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신한은행은 지난 6일 USD 5억 달러(약 7133억원) 규모의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공모 발행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채권은 5년 만기 고정금리 채권으로 발행금리는 동일 만기 미국 국채 금리에 0.72%p를 가산한 연 4.649%로 확정됐다. 신한은행은 이번 채권 발행을 앞두고 아시아와 유럽, 미주 지역의 주요 투자 기관들을 직접 방문해 투자설명회를 진행했다. 시장 불안감이 여전한 가운데 우량 발행사에 대한 투자 심리 회복세가 살아나면서 투자자 220여곳이 참여하는 등 총 44억불 규모의 주문이 이어졌다. 이에 최초 제시금리보다 가산금리를 0.38%p 줄였다는 것이 신한은행의 설명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2020년 하반기부터 모든 외화 공모채권을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연계하고 있다. 이번 외화채권도 사회적(Social) 채권 형태로 발행에 성공하며 12회 연속 ESG 채권으로 발행하게 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글로벌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에서도 탁월한 재무성과와 그동안 쌓아온 해외 투자자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발행을 이끌어냈다”며 “앞으로도 재무적 성과와 자본 안정성을 기반으로 해외 투자자와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행에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아그리콜, JP모건, 미즈호증권, MUFG증권, 스탠다드차타드가 공동 주간사로 참여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5-09 12:07:59삼성증권이 '채권 Insight 2025, 채권시장과 전략을 말하다'를 주제로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를 오는 13일에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는 삼성증권의 전국 각 지점에서 약 1시간 동안 지점별 우수고객 20여명 내외를 초청해 진행된다. 강연에서는 미국발 관세전쟁과 한미 금리 흐름 등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금리 인하기에 대비해 삼성증권의 각 지점장들이 설명회 주제로 채권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 특히, 이번 투자 설명회에서는 미국채 중심의 채권 매매와 금리 인하기에 캐리수익과 자본차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바벨 전략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미국채를 통한 다양한 매매전략을 고객분들과 공유하고자 마련한 자리"라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5-08 18:59:51[파이낸셜뉴스] 삼성증권이 '채권 Insight 2025, 채권시장과 전략을 말하다'를 주제로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를 오는 13일에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는 삼성증권의 전국 각 지점에서 약 1시간 동안 지점별 우수고객 20여명 내외를 초청해 진행된다. 강연에서는 미국발 관세전쟁과 한미 금리 흐름 등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금리 인하기에 대비해 삼성증권의 각 지점장들이 '채권 Insight 2025, 채권시장과 전략을 말하다'를 주제로 채권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 특히, 이번 투자 설명회에서는 미국채 중심의 채권 매매와 금리 인하기에 캐리수익과 자본차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바벨 전략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현재 연 4.5% 수준의 미국 기준금리가 3년 후엔 연 3.0% 수준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미국채'를 통한 다양한 매매전략을 고객분들과 공유하고자 마련한 자리"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에만 국고채와 미국채를 각각 2조원 가까이 판매해 리테일 채권 판매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한 삼성증권은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개인고객 및 5억원 이상 신규·추가 입금 고객을 대상으로 특판 국채를 선착순으로 판매 중이다. 이번 특판 국채의 채권명은 국고01125-2509(20-6)이고, 발행일은 2020년 9월 10일, 만기일은 2025년 9월 10일(잔존기간 약 4개월), 표면이율은 세전 연 1.125%, 은행환산수익률은 세전 연 4%(최고세율자 세전 연 6%), 상품위험등급은 6등급(매우낮은위험)이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5-08 10:39:52[파이낸셜뉴스] 플래스크는 7일 금전 대여 결정과 관련하여 정정 공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플래스크는 해당 금전 대여가 2024년 10월 체결된 개포동 현대빌딩 신축공사와 연관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해당 공사는 총 194억원 규모로, 이는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의 약 48.9%에 해당한다. 