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오는 4월 2∼5일 나흘간 야간 특별관람 프로그램 '오얏꽃등 밝힌 창덕궁의 밤'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야간 행사를 진행할 보물인 창덕궁 희정당은 '밝은 정사를 펼치다'라는 뜻을 지닌 궁궐 전각이다. 본래 침전으로 사용했지만 조선 후기부터는 선정전을 대신해 업무 보고, 국가 정책 토론 등이 열리는 왕의 집무실로 쓰였다. 현재 남아있는 희정당은 1917년 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1920년 재건한 것이다. 전통 건물에서 볼 수 없는 현관이 있고 자동차가 들어설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어 전통 건축 방식과 근대적 요소가 함께 남아 있는 점이 특징이다. 관람에 참여하면 바깥 현관과 동행각, 중앙 홀을 따라 걸으며 근대식 조명으로 꾸민 접견실과 귀빈실, 복도 등을 살펴볼 수 있다. 금강산을 주제로 한 부벽화(付壁畵·종이나 비단 위에 그려 벽에 붙인 그림)가 있는 홀에서는 음악 공연도 펼쳐진다. 행사는 만 13세 이상 참여할 수 있으며 하루 두 차례 열린다. 회당 정원은 25명이다. 오는 26일 오후 2시부터 인터파크 티켓에서 유료 예매하면 된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5-03-24 14:36:10[파이낸셜뉴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오는 18일부터 23일까지 봄을 맞아 서울 창덕궁 주요 전각의 창호(窓戶)를 여는 '창덕궁 빛·바람 들이기' 행사를 한다고 17일 밝혔다. 창호는 조망, 통풍 등을 위해 만든 창과 문을 뜻한다. 건물 안에 빛을 들이고 바람이 원활하게 통하도록 해 건물의 수명을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창호가 열리는 공간은 희정당, 낙선재, 성정각, 궐내각사 권역이다. 조선시대 왕세자가 머물렀던 공간인 성정각 일대는 올해 처음으로 문을 연다. '봄을 알리는 정자'라는 뜻을 가진 보춘정 내부를 엿볼 수 있다. 평소 쉽게 보기 힘들었던 희정당 남쪽 행각, 궐내각사 등도 공개된다. 창덕궁에 입장한 방문객은 별도 예약 없이 건물 외부에서 자유롭게 둘러보면 된다. 다만, 강풍이나 우천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관람이 일시 중단될 수 있다. 한편, 궁능유적본부는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와 함께 한국의 궁궐과 종묘, 조선왕릉을 홍보하는 휴대전화 배경 화면을 제작해 배포한다. 배경 화면은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 등 4대 궁궐과 종묘, 사직단, 칠궁(육상궁), 숭례문, 조선왕릉의 사진을 활용했으며, 월별 주요 행사 일정을 표시했다. 반크의 온라인 앨범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5-03-17 10:10:30[파이낸셜뉴스] 국가유산청 창덕궁관리소가 봄을 맞아 오는 21일부터 27일까지 특별 해설 프로그램 '봄을 품은 낙선재'를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서울 창덕궁 낙선재 일원은 낙선재(樂善齋), 석복헌(錫福軒), 수강재(壽康齋)가 한 구역으로 이뤄져 있다. 이를 통칭해 낙선재라 부른다. 낙선재는 헌종의 서재 겸 휴식 공간으로 지난 1847년 지어졌다. 석복헌과 수강재는 그 이듬해에 각각 후궁 경빈 김씨와 대왕대비 순원왕후(순조비)의 처소로 조성됐다. 단아하면서 기품 있는 건축미를 지닌 낙선재는 헌종과 경빈 김씨의 사랑이 깃든 장소로 유명하다. 덕혜옹주 등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가족이 1989년까지 머물렀던 공간이기도 하다. 이번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낙선재 조성 배경과 건축적 특징에 대한 국가유산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봄꽃이 만개한 화계(계단식 화단), 정자, 꽃담 등 낙선재 권역의 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참가 대상은 중학생 이상 일반인이다. 행사 기간 오전 10시와 오후 2시 30분 하루 2회 운영되는 이 프로그램의 회당 참가자 수는 최대 24명으로 제한된다. 참가자 모집은 추첨제로 진행되며 참가비는 무료다. 참가 신청은 오는 13일 오전 10시부터 16일 오후 5시까지 창덕궁관리소 웹사이트 '통합예약'란을 통해 사전 응모하면 된다. 인당 최대 2매까지 가능하다. 당첨자는 17일 오후 2시 이후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5-03-12 16:22:02[파이낸셜뉴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3월 한 달간 매주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서울 창덕궁 인정전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특별 관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985년 국보로 지정된 인정전은 창덕궁의 중심 건물이다. '어진 정치'라는 뜻을 담은 이 건물에서는 과거 임금의 즉위식과 결혼식, 신하들의 하례(賀禮·축하하며 예를 차림), 외국 사신의 접견 등 국가의 중요한 공식 의식이 열렸다. 