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이 6억달러(약 8200억원) 규모의 유로본드(Reg S) 발행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발행은 지난 2021년 이후 약 4년 만에 진행된 것으로, 국내 증권사가 해외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사례다. NH투자증권은 이번에 만기(트렌치) 3년과 5년짜리 채권을 각각 3억달러씩 발행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만기 구조로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유로본드는 3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3년) 금리에 90bp를 더한 4.676%, 5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5년) 금리에 100bp를 더한 4.873%의 금리로 발행됐다. 최초 제시금리(IPG)를 기준으로 182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최대 71억달러(약 9조6000억원)의 주문이 몰릴 만큼 흥행에 성공했다 최종 금리(FPG)가 확정된 뒤에도 약 63억달러(8조5000억원)의 규모의 주문이 유지돼 목표금액 대비 10.2배에 달하는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에 따라 NH투자증권은 두 개의 채권 모두 최초 제시 금리보다 40bp 를 낮추며 시장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발행했다. NH투자증권은 △국내 증권사 중 가장 큰 폭의 금리 타이트닝(투자자 입장에서는 낮은 금리로도 투자 의사를 보임) △레고랜드 사태 이후 가장 낮은 금리 차이(스프레드) 기록 △은행 계열 증권사 중 가장 많은 투자 주문 확보 등 세 가지 부문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증권업의 외화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외화 조달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외화사채 발행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 기반을 확충하고, 외화 조달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자 사채 발행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7-03 18:14:14[파이낸셜뉴스] NH투자증권이 6억달러(약 8200억원) 규모의 유로본드(Reg S) 발행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발행은 지난 2021년 이후 약 4년 만에 진행된 것으로, 국내 증권사가 해외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사례다. NH투자증권은 이번에 만기(트렌치) 3년과 5년짜리 채권을 각각 3억달러씩 발행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만기 구조로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유로본드는 3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3년) 금리에 90bp를 더한 4.676%, 5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5년) 금리에 100bp를 더한 4.873%의 금리로 발행됐다. 최초 제시금리(IPG)를 기준으로 182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최대 71억달러(약 9조6000억원)의 주문이 몰릴 만큼 흥행에 성공했다 최종 금리(FPG)가 확정된 뒤에도 약 63억달러(8조5000억원)의 규모의 주문이 유지돼 목표금액 대비 10.2배에 달하는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에 따라 NH투자증권은 두 개의 채권 모두 최초 제시 금리보다 40bp 를 낮추며 시장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발행했다. NH투자증권은 △국내 증권사 중 가장 큰 폭의 금리 타이트닝(투자자 입장에서는 낮은 금리로도 투자 의사를 보임) △레고랜드 사태 이후 가장 낮은 금리 차이(스프레드) 기록 △은행 계열 증권사 중 가장 많은 투자 주문 확보 등 세 가지 부문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이번 성공적인 발행이 앞으로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 채권 발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증권업의 외화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외화 조달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외화사채 발행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 기반을 확충하고, 외화 조달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자 사채 발행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NH투자증권의 일반 운영자금과 해외 사업 투자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7-03 13:22:46[파이낸셜뉴스] 신한투자증권은 국내 단기 신용채권에 투자하는 ‘신한베스트크레딧플러스펀드’ 판매를 개시한다고 3일 밝혔다. ‘신한베스트크레딧플러스펀드’는 신한자산운용의 단기 채권형 펀드로 지난 4월 펀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존 ‘신한상대가치중기펀드’의 운용 전략을 전면 개편한 펀드이다. 주요 운용전략은 투자가능 채권 최저 신용등급 A- 이상, 평균 듀레이션을 1년 6개월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특히, 해당 펀드는 이자수익에 더해 금리 하락 시 자본이득까지 기대할 수 있는 운용 특성을 갖고 있다. 