지하 4층~지상 15층 규모의 복합건물로 플래스크가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유보자금의 운용을 통한 투자 수익 확보 및 공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선제적으로 대여했다"라며 "해당 부동산과 관련해 플래스크를 우선수익자로 담보 신탁 계약이 체결되어 있어 회수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전했다. 또한 플래스크는 금전 대여와 관련해 최대주주인 비엔엠홀딩스가 해당 채권에 대해 인수를 확약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한편, 플래스크는 올해 초 ‘적정’ 감사 의견을 받아 지난해 발생했던 상장폐지 사유를 해소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며,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5-05-07 20:33:09[파이낸셜뉴스] 베어링자산운용은 미국발 증시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 선진국 하이일드 채권에서 투자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7일 전망했다. 스콧 로스 베어링 글로벌 하이일드 투자 대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로 크게 출렁였던 시장이 하락분을 상당 부분 만회했지만, 시장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섹터별로는 소비재, 리테일, 제조 및 자동차 산업, 특히 고율관세 적용 국가에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일드 기업 펀더멘털은 매우 건전한 상황”이라며 “생산지 전환 또는 가격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을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있는 기업이나 미국에서의 생산 및 소싱 규모가 큰 기업 등에 선별적으로 투자한다면 흥미로운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이일드 기업의 펀더멘털이 탄탄하게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지난 수년간 많은 기업들이 보수적으로 재무 건전성을 관리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의 평균 순레버리지 비율은 미국 3.4배, 유럽 3.1배로 양호한 수준이며,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미국 4.2배, 유럽 5.1배 수준에서 견조세가 유지되고 있다. 로스 대표는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할 기업 부도 리스크는 현재 지나치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며 "지역, 시장별 일부 차이가 있지만 하이일드 시장 전반의 12개월 후행 부도율은 1~3% 미만 수준”이라고 밝혔다. 개선된 하이일드 채권 시장의 퀄리티, 상대적으로 짧은 채권 만기 등을 고려했을 때 올해 하이일드 기업 부도율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이다. 향후 성과 측면에서는 약 8%에 근접한 하이일드 채권의 총 수익률(all-in-yield)과 3년 미만의 짧은 듀레이션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권 자금이 회수되는 평균 만기를 가리키는 듀레이션은 짧을수록 금리 변화에도 채권 가격이 덜 흔들리며 비교적 높은 방어력을 기대할 수 있다. 로스 대표는 “하이일드 채권의 토털 리턴이 영향을 받으려면 스프레드(신용 위험 프리미엄)가 적어도 250bps 이상 확대돼야 한다”며 “현재 하이일드 채권의 스프레드는 400~500bps 수준으로 아직 버퍼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금융 시장은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에 채권 가격이 단기적으로 왜곡되는 경우가 많다"며 "시장의 추가 랠리(약세에서 강세로 전환) 또는 매도세가 다시 나타날 경우에 대비해 대기 자금을 확보해뒀다가, 펀더멘털이 건전하고 수익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일시적으로 가격이 하락한 우량 하이일드 채권을 선별적으로 매수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2025-05-07 14:00:57지역 경기가 악화하면서 지방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1년 만에 60%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기업들이 흔들리면서 기업대출 연체율도 뛰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역에 기반을 둔 은행 5곳(BNK부산·BNK경남·전북·광주·iM뱅크)의 1·4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단순 평균)은 1.03%로 집계됐다. 지난해 1·4분기 말(0.71%)보다 0.32%p 올랐다. iM뱅크의 연체율 상승 폭이 도드라졌다. 1·4분기 연체율은 1.32%로, 1년 새 0.60%p나 뛰었다. 광주은행도 같은 기간 0.53%에서 0.96%로 0.43%p 높아졌고, 전북은행(0.34%p), 경남은행(0.22%p), 부산은행(0.01%)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시중은행과 비교하면 지방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더욱 심각하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1·4분기 연체율은 평균 0.39% 수준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은행들의 연체율이 시중은행보다 두 배를 넘는 셈이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일제히 악화했다. 5개 지방은행의 1·4분기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0.95%로 1년 전보다 0.04%p 높아졌다. 