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7일 낮 12시 5분께 경남 하동 옥종면 회신리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의 진화율이 8일 오전 5시 기준 99%라고 밝혔다. 밤새 돌풍의 영향으로 일부 재발화하는 구간이 있었지만, 산림당국은 진화장비 72대와 진화인력 667명을 배치, 산불 확산을 저지하고 휴양림 등 인근 마을과 주요 시설 피해를 막았다. 현재까지 산불영향구역은 68㏊로 추정되며 총 화선 4.65㎞중 4.59㎞는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산불현장에는 초속 5m, 최대풍속 17m의 서풍 5m이 불고 있다. 산불 영향권의 주민 506명이 옥천관과 옥종고 등으로 대피한 상태다. 불로 인해 산불 원인 행위자로 추정되는 주민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 31대 등 진화자원을 총동원해 오전 중 주불 진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4-08 08:40:17[파이낸셜뉴스]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발생한 산불 진압을 위해 야간에도 진화 인력이 투입된다. 주불이 잡히지 않고 확산되며 산불 2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불길이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7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기준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산불 진화율은 87% 수준이다. 산림당국은 낮 동안 진화헬기 36대와 장비 72대, 인력 753명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지만 주불은 잡지 못했다. 산불 현장에 투입됐던 헬기는 일몰과 함께 모두 철수한 상태다. 산림청 등은 인력 518명 등을 동원해 야간 진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현재 산불 영향 구역은 약 65.1㏊이며 총 화선은 약 4.6㎞다. 이 가운데 약 4㎞가 진화 완료돼 잔여 화선 길이는 약 0.6㎞로 파악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가용한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야간산불 진화 체제로 전환하고, 안전사고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낮 12시 5분께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한 야산에서 불이 났다. 불이 난 곳은 지난달 말 발생한 산청 산불이 번진 지점과 약 3㎞ 정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청에 따르면 산불이 시작된 곳 인근에 있던 70대 남성이 자체적으로 불을 끄다 양손에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산림당국은 해당 남성이 예초기 작업 중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진화가 완료되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면적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산림당국은 오후 1시 45분을 기해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 산불 1단계는 피해 예상 면적이 10∼50㏊ 미만으로 추정되는 산불에 발령한다. 이후 불길이 잡히지 않고 확산되자 오후 3시 30분을 기점으로 산불 2단계를 발령해 현재 유지 중이다. 산불 2단계는 예상되는 피해 면적이 50∼100㏊ 미만일 때 발령된다. 현재 산불 현장에는 최대 풍속 8㎧의 북북동풍이 불고 있다. 하동군은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주민에게 옥천관 및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하라고 안내했다. 현재 인근 주민 326명이 대피했고, 이중 214명은 대피소에 머무르고 있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관계기관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장비·인력을 투입해 산불 조기 진화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며 "산불 영향이 우려되는 지역의 주민을 신속히 대피시키고 선제적으로 방화선을 구축하는 등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우선으로 조치하라"고 긴급 지시를 내렸다. 이어 "산불 진화 시 산불특수진화대, 지자체 공무원 등 진화인력의 안전에도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4-07 20:43:04[파이낸셜뉴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7일 낮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율은 오후 7시 기준 87%라고 밝혔다. 산림당국은 주간 동안 진화헬기 36대를 동원, 진화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해가 지면서 진화장비 72대, 진화대원 753명을 동원해 야간 산불 진화 체제로 전환했다. 산불영향구역은 65㏊로 추정되며 총 화선은 4.6㎞로 0.6㎞에서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고, 4㎞는 진화가 완료됐다. 산불 영향권 인근 주민 326명이 옥천관과 옥종고 등으로 대피를 마친 상태다. 인명피해는 부상 1명으로, 산불 원인 행위자로 추정된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가용한 인력 및 장비를 총동원해 야간산불 진화 체제로 전환했다"면서 "특별히 안전사고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4-07 19:57:39[파이낸셜뉴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 옥종면 회신리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율은 오후 5시 10분 기준 62%라고 밝혔다. 산림당국은 진화헬기 35대와 진화장비 40대, 진화대원 408명을 투입, 산불을 진화중이다. 산불영향구역은 63㏊(추정)으로, 총 화선 길이는 4.6㎞이며 1.7㎞는 진화중이고, 2.9㎞는 진화가 완료됐다. 산불현장에는 초속 3.9m(최대풍속 초속 8m)의 북동풍이 불고 있으며 기온은 섭씨 21.4도, 습도는 22%다. 산불 영향권의 주민 326명이 옥천관과 옥종고 등으로 대피한 상태다. 산불 원인 행위자로 추정되는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진화헬기 및 진화인력 등 가용한 진화자원을 총동원해 일몰 전까지 주불 진화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4-07 19:04:00중대본 "하동 산불 조기 진화 총력…주민 신속 대피"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4-07 15:58:44[파이낸셜뉴스] 전남 무안군에서 산불이 발생해 소방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7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7분께 무안군 해제면 광산리의 한 야산에서 불이 시작됐다. 