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아우딘퓨쳐스가 장중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의 전고체전지 양산 소식에 삼성SDI 전고체 충방전 사업 협력이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오후 1시 58분 현재 아우딘퓨쳐스는 전 거래일 대비 6.28% 오른 1151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기 장덕현 대표이사 사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고체 산화물 전해질 기반 웨어러블용 전고체 전지의 양산 설비를 투자해 시제품을 공급하고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장 사장은 "전고체 전지의 경우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와 용량 특성을 확보했다"며 "세상에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양산하기 전에는 모르지만, 내부적으로 테스트를 많이 하고 있고 고객과 얘기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우딘퓨쳐스의 최대주주 갑진은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의 충·방전기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우딘퓨쳐스는 갑진이 이미 수주한 물량을 소화하며 위탁생산 방식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또 갑진과 오산공장 부지에 이차전지 소재. 공정개발 연구소를 공동으로 설립하고 아시아 지역을 시작으로 충방전기 장비를 공동 수출할 예정이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1-10 13:59:42글로벌 미래차 소프트웨어 기업 아우토크립트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나섰다고 밝혔다. 아우토크립트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약을 맺고 ‘글로벌 규제 대응 양방향 충방전 통합 사이버보안 기술 및 평가체계 개발’을 42개월간 추진한다. 연구개발비는 약 100억 원 규모로, 2027년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데이터 흐름 분석, 운영관제 체계 개발, 침투 테스트 도구 제작 및 평가 관리 체계 구축 등을 포함한다. 아우토크립트는 OCPP(개방형 충전통신 규약) 공격 사례를 반영해 국내 충전기 보안 가이드라인과 양방향 충전기 사이버보안 관리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보안 기준 표준화를 통해 글로벌 규제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케피코, 이브이시스, 펀진 등 국내 기업들과 한국자동차연구원, 아주대학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표준협회 등이 협력하며, 미국 매릴랜드대학과도 국제 협력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자동차, 현대케피코와 현대오토에버가 수요기업으로 참여해 연구 성과를 실질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국내 전기차 충전 시장 활성화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자동 취약점 대응 기술과 보안 강화로 충전 인프라의 안정성을 높이고 잠재적인 보안 위험을 예방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우토크립트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의 보안 인증제도를 구축하고 차량-충전기 간 PnC(Plug and Charge) 호환성과 규격 검증 기술을 개발해 안정적인 충전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아우토크립트 김덕수대표는 “전 세계 전기차 공공 충전소 수가 전년 대비 40% 증가했고, 한국의 충전 인프라 시장은 2030년 224억 달러로 연평균 45% 성장이 예상되는 등 전 세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이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아우토크립트는 사이버보안 기술을 활용한 양방향 충방전에 대한 보안평가 모델을 표준화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아우토크립트는 BMW와 전기차 충방전 안전기준 마련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독일 바이에른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차세대 충전 보안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아우토크립트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의 보안 표준을 선도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5-01-02 10:24:46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박찬호 교수팀이 폭발 위험이 없는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의 양극재를 개발했다. 이 양극재는 1만번 이상 충방전 테스트에서도 평균 충방전 효율이 96%의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에너지 효율도 76.6%에 달해 내구성도 뛰어나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의 고질적 단점인 성능 저하를 극복한 것으로, 고성능과 안정성을 겸비한 실용적인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GIST에 따르면 배터리의 양극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집전체로 구성되며, 배터리의 용량을 결정한다.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는 아연과 브롬이 반응하면서 에너지를 저장한다. 전해질이 물에 기반한 것으로 발화 가능성이 없으며, 기존 배터리에서 전해액 저장소와 펌프를 제거한 '무흐름' 방식으로 제작돼 비용이 저렴하며 긴 수명이 장점이다. 하지만 충전 과정 중 자가방전 반응이 일어나는 브롬 크로스오버 현상에 의한 성능 저하가 문제다. 