고금리·고환율·고물가 속에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는 데다 지역의 경기 침체까지 맞물리면서 취약차주들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방은행들은 지방 중소기업에 의무적으로 대출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더욱 휘청할 수밖에 없다. 돈을 빌리고도 3개월 넘게 갚지 못해 상환을 기대하기 어려운 부실채권 규모도 급증했다. 5개 은행의 1·4분기 기준 고정이하여신(NPL) 잔액은 1조8976억원으로, 전년동기(1조1638억원) 대비 63.05% 불어났다. 특히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NPL 잔액은 1년 만에 각각 156.2%, 84.8% 급증하며 대출 건전성이 급격하게 나빠졌다. 전체 대출에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중(고정이하여신비율)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부산은행의 NPL 비율은 0.44%에서 1.10%으로 1년 사이 0.44%p 급등했다. 경남은행 역시 0.46%에서 0.82%로 상승했고, 광주은행(0.25%p)과 아이엠뱅크(0.10%p)도 오름세를 보였다. 문제는 지방 부동산을 중심으로 침체가 가속화되면서 연체율이 더 뛸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방을 위주로 부동산 침체의 골이 깊어지면서 지역 건설사들은 줄도산 위기에 놓인 상황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역의 경기가 좋지 않아 연체율이 상승했다"며 "더 힘든 시기가 이어지고 있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5-05-01 18:57:18신한자산운용은 'SOL 초단기채권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단기금리 하락 속에도 3%대 만기기대수익률(YTM)을 유지했다고 1일 밝혔다. 연초 이후 단기금리 하락으로 최근 KOFR(한국무위험지표금리) 및 CD91 금리가 2.7~2.8% 수준으로 6개월 정기예금 금리가 2.4%까지 하락한 가운데, 지난달 28일 기준 SOL 단기채권 액티프 ETF는 파킹형 ETF 중 가장 높은 수준인 3.08% YTM을 기록했다. 해당 ETF에는 개인투자자 현금 파킹 수요 증과와 함께 단기 금리가 하락하면서 은행 고객의 교체수요가 늘면서 연초 이후 1360억원 자금이 유입됐다. 지난해 말 4800억원이던 순자산 규모는 7621억원으로 확대됐다. SOL 초단기채권 액티브 ETF는 잔존 만기 3개월 이내의 초단기 채권(신용등급 A- 이상)과 기업어음(A2- 이상)등 우량 단기 금융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낮춰 운용한다. 또 저평가된 우량 종목을 선별해 추가 이자수익을 확보하는 전략을 통해 초과 수익을 추구하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상장 이후 금리가 3.5%에서 2.75%로 낮아진 상황에서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운용과 우량 단기채권 편입 전략을 통해 4.04% 연환산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koreanbae@fnnews.com 배한글 기자
2025-05-01 18:31:54[파이낸셜뉴스] “주식? 채권? 둘 다 외계어라면?” ‘삐약 베이커리’ 가게를 오픈하려는 주인공은 오븐 구입, 재료 확보, 인테리어 등 초기 비용 마련을 위해 주식 발행을 첫 번째 방안으로 고려했다. 주식은 기업 소유권을 투자자와 나누는 방식이다. 주인공은 친구들에게 “내 케이크 가게에 투자하면 이 가게를 함께 소유하게 되고, 가게가 잘 되면 수익도 함께 나눌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친구들은 각자 10만 원씩 투자했고 그 대가로 가게의 일부 지분(소유권)을 확보했다. 주식 핵심은 투자자들이 주주가 되어 두 가지 방식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첫째, 기업이 이익을 낼 경우 그 이익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받을 수 있다. 둘째, 기업의 가치가 상승하면 처음 투자한 금액보다 높은 가격에 주식을 팔아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주식 투자는 위험성도 내포한다. 만약 케이크 가게 장사가 부진할 경우, 주식 가치가 하락해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식 투자 시에는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신중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 자금 조달 방식인 채권은 기업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빌리고 정해진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구조다. 주인공은 투자에 부담을 느끼는 친구들에게 “돈을 빌려주면 1년 후 원금에 5% 이자를 더해 갚겠다”고 제안했다. 친구들은 이 제안이 일반 저축보다 수익률이 높다고 판단해 자금을 빌려주기로 결정했다. 채권의 특징은 주식과 달리, 기업의 소유권을 얻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신 투자자는 정해진 만기일에 원금과 약속된 이자를 받을 권리를 갖게 된다. 채권은 주식에 비해 가치 변동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채권도 저위험 투자는 아니다. 기업이 파산할 경우 투자자는 원금과 이자를 회수하지 못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는 안전성이 높은 반면, 기업들이 발행하는 회사채는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을 수 있다. 주인공은 주식과 채권을 적절히 조합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주식을 매입한 투자자들은 케이크 가게 공동 소유자가 되어 기업 성장에 따른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고, 채권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창업자 입장에서는 주식과 채권을 통한 균형 잡힌 자금 조달이 중요하며, 투자자 입장에서도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처럼 복잡해 보이는 금융 개념도 일상적인 스토리를 통해 접근하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파이낸셜뉴스는 유튜브 채널 ‘영앤리치’에서 어려운 경제 개념을 생활 속 예시와 전문가의 실전 투자 노하우를 결합해 보다 실질적인 재테크 정보로 제공할 예정이다. localplace@fnnews.com 김현지 김미희 기자