안정적인 수익을 선호하는 보수적 투자자 뿐 아니라, 위험자산 중심의 투자자들이 채권을 자산배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 ‘신한베스트크레딧플러스펀드’는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서만 가입이 가능했지만 신한투자증권을 통해 리테일 투자자에게도 개방되면서, 보다 폭넓은 투자자층이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이광렬 신한투자증권 투자상품부서장은 “한국은행의 금리인하가 진행되고 있으나 물가 및 금융안정 측면에서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이러한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단기 채권형 펀드가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될 수 있다"고 밝혔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2025-07-03 09:28:42신한투자증권은 중개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보유기간 3년 차 이상인 장기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특판채권을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특판채권은 오는 9월 10일 만기인 국채(국고20-6)다. 표면금리는 세전 연 1.125%, 만기까지 보유 시 은행예금 환산 수익률 세전 연 4.3%, 매매금리는 세전 연 3.85%이다.은행예금 환산 수익률이란 투자 수익률을 은행 예금 이자율과 비교하여 계산한 수익률이다. 채권 투자 시 자본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이므로, 은행예금환산수익률을 통해 투자 수익률이 은행 예금 이자율과 비교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실제 고객들에게 적용되는 수익률은 개인의 세율구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해당 채권은 중개형 ISA 전용 상품이며, 상품의 투자 금액 제한 없이 계좌 보유 3년 차 이상 고객이라면 누구나 매수 가능하다. 총 판매한도는 100억원이며, 한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매수 신청은 신한 SOL증권 애플리케이션, 전국 영업점 및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또 증권 앱의 'ISA 시뮬레이터' 기능을 활용하면 쉽게 세제 혜택 계산이 가능하다. 김찬미 기자
2025-06-12 18:39:26[파이낸셜뉴스] 신한투자증권은 중개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보유기간 3년 차 이상인 장기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특판채권을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특판채권은 오는 9월 10일 만기인 국채(국고20-6)다. 표면금리는 세전 연 1.125%, 만기까지 보유 시 은행예금 환산 수익률 세전 연 4.3%, 매매금리는 세전 연 3.85%(2025.06.12 기준)이다. 은행예금 환산 수익률이란 투자 수익률을 은행 예금 이자율과 비교하여 계산한 수익률이다. 채권 투자 시 자본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이므로, 은행예금환산수익률을 통해 투자 수익률이 은행 예금 이자율과 비교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실제 고객들에게 적용되는 수익률은 개인의 세율구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해당 채권은 중개형 ISA 전용 상품이며, 계좌 보유 3년 차 이상 고객이라면 누구나 매수 가능하다. 총 판매한도는 100억원이며, 한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매수 신청은 신한 SOL증권 애플리케이션, 전국 영업점 및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또 증권 앱의 'ISA 시뮬레이터' 기능을 활용하면 쉽게 세제 혜택 계산이 가능하다. 신한투자증권은 ISA 세제혜택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UI(사용자 인터페이스), UX(사용자 경험)를 개선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2025-06-12 14:20:54[파이낸셜뉴스] 올해들어 환경·사회·지배구조(ESG)채권 등에 대한 '착한 투자' 열기가 꺾이고 있다. 경기침체 우려감이 커지는 데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 하향조정,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지원 축소 등으로 기업들의 ESG 채권 발행이 급감했다. 3일 금융투자업계와 KIS자산평가에 따르면 이달 2일 기준 ESG채권 잔액은 257조7835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1월 초 264조8711억원 대비 7조876억원 줄어든 수치다. 폭발적 증가세를 보이던 ESG 채권 발행 기조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순상환으로 돌아선 것이다. 연초 기준으로 ESG채권 잔액은 2020년 31조5157억원, 2021년 91조5340억원, 2022년 167조8324억원, 2023년 205조9133억원, 2024년 250조9502억원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탔다. 이어 올해 ESG 채권 잔액은 1월 264조8711억원으로 지난 1년간 순증가세는 10조원대에 그치며 성장세는 급격히 둔화했다. 지난 2월부터는 순상환기조로 돌아섰다. 특히 ESG 형태로 발행하던 회사채 잔액은 1월초 23조1016억원에서 이달 2일 20조4386억원으로 3조원 넘게 줄었다. 