연구진은 질소가 첨가된 중형 다공성 탄소를 흑연 펠트(GF) 전극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해 배터리의 성능 및 안정성을 높였다. 이를통해 실용적인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 시스템용 양극으로 적용할 수 있게 했다. 또 이 탄소 물질을 유기용매를 천천히 증발시키는 증발유도 자기조립 방법으로 두꺼운 흑연 펠트 전체에 균일하게 발라 구조적, 화학적 특성에 변화를 주는 양극을 만들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4-05-22 18:01:12[파이낸셜뉴스]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박찬호 교수팀이 폭발 위험이 없는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의 양극재를 개발했다. 이 양극재는 1만번 이상 충방전 테스트에서도 평균 충방전 효율이 96%의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에너지 효율도 76.6%에 달해 내구성도 뛰어나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의 고질적 단점인 성능 저하를 극복한 것으로, 고성능과 안정성을 겸비한 실용적인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GIST에 따르면 배터리의 양극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집전체로 구성되며, 배터리의 용량을 결정한다.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는 아연과 브롬이 반응하면서 에너지를 저장한다. 전해질이 물에 기반한 것으로 발화 가능성이 없으며, 기존 배터리에서 전해액 저장소와 펌프를 제거한 '무흐름' 방식으로 제작돼 비용이 저렴하며 긴 수명이 장점이다. 하지만 충전 과정 중 자가방전 반응이 일어나는 브롬 크로스오버 현상에 의한 성능 저하가 문제다. 연구진은 질소가 첨가된 중형 다공성 탄소를 흑연 펠트(GF) 전극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해 배터리의 성능 및 안정성을 높였다. 이를통해 실용적인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 시스템용 양극으로 적용할 수 있게 했다. 또 이 탄소 물질을 유기용매를 천천히 증발시키는 증발유도 자기조립 방법으로 두꺼운 흑연 펠트 전체에 균일하게 발라 구조적, 화학적 특성에 변화를 주는 양극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탄소 물질은 3~5nm(나노미터)의 안정적인 중형 기공이 만들어졌으며, 적정한 산소와 질소 함량으로 흑연 펠트 양극의 수용액에 대한 친화도를 높였다. 아울러 충전 과정에서 생성된 브롬 및 브롬 접합체를 저장·흡착해 브롬 크로스오버 현상을 억제하고 안정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우수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났다. 박찬호 교수는 "향후 리튬이온 배터리로 만들어진 현재 ESS의 화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부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찬호 교수가 지도하고 조영인 통합과정생이 수행해 개발한 양극재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발표됐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4-05-22 15:24:36코스닥 상장 통신 및 방송 장비 제조업체 EMW가 최근 공기아연이차전지 개발로 이슈가 되고 있는 ㈜EMW ENERGY(공기아연전지 특허 보유) 주식 취득을 위해 자사주 112만주를 처분, ㈜EMW ENERGY의 주식 2만9254주(지분율 6.62%)를 인수한다. 사측은 이같은 내용을 전일 공시했다. 자사주 처분 예정금액은 32억5136만원 규모다. 이번 지분 인수는 공기아연이차전지의 사업성에 주목한 행보로 풀이된다. 30일 EMW ENERGY 측 관계자는 "공기아연이차전지가 9월 말 기준 350회, 11월 중엔 550회에 달하는 충방전 횟수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17-11-30 14:00:15피앤이솔루션은 13일 SK이노베이션과 51억6222만원 규모의 2차전지 충방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최근 매출액(442억1495만원) 대비 11.68%에 해당하는 규모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2017-03-13 16:24:17【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자원으로 활용해 에너지 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친환경 자동차 기반 넷제로 시티 실증'에 본격 나서고 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 사업에 선정된 것으로, 오는 2026년까지 3년 동안 총사업비 29억5000만원(국비·지방비 각 13억5000만원·민간 2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지역은 전국에서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가장 많은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량 기준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자연조건에 따른 전력 생산량의 변동성, 공급 과잉 및 부족 현상 등 전력 관리의 어려움이 꾸준히 지적돼 왔다. 이에 전남도는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기반으로 전기차를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ESS)로 활용하는 '친환경 자동차 기반 넷제로 시티 실증' 사업을 지난해 4월부터 추진 중이다. '넷제로 시티 실증' 사업은 전기차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건물이나 시설에 재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는 효율적 에너지 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사업의 핵심은 전기차와 전력망 간 양방향 에너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V2G(Vehicle to Grid)' 기술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시설로 공급하는 것이다. 