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폭염 속 미흡한 대회준비로 온열질환자가 쏟아진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에서 벌레물림 환자마저도 속출하고 있다. 6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 3일 하루 발생한 잼버리 관련 환자는 1486명이다. 이 가운데 벌레로 인한 환자가 383명으로 36.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피부 발진 250명(17.1%), 온열 증상자 138명(9.4%)이 뒤를 이었다. 야영장 내 물구덩이에서 모기와 화상벌레 등이 들끓어 벌레물림 환자가 잇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잼버리에서 조기 퇴영을 결정한 영국 스카우트 대표단 대원들도 “벌레 때문에 고생 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특히 '화상벌레'로 불리는 ‘청딱지개미반날개’가 복병으로 떠올랐다. 검은색과 붉은색 줄무늬 모양을 띠는 이 벌레는 논처럼 습한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야간엔 빛에 끌리는 습성 때문에 조명을 켠 야영장으로 들어오는 성향이 강하다. 화상벌레는 자극을 받으면 페데린이라는 독성 물질을 뿜는다. 이 때문에 벌레가 피부에 스치거나 닿기만 해도 불에 덴 것처럼 화끈거리고 피부발적과 물집이 일어난다. 이 벌레에 닿을 경우 상처 부위를 만지거나 긁어서는 안 되고 흐르는 물이나 비누로 충분히 씻어내야 한다. 상처 부위에는 며칠간 통증과 가려움이 나타나며 보통 2~3주 후 자연 치유된다. 국소스테로이드제나 국소항생연고 등을 바르면 증상이 완화되고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된다. 화상벌레를 발견하면 손으로 직접 잡지 말고 파리채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잡아야 한다. 사체도 직접 만져서는 안 된다. 피부에 벌레가 붙었을 때도 종이나 휴지 등으로 감싸거나 입으로 불어 제거해야 한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3-08-06 09:12:04[파이낸셜뉴스] 전국에서 '화상벌레'로 불리는 청딱지개미반날개 발견 신고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달 말 전북 완주군의 한 대학 기숙사에서 화상벌레가 발견됐다는 보도가 나온 뒤 경남, 충남, 경기도 등 전국 각지에서 목격담과 피해 제보가 접수되고 있다. 화상벌레는 '페데린(Pederin)'이란 독성물질이 있어 피부에 접촉하거나 물릴 경우 화상을 입은 것 같은 염증과 통증을 유발한다. 크기는 7㎜ 정도로 생김새는 개미와 비슷하다. 화상벌레를 발견하면 손으로 잡는 등의 직접 접촉을 피하고 도구를 이용해 처치해야 한다. 독액이 피부에 스치기만 해도 상처가 날 수 있다. 만약 피부에 닿았을 경우 즉시 흐르는 물로 씻어내야 한다. 접촉부위는 코티졸계 연고 또는 일반 피부염 연고 등을 바르면 치료가 가능하며, 냉습포 등도 효과가 있다. 2주 정도 경과하면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 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또 밝은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에 강한 불빛에 유인되는 특징이 있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에 커튼설치와 방충망 관리, 야간에 창문을 열어두지 않도록 해야 된다. #건강 #화상벌레 #화상벌레증상 #청딱지개미반날개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2019-10-15 15:42:08[시흥=파이낸셜뉴스 강근주 기자] 시흥시는 최근 독성물질을 분비해 사람에게 불에 덴 것 같은 상처와 통증을 유발하는 ‘청딱지개미반날개’ 일명 화상벌레가 출몰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은영 시흥시 보건정책과 팀장은 11일 “화상벌레가 강력한 독성을 분비하는 만큼 발견 시 손이 아닌 도구를 이용해 잡고, 몸에 닿았으면 문지르지 말고 신속하게 비눗물로 충분히 씻은 후 병원에 방문하라”며 “밤에 빛에 유인된다고 하니 창문을 닫아 유입을 차단하고, 집안에서 발견 시 에프킬라 등 모기살충제를 뿌리는 방법으로 방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화상벌레는 산이나 평야 등에 서식하며 크기는 6~8mm정도로, 생김새는 개미와 비슷하며 머리와 가슴, 배 부분의 색깔이 각각 다르다. 전체적으로는 검은색과 붉은색을 띠고 있다. 