구에 쌓여있으며, 항구 화물이 회수되는 현상도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글이 사실이라면 중국의 요소 수출길은 내년도 1·4분기까지 막히는 데다 내년 1년간 수출 물량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가능하다. 한국 외교당국은 중국 당국이 국내 요소 수급을 우선 해결해야 하는 상황 때문에 통관 보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중국화학비료망에는 이달 초 춘제(음력 설) 전까지 요소 공급량이 확실히 줄어들 것이라면서 12월 들어 요소 수출이 잠정 중단됐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한편 주중대사관 고위 관계자는 전날 베이징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지난 1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해관총서(관세청), 상무부, 외교부에 요소 수입 애로를 제기하고 차질 없는 통관을 요청하는 공한(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며 "중국 측 국가발전개혁위는 공한 발송 당일에 ‘관련 내용을 적시에 파악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3-12-05 15:19:02[파이낸셜뉴스] 8일 요소수 품귀 대란 공포가 고개를 들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는 외신보도가 발단이 됐다. 중국 최대 요소 생산·수출업체인 중눙그룹(CNAMPGC)이 최근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공식 계정을 통해 요소 공급을 관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요소수 대란은 중국의 공급망 교란이라는 공포를 떠올리게 한다. 중국 정부가 해외공급망을 교란하기 위해 희소성자원의 공급을 차단한다는 의혹이다. 그러나 요소수 대란 가능성은 중국 정부의 교란 의도보다 공급망의 수급 구조에서 벌어진 사안이라는 관점에서 냉정히 살펴봐야 한다. 얼마 전부터 요소시장의 이상조짐이 감지돼왔다. 중국 정저우 상품거래소에서 요소 선물 가격이 6월 중순부터 7월 말 사이 50% 급등한 이래 등락을 거듭했다. 전문가들은 중국내 재고가 줄고 해외 수출이 늘어났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으로 분석한다. 중국 내 수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수출을 차단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21년 벌어졌던 요소수 대란 상황도 이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중국은 당시 호주와의 '석탄 분쟁'에 따른 자국 내 요소 생산 위축과 공급 차질로 비료 수급난을 겪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비료 원료인 요소 수출을 통제했다. 그러나 중국산 요소수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한국이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디젤차 운용 중단 등 요소수 대란이라는 피해를 봤다. 발생 원인이 무엇이든 주요 품목의 공급 차질이 가져올 피해는 막대하다. 그런 면에서 정부는 이번 요소수 대란 가능성을 계기로 다시 한번 글로벌 공급망 관리를 바짝 조여야 할 것이다. 중국의 내부 사정이야 어떻든 간에 우리 경제에 불똥이 튀어 생산자와 소비자가 타격받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는가. 다행히 2021년 요소수 대란으로 낭패를 봤던 정부가 요소 비축 플랜을 가동한 바 있다. 이 덕분에 국내에서 두 달 가량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비축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측 공급망이 막힐 경우 대비책도 준비돼 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등 요소 대체 구입선을 마련해 놨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안감을 지울 수 없다. 2021년 요소수 대란을 겪은 뒤 한국은 중국의 요소수 수입 의존도를 60%대까지 낮춘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다시 중국산 의존도가 80%대를 넘어섰다. 글로벌 공급망 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요구된다는 말이다. 나아가 중국의 핵심광물에 대한 보복성 공급 중단 가능성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이번 요소수 문제는 단순히 중국내 수급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지만 미국과의 경제 전쟁을 펼치는 중국이 희소자원 공급을 무기화할 가능성을 배제 못하기 때문이다. 미중간 갈등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때다.
2023-09-08 10:17:22【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고 주요 외신이 7일 보도했다. 상황이 확산되면 한국도 피해 가능성이 있다. 다만 아직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를 확인해 주지는 않고 있다. 7일 외신은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 중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중국 대형 비료 제조업체 일부가 이달 초부터 신규 수출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다며 “이미 적어도 한 개 생산업체가 비료 수출을 줄인다는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다”고 전했다. 지난 2일 중국 최대 요소 생산·수출업체인 중눙그룹(CNAMPGC)은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공식 계정을 통해 “국내 요소 비수기·성수기 전환과 동계 비축의 중요 시기를 맞아, 최근 국내에선 요소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업체는 이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수출량을 줄이고, 시장 판매에 적극 나서 주요 농업 자재·비료의 국내 공급을 뒷받침하며 가격 안정을 지킬 것”이라고 피력했다. 중눙그룹은 “올해 4분기 국내 요소 생산 능력이 점차 예정대로 풀리면 중국의 요소 실물 생산량은 근래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해 국내 요소 공급을 충족할 것”이라면서 “국제시장의 공급도 회복돼 국제 가격 역시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중국 국내 구매자들을 향해 “이성적으로 매입하고,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은 피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시장 공급과 매점매석 반대, 투기행위 자제 등을 요청하기도 했다. 실제 최근 중국의 요소 가격은 출렁이고 있다. 정저우 상품거래소에서 요소 선물 가격은 6월 중순부터 7월 말 사이 50% 급등한 이래 등락을 거듭해 왔다. 이달 1일 요소 선물의 t당 평균 가격은 2356위안(약 43만원)으로 6월 12일의 1649위안(약 30만원)에 비해 크게 올라 있는 상황이다. 현지 선물거래 전문가들은 중국 내 재고가 감소하고 수출이 늘어난 까닭에 가격이 상승했다고 보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의 요소 수출량은 133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3% 늘었다. 7월 한 달 동안의 수출량만 32만t으로, 1년 전에 비해 114.7% 폭증했다.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인 중국의 수출 중단은 세계 곳곳에서 요소와 요소수 등 관련 상품의 부족 현상이나 가격 상승을 촉발할 수 있다. 특히 중국산 요소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로 꼽히는 한국과 인도, 미얀마, 호주 등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 디젤차 비중이 높은 데다 요소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은 2021년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요소수 품귀 현상을 겪은 바 있다. 한국의 요소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71.2%에서 지난해 66.5%로 떨어졌으나, 올해 상반기 89.3%로 다시 올라갔다. 중국 상무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외신 보도와 관련해 즉각적으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3-09-07 23:2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