같은 기간 카드채 등의 기타금융채도 13조9570억원에서 13조4270억원으로 줄었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지난 2022년 이후 국내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 하향조정,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지원 축소 등으로 인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이는 자금용도 기반인 ESG채권 발행 급감으로 직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다슬 한신평 연구원은 "ESG 채권 발행의 질적 측면에서 저하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발행 참여자수는 2021년 131개사를 기록한 이후 2022년 80개사, 2023년 65개사, 2024년 62개사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연간 발행 참여사 중 최초로 ESG발행에 참여한 신규 발행사도 2021년 106개사에서 2024년 6개사로 감소했다. 그는 "전체 상장채권 중 ESG채권 발행 비중이 10%대에 머물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ESG채권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신규 발행사의 시장진입이 감소하고 소수의 발행사를 중심으로 ESG채권이 발행되는 점은 향후 성장성에 있어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특히 일부 기업의 녹색채권 발행 참여사가 2021년 36개사에서 2024년 7개사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그나마 대규모 발행을 통해 시장 규모 확대에 일조했던 전기차 및 이차전지 관련 업종 발행사들도 올해 들어서는 ESG채권 발행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2025-06-03 11:29:45[파이낸셜뉴스] 브라질의 장기물 금리가 15% 에 육박하면 브라질 채권형 펀드에 국내외 자금이 몰리고 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펀드 중 브라질 채권펀드(뮤추얼펀드, ETF)는 올해 1~4월 중 7억4000만달러(1조123억원)가 순유출됐으나 이달 7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통화정책회의 이후 이달 21일까지 12억 달러(1조 6416억원)가 순유입됐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주요국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된 2023년말 이후 브라질 채권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브라질 장기채의 높은 금리에 주목했다. 브라질 국채금리 10년물은 13~15% 수준으로 타 신흥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콜롬비아 12%, 남아공 10%, 멕시코 9%, 인도네시아 7%, 인도 6% 수준(5월 21일 기준) 이다. 신지원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완만한 글로벌 정책금리 인하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외 투자자 사이에서는 높은 표면금리와 비과세 혜택이 있는 브라질 채권 투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브라질 장기금리는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의 정점 근접 인식 등을 기반으로 당분간 10% 중반에 가까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연말 통화정책 방향 전환 모색 시기에는 금리 하락에 따른 자본 이득(채권 시장가치 상승) 여지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에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올해(1월 1일~5 21일) 브라질 채권 펀드에 대한 순투자금액은 0.24억 달러(약 328억원) 수준에 달했다. JP 모간 등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브라질의 인플레이션이 5.4~5.6% 수준에 머무른 뒤 내년에 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들은 올해 6월 회의에서 BCB가 기준금리를 25bp 인상 또는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올해 말 또는 내년 상반기부터 인하 사이클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신중론도 제기된다. 신 연구원은 "당분간 브라질 채권이 높은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대내 여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향후 미국발(發) 관세 충격을 비롯한 글로벌 불확실성과 BCB의 통화정책 방향 전환 모색, 내년 대선을 둘러싼 정치 및 재정 불안 등 잠재 변동성 요인들이 부각될 가능성을 감안할 때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통화정책 기조 전환기에는 금리뿐만 아니라 환율 변동성도 한층 더 커지면서 자금 유출입 변동성도 확대될 소지도 있다. 브라질 헤알화는 글로벌 주요 통화 중 변동성이 높은 통화에 속한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2025-05-25 15:10:42삼성증권이 '채권 Insight 2025, 채권시장과 전략을 말하다'를 주제로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를 오는 13일에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는 삼성증권의 전국 각 지점에서 약 1시간 동안 지점별 우수고객 20여명 내외를 초청해 진행된다. 