낮에는 주로 실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밤에는 빛을 발하는 실내로 유입하는 성향이 있어 피해사례가 주로 밤에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선 1968년 전남지역에서 국지적 유행 후 간헐적으로 소수의 환자가 발생했고, 최근 완주군과 전주시 등에 출몰한 바 있다. 화상벌레는 사람과 접촉할 경우 꼬리에서 ‘페데린’이란 독성물질을 분비해 상처를 입힌다. 상처는 통증을 수반하므로 물렸을 경우 상처 부위를 만지거나 긁지 말고 흐르는 물이나 비누로 충분히 씻고 심한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2019-10-11 09:12:45[파이낸셜뉴스] 이른바 ‘화상벌레’로 불리는 청딱지개미반날개가 국내에 서식하는 토종인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완주군 보건소에 따르면 국립농업과학원에 화상벌레의 유전자 검사를 맡긴 결과 베트남 등 외국이 아닌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토종 벌레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 농업과학원은 "완주군보건소가 의뢰한 개체는 토종이면서 국내외 광역적으로 서식하는 종으로 확인됐다”라며 “동남아 등 외래 기원으로 볼만한 증거는 확보하지 못했다"라고 밝혔다. 화상벌레는 앞서 지난달 말과 이달 초에 걸쳐 전북 완주의 한 대학교 기숙사에 화상벌레가 출몰한다는 글이 연이어 게시되며 화제를 모았다. 학생들은 기숙사 침대 등에 출몰한 화상벌레에 우려를 표했다. 화상벌레의 원래 이름은 ‘청딱지개미반날개’이지만 벌레가 피부에 닿기만 해도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가 남아 화상벌레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는 벌레의 몸에서 페데린이라는 독성 물질이 분비되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완주군 보건소는 “습한 지역에 서식하며 강한 빛에 유인되기 때문에 방충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라며 “가정용 에어로졸, 바퀴잔류분무 살충제 등 살충제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감염병과 관련된 사항은 보고된 바 없다. 항히스타민제, 연고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냉습포 등도 효과가 있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최근 화상벌레는 완주 뿐만 아니라 경북, 충청 지역 등 전국 각지에 출몰하고 있다. 다만 날씨가 추워지며 화상벌레 역시 곧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화상벌레 #토종 #방역 hoxin@fnnews.com 정호진 기자
2019-10-08 18:05:18[파이낸셜뉴스] 이른바 ‘화상벌레’로 불리는 벌레가 대학 기숙사에 잇따라 출몰해 학생들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최근 한 대학교의 익명 커뮤니티에는 기숙사에서 화상벌레를 목격했다는 내용과 피해 사례를 전하는 글이 연이어 게재되고 있다. 학생들은 “진짜 무서워서 기숙사에 못 들어가겠다”, “침대에 기어다닌다”, “팔과 다리에 흉터도 남았다”라는 등 걱정 섞인 목소리를 전했다. 해당 기숙사에 출몰하는 벌레는 ‘청딱지개미반날개’다. 이 벌레는 꼬리에서 ‘페데린’이라는 독성물질을 분비해 닿기만 해도 화상과 같은 피부염, 통증을 유발해 ‘화상벌레’라는 별칭을 얻었다. 기숙사 측은 지난 1일 공지사항을 통해 “학교 기숙사 뿐만 아니라 인근 아파트 단지와 주택 등에서도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라며 “화상개미를 목격할 경우 곧바로 생활관 행정팀으로 보고해달라”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추가 방역 소독 및 추가 모니터링을 통해 화상개미를 박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학생들을 안심시켰다. 기숙사 관계자는 “처음 학생들이 신고한 것은 지난주 쯤이다”라며 “지난주 초 정기 방역 작업을 한 전후로 화상벌레 이야기가 학생들 사이에서 나오기 시작했다”라고 전했다. 기숙사 측에 따르면 오는 3일 여학생 기숙사 방역 소독이 예정됐었다. 다만 18호 태풍 미탁이 북상하며 학생들의 거취 문제로 인해 소독은 연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인해 학교 측도 정신이 없는 상태다. 계속해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헉스 #화상벌레 #태풍 hoxin@fnnews.com 정호진 기자
2019-10-02 13:5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