바깥에서 보면 2층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위아래가 트인 통층 형태로, 왕의 권위를 보여주는 화려한 장식을 더했다. 안쪽에는 임금이 앉던 자리인 어좌(御座)가 있고, 그 뒤로 왕이 다스리는 세계를 상징하는 해와 달, 다섯 개의 봉우리를 그린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도 있다. 1907년 순종(재위 1907∼1910)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 뒤 건물을 수리하면서 전등, 유리창, 커튼이 설치돼 근대 궁궐의 변화를 엿볼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특별 관람에서는 인정전 내부를 더욱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다. 수·목요일에는 기존의 전각 해설 프로그램과 연계해 내부를 둘러볼 수 있다. 금·토·일요일에는 궁궐 내 관원들의 업무 공간인 궐내각사 등과 함께 관람할 수 있다. 입장 인원은 한 번에 20명씩으로 제한된다. 비가 오면 내부 관람은 취소될 수 있다. 참가비는 무료지만, 창덕궁 입장료는 별도로 내야 한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5-02-20 10:13:12삼성전자는 10월에 진행되는 다양한 국가유산 축제를 맞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과 함께 서울 창덕궁과 창경궁에서 '갤럭시 인공지능(AI)'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달 27일까지 창덕궁에서 열리는 국가유산 방문 캠페인 '옹주, 화순-풀빛 원삼에 쓴 연서의 비밀' 행사에서 '갤럭시Z폴드6·Z플립6'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로그램은 조선 영조의 둘째딸 '화순 옹주'의 이야기를 체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갤럭시 AI의 '실시간 통역' 기능으로 내·외국인 회차 구분 없이 운영된다. 외국인 참여자는 실시간 통역으로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고, 관련 사진과 내용의 경우 '번역' 기능을 활용해 자신의 모국어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자 모두 '서클 투 서치'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고 조선 시대의 왕실 문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경험한다. 장민권 기자
2024-10-13 18:38:57[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는 10월에 진행되는 다양한 국가유산 축제를 맞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과 함께 서울 창덕궁과 창경궁에서 '갤럭시 인공지능(AI)'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달 27일까지 창덕궁에서 열리는 국가유산 방문 캠페인 '옹주, 화순-풀빛 원삼에 쓴 연서의 비밀' 행사에서 '갤럭시Z폴드6·Z플립6'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로그램은 조선 영조의 둘째딸 '화순 옹주'의 이야기를 체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갤럭시 AI의 '실시간 통역' 기능으로 내·외국인 회차 구분 없이 운영된다. 외국인 참여자는 실시간 통역으로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고, 관련 사진과 내용의 경우 '번역' 기능을 활용해 자신의 모국어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자 모두 '서클 투 서치'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고 조선 시대의 왕실 문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경험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9일부터 이날까진 ‘궁중문화축전’과 연계해 창경궁에서 갤럭시 Z폴드6∙플립6, 탭 S10 시리즈 체험 공간을 운영했다.기간 중 창경궁을 방문한 고객들은 환경전에 위치한 궁중놀이방에서 갤럭시 AI의 다양한 기능과 서클 투 서치를 활용한 퀴즈쇼를 즐겼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2024-10-13 13:41:09[파이낸셜뉴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내달 1일부터 19일까지 매주 화∼토요일에 하루 두 차례씩 '창덕궁 깊이보기, 희정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1985년 보물로 지정된 희정당은 '밝은 정사를 펼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궁궐 전각이다. 본래 침전으로 사용했으나 조선 후기부터는 선정전을 대신해 업무 보고, 국가 정책 토론 등이 열리는 왕의 집무실로 쓰였다. 현재 남아있는 희정당은 1917년 화재로 소실된 건물을 1920년 재건한 것이다. 희정당은 전통 건물에서 볼 수 없는 현관이 있고, 자동차가 들어설 수 있도록 하는 등 전통 건축 방식과 근대 양식이 혼재된 점이 특징이다. 