2025-04-30 18:07:39[파이낸셜뉴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초단기(3개월이하)국채 ETF’가 역대 해외채권형 ETF 중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를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미국초단기(3개월이하)국채 ETF’의 지난 29일 상장 당일 개인 순매수 규모는 56억원이다. 이는 국내 출시된 해외 채권형 ETF의 상장 당일 개인 순매수 규모 역대 1위다. 상장일 개인 순매수 50억원 이상을 기록한 최초의 해외채권형 ETF다. 해당 ETF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iShares 초단기채(SGOV)' ETF와 동일한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한국판 SGOV ETF'다. 총자산 448억달러(약 64조원)에 달하는 SGOV ETF는 미국 국채 중 잔존 만기 3개월 이하 단기채에 투자하는 단기자금형 상품으로, 매월 채권 이자를 배당 형식으로 지급해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해당 ETF는 국내 상장 ETF 중 유일하게 미국 초단기 국채에 100% 투자한다. 미국 초단기 국채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무위험 자산으로, 3개월 이하 만기의 미국 국채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단기간 투자하더라도 이자 수익이 발생해 현금을 단기 운용할 수 있는 달러 파킹 통장으로서의 역할도 가능하다. 또한 월배당 상품으로 매월 분배금을 통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가 가능하며, 최근과 같이 증시 변동성이 커질 때 일시 자금 피난처로도 활용할 수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김진하 Global Fixed Income 운용본부장은 “’TIGER 미국초단기(3개월이하)국채 ETF’는 한국 시장 개장 시간에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한국판 SGOV ETF’”이라며 “미국 초단기채 투자를 통해 단기 투자 목적 자금, 투자 대기자금 등을 안전하고 유동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맞춤형 상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초단기(3개월 이하) 국채 ETF 신규 출시를 기념해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상장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 오는 5월 30일까지 대신증권에서 해당 ETF의 일 거래 조건을 충족한 일부 고객에게 문화상품권을 증정한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4-30 14:15:34[파이낸셜뉴스] 신한자산운용은 'SOL 초단기채권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단기금리 하락 속에도 3%대 만기기대수익률(YTM)을 유지했다고 1일 밝혔다. 연초 이후 단기금리 하락으로 최근 KOFR(한국무위험지표금리) 및 CD91 금리가 2.7~2.8% 수준으로 6개월 정기예금 금리가 2.4%까지 하락한 가운데, 지난달 28일 기준 SOL 단기채권 액티프 ETF는 파킹형 ETF 중 가장 높은 수준인 3.08% YTM을 기록했다. 해당 ETF에는 개인투자자 현금 파킹 수요 증과와 함께 단기 금리가 하락하면서 은행 고객의 교체수요가 늘면서 연초 이후 1360억원 자금이 유입됐다. 지난해 말 4800억원이던 순자산 규모는 7621억원으로 확대됐다. SOL 초단기채권 액티브 ETF는 잔존 만기 3개월 이내의 초단기 채권(신용등급 A- 이상)과 기업어음(A2- 이상)등 우량 단기 금융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낮춰 운용한다. 또 저평가된 우량 종목을 선별해 추가 이자수익을 확보하는 전략을 통해 초과 수익을 추구하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상장 이후 금리가 3.5%에서 2.75%로 낮아진 상황에서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운용과 우량 단기채권 편입 전략을 통해 4.04% 연환산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허익서 신한자산운용 채권ETF운용팀장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와 단기 및 예금 금리 하락으로, 단기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파킹형 ETF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SOL 초단기채권 액티브 ETF는 상장 이후 현재까지 가장 높은 수준의 YTM과 성과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단기 자금 투자자들의 꾸준한 선택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koreanbae@fnnews.com 배한글 기자
2025-04-30 10: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