강연에서는 미국발 관세전쟁과 한미 금리 흐름 등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금리 인하기에 대비해 삼성증권의 각 지점장들이 설명회 주제로 채권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 특히, 이번 투자 설명회에서는 미국채 중심의 채권 매매와 금리 인하기에 캐리수익과 자본차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바벨 전략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미국채를 통한 다양한 매매전략을 고객분들과 공유하고자 마련한 자리"라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5-08 18:59:51[파이낸셜뉴스] 삼성증권이 '채권 Insight 2025, 채권시장과 전략을 말하다'를 주제로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를 오는 13일에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전국 동시투자 설명회는 삼성증권의 전국 각 지점에서 약 1시간 동안 지점별 우수고객 20여명 내외를 초청해 진행된다. 강연에서는 미국발 관세전쟁과 한미 금리 흐름 등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금리 인하기에 대비해 삼성증권의 각 지점장들이 설명회 주제로 채권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 특히, 이번 투자 설명회에서는 미국채 중심의 채권 매매와 금리 인하기에 캐리수익과 자본차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바벨 전략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현재 연 4.5% 수준의 미국 기준금리가 3년 후엔 연 3.0% 수준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미국채'를 통한 다양한 매매전략을 고객분들과 공유하고자 마련한 자리"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에만 국고채와 미국채를 각각 2조원 가까이 판매해 리테일 채권 판매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한 삼성증권은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개인고객 및 5억원 이상 신규·추가 입금 고객을 대상으로 특판 국채를 선착순으로 판매 중이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5-08 10:39:52[파이낸셜뉴스] 베어링자산운용은 미국발 증시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 선진국 하이일드 채권에서 투자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7일 전망했다. 스콧 로스 베어링 글로벌 하이일드 투자 대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로 크게 출렁였던 시장이 하락분을 상당 부분 만회했지만, 시장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섹터별로는 소비재, 리테일, 제조 및 자동차 산업, 특히 고율관세 적용 국가에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일드 기업 펀더멘털은 매우 건전한 상황”이라며 “생산지 전환 또는 가격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을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있는 기업이나 미국에서의 생산 및 소싱 규모가 큰 기업 등에 선별적으로 투자한다면 흥미로운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이일드 기업의 펀더멘털이 탄탄하게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지난 수년간 많은 기업들이 보수적으로 재무 건전성을 관리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의 평균 순레버리지 비율은 미국 3.4배, 유럽 3.1배로 양호한 수준이며,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미국 4.2배, 유럽 5.1배 수준에서 견조세가 유지되고 있다. 로스 대표는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할 기업 부도 리스크는 현재 지나치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며 "지역, 시장별 일부 차이가 있지만 하이일드 시장 전반의 12개월 후행 부도율은 1~3% 미만 수준”이라고 밝혔다. 개선된 하이일드 채권 시장의 퀄리티, 상대적으로 짧은 채권 만기 등을 고려했을 때 올해 하이일드 기업 부도율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이다. 향후 성과 측면에서는 약 8%에 근접한 하이일드 채권의 총 수익률(all-in-yield)과 3년 미만의 짧은 듀레이션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권 자금이 회수되는 평균 만기를 가리키는 듀레이션은 짧을수록 금리 변화에도 채권 가격이 덜 흔들리며 비교적 높은 방어력을 기대할 수 있다. 로스 대표는 “하이일드 채권의 토털 리턴이 영향을 받으려면 스프레드(신용 위험 프리미엄)가 적어도 250bps 이상 확대돼야 한다”며 “현재 하이일드 채권의 스프레드는 400~500bps 수준으로 아직 버퍼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금융 시장은 변동성이 커지는 시기에 채권 가격이 단기적으로 왜곡되는 경우가 많다"며 "시장의 추가 랠리(약세에서 강세로 전환) 또는 매도세가 다시 나타날 경우에 대비해 대기 자금을 확보해뒀다가, 펀더멘털이 건전하고 수익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일시적으로 가격이 하락한 우량 하이일드 채권을 선별적으로 매수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2025-05-07 14: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