관람에 참여하면 희정당 바깥 현관과 동행각, 중앙홀을 따라 내부를 둘러보며, 근대식 조명으로 꾸민 접견실과 귀빈실, 복도 등 곳곳을 살펴볼 수 있다. 매주 토요일 오후 4시에는 내부 정비·재현에 참여한 전문가의 설명도 들을 수 있다. 관람 프로그램은 오전 10시와 오후 4시, 약 1시간 동안 진행된다. 만 19세 이상 참여할 수 있으며 회차당 정원은 20명이다. 예약은 3차례로 나눠 이뤄지며, 추첨을 거쳐 진행할 계획이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4-09-20 10:25:44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와 함께 내달 4일과 5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서울 종로구 창덕궁 후원 연경당에서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 복원 공연을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진작례’는 왕실의 특별한 날에 신하들이 임금에게 술과 음식을 올리고 예를 표하는 의식이다. ‘조선 순조 무자년 연경당 진작례’는 1828년(순조 무자년) 음력 6월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가 모친 순원왕후의 40세 탄신을 축하하기 위해 연경당에서 마련한 왕실 잔치다. 이번 공연은 창덕궁 후원을 방문하는 관람객이면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홈페이지 또는 전화,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4-08-27 10:45:17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국가유산형 예비사회적기업인 말리카, 세이버스코리아와 함께 내달 3∼8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서울 창덕궁 낙선재에서 'K-헤리티지 아트전'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무형유산 보유자·이수자 등 전통 장인과 현대 공예 작가 50여명이 참여한다. 소반, 자수 병풍, 누비옷, 궁시(화살), 선자(전통 부채) 등 장인의 손끝으로 이어온 전통 공예와 이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작품 80여점을 소개한다. 창덕궁관리소 측은 "과거에서 시작된 전통예술의 결이 현재를 거쳐 미래로 연결되는 '이음'의 가치를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창덕궁을 찾은 관람객 누구나 볼 수 있다. 오전 10시와 오후 1시, 오후 3시에는 작품을 설명해주는 전시 해설 프로그램이 열린다. 내달 5일부터 7일까지 사흘간은 오후 7시와 7시30분에 야간 전시도 진행될 예정이다. 야간 전시 관람은 22일 오후 2시부터 창덕궁관리소 누리집에서 응모한 뒤 추첨을 거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창덕궁의 낙선재는 조선 제24대 임금인 헌종(재위 1834∼1849)이 1847년 지은 건물이다.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로 사용됐으며 석복헌과 수강재가 딸려 있다. 궁궐 내 다른 건물과 달리 단청이 없어 수수한 듯 느껴지지만 문과 창호, 담장, 굴뚝 등을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한 점이 특징이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4-08-21 10:46:57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은 화려한 가을 밤을 만끽할 수 있는 경복궁 별빛야행(9월 11일∼10월 6일)과 창덕궁 달빛기행(9월 12일∼11월 10일)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매주 수∼일요일 진행되는 경복궁 별빛야행에서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가 받았던 12첩 반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궁중음식 '도슭수라상'을 맛보고 전통예술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이어 전문해설사와 함께 경복궁 북측 권역의 야경을 감상한다. 평소 개방되지 않던 향원정의 취향교도 거닐 수 있다. 궁중음식 체험에는 채식 메뉴도 추가됐다. 목∼일요일 진행되는 창덕궁 달빛기행에서는 해설을 들으며 여러 전각을 둘러보고 대금 독주 등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연경당에서 전통 다과와 함께 효명세자가 창작한 궁중정재(궁중잔치에서 공연되는 악기연주·노래·춤으로 이루어진 종합예술) 공연을 즐긴 뒤 행사가 마무리된다. 두 프로그램은 추첨제 방식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경복궁 별빛야행은 22일 오후 2시부터, 창덕궁 달빛기행은 19일 오후 2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입장권 응모가 시작된다. 한 계정당 한 번만 응모할 수 있고 당첨되면 최대 2장까지 신청할 수 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4-08-19 10:3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