소방당국은 헬기 3대를 긴급 투입하고 진화대원 60여명을 현장에 배치해 화재 진압을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추가 확산이나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진화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파악할 방침이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4-07 15:48:11[파이낸셜뉴스] 유진그룹 계열 로봇·물류 자동화 기업 티엑스알로보틱스가 중국 소방로봇 업체 궈싱즈넝과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한 '산불진화 방재로봇' 공동 개발에 나섰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지난 3일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 궈싱즈넝 본사에서 산불진화 방재로봇 실증 시연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현재 프로토타입 제작을 마치고 중국 현장에서 실증 테스트를 진행한 뒤 올해 상반기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산불진화 방재로봇 주행 안정성과 내구성, 작업 정확도 등 성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현장 실사를 통해 실제 환경에서의 운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양사는 실증 시연을 마친 뒤 산불진화 방재로봇 공동 특허출원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산불진화 방재로봇은 산불 방화선 구축에 특화된 장비다. 인간이 접근하기 위험한 화재 최전선에서 컨트롤러 원격제어시스템을 활용해 나무와 지표면 식생을 제거하고 방화벽을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45도 경사지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하며 최대 4시간 연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엄인섭 티엑스알로보틱스 대표는 "국내 첨단로봇 기술과 중국 소방로봇 제조 역량을 결합해 기후변화로 더욱 심각해지는 전 세계 산불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만들게 됐다"며 "이번 협력은 양국간 기술 교류를 넘어 인류 안전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한편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이번 산불진화 방재로봇 외에도 궈싱즈넝과 함께 도심 재난 대응을 위한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진압 로봇'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2025-04-07 09:55:29경북·경남을 휩쓴 초대형 산불이 진화된 지 엿새 만에 전국 곳곳에서 또 산불 사고가 잇따랐다. 대구에서는 진화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목숨을 잃었다. 6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41분께 대구시 북구 서변동 야산에서 난 불을 끄기 위해 투입됐던 헬기가 산불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추락했다. 헬기는 대구 동구청 임차헬기로, 추락 당시 조종사 1명만 탑승하고 있었으며 사고로 조종사가 숨졌다. 이날 산불 진화작업에는 모두 5대의 헬기가 동원됐다. 경찰과 관계 당국은 현장 수습이 완료되는 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할 계획이다. 서변동에서 오후 3시12분께 발생한 산불은 1시간여 만인 오후 4시18분께 진화됐다. 산림당국과 북구청은 현장에 인력을 투입해 뒷불 감시작업을 진행 중이다. 같은 날 오후 1시48분께는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한 야산에서도 불이 났다. 산림당국은 헬기 6대와 펌프차, 물탱크차 등 차량 20여대를 동원해 2시간10여 분 만인 오후 3시30분께 주불을 진화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피해 면적은 1㏊ 정도로 추산된다. 진화 과정에서 울주군은 온양읍 주민들에게 대피 안내 문자를 발송하기도 했다. 산림당국은 농막 그라인더 작업 중 발생한 불티가 야산으로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정확한 산불 원인을 조사 중이다. 전남 순천시에서도 이날 오후 2시22분께 상사면 용계리의 한 산에서 불이 났다. 순천시는 119 소방대, 지역 산불진화대 등과 현장에 출동하고 주변 지역의 산불 진화 헬기 지원을 받아 이날 오후 3시10분께 주불을 진화했다. 현재는 잔불 정리를 하는 한편, 산불 원인과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국유림이 인접한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어서 한때 번질 우려에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 이창훈 기자
2025-04-06 18:56:22[파이낸셜뉴스] 경북·경남을 휩쓴 초대형 산불이 진화된 지 엿새 만에 전국 곳곳에서 또 산불 사고가 잇따랐다. 대구에서는 진화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목숨을 잃었다. 6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41분께 대구시 북구 서변동 야산에서 난 불을 끄기 위해 투입됐던 헬기가 산불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추락했다. 헬기는 대구 동구청 임차헬기로, 추락 당시 조종사 1명만 탑승하고 있었으며 사고로 조종사가 숨졌다. 이날 산불 진화작업에는 모두 5대의 헬기가 동원됐다. 경찰과 관계 당국은 현장 수습이 완료되는 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할 계획이다. 서변동에서 오후 3시12분께 발생한 산불은 1시간여 만인 오후 4시18분께 진화됐다. 산림당국과 북구청은 현장에 인력을 투입해 뒷불 감시작업을 진행 중이다. 같은 날 오후 1시48분께는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한 야산에서도 불이 났다. 산림당국은 헬기 6대와 펌프차, 물탱크차 등 차량 20여 대를 동원해 2시간10여 분 만인 오후 3시30분께 주불을 진화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피해 면적은 1㏊ 정도로 추산된다. 진화 과정에서 울주군은 온양읍 주민들에게 대피 안내 문자를 발송하기도 했다. 산림당국은 농막 그라인더 작업 중 발생한 불티가 야산으로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정확한 산불 원인을 조사 중이다. 전남 순천시에서도 이날 오후 2시22분께 상사면 용계리의 한 산에서 불이 났다. 순천시는 119 소방대, 지역 산불진화대 등과 현장에 출동하고 주변 지역의 산불 진화 헬기 지원을 받아 이날 오후 3시10분께 주불을 진화했다. 현재는 잔불 정리를 하는 한편, 산불 원인과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국유림이 인접한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어서 한때 번질 우려에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4-06 16:35:35대구소방 "산불 진화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한 듯"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2025-04-06 16: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