전남도는 이를 통해 전기요금 절감 효과와 운영 경제성을 검증하고, 실질적 수익 모델을 도출할 방침이다. 우선 전기차 소유자는 충전 후 남는 전력을 판매함으로써 차량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 운영자는 보다 저렴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재난 등 비상 상황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전기차가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으로 기능하며, 전력망 안정성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전남도는 지난해 4월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과제 협약도 체결했다. 도는 행·재정적 지원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사업에 대한 기획·평가·관리 등 업무를,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사업 전반 총괄 관리·성과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사업에는 ㈜아우토크립트와 ㈜아이오티플러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참여하고 있다. ㈜아우토크립트는 전기차-충전기-운영 서버 간 보안 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아이오티플러스는 전기차와 전력망 간 충·방전 실증을,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화도 테스트를 맡았다. 실제로 지난해 전기차 데이터 수집장치(OBD2) 개발과 충전 케이블만 꽂으면 인증·요금·결제·충전까지 한 번에 처리되는 'PnC 인증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차량대사물통신(V2X) 실증 테스트 장비 구축 등 연구개발 기반 조성도 함께 추진했다. 올해는 전기차·충전기·충전사업자 간 데이터 전송과 정보보호 솔루션, 전기차 충방전 결제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서비스 모델 발굴과 데이터 분석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서순철 전남도 기업도시담당관은 "미래 전기차 상용화를 대비하기 위해 충전기, 전력망 간 연계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보안 통신, 양방향 충전, 결제 시스템 등 핵심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이를 기반으로 전기차 기반의 에너지 수요 관리 서비스, 전력 거래 모델, 디지털 플랫폼 사업으로 확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4-09 09:06:17[파이낸셜뉴스] 고려아연의 호주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 전문 자회사인 아크에너지와 한화에너지가 ‘리치몬드 밸리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Richmond Valley BESS)‘ 공급계약을 지난 12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한화에너지는 아크에너지에 배터리 및 인버터를 포함한 BESS 시스템을 공급하고 시운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크에너지는 2023년 12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 주정부와 BESS 장기 에너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2027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며, 상업운전 개시 이후 NSW주정부 측의 지원에 힘 입어 운영된다. 아크에너지는 사업과 관련해 호주의 전력사업을 이해하고, 까다로운 규정과 인증 기준을 충족하며 충전 이후 8시간 동안 방전이 가능한 2200M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할 업체를 찾고자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치열한 경쟁입찰을 진행했다. 면밀한 검토 끝에 지난해 11월 한화에너지를 배터리를 포함한 시스템 인티그레이션 패키지 공급업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세부조건을 논의해왔다. 그리고 12일 양사 간 공급 본계약 체결이 이뤄진 만큼, 향후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에서 협력이 본격화 할 전망이다. 리치몬드밸리 BESS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카지노시 남부에 위치한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 사업으로, 현재 호주 내 ESS 사업들을 통틀어 최대 규모의 사업 중 하나로 평가된다. 아크에너지는 한화에너지가 공급하는 출력 용량 275MW, 저장 용량 2200MWh의 BESS를 활용해 전력망 안정화 및 전력충방전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리치몬드 밸리 BESS는 1회 충전으로 최대 8시간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아크에너지는 호주의 대표 도시인 시드니가 위치하며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많은 뉴사우스웨일즈 주의 전력망 안정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주정부 지원을 포함하여 에너지 차익거래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고려아연과 한화그룹이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이라며 "최근 호주 정부 주도로 급성장하고 있는 ESS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5-03-19 16:04:56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경기도, 화성특례시와 함께 손을 맞잡았다. 기아는 6일 오토랜드 화성에서 송호성 사장, 최준영 국내생산담당 사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목적기반차량(PBV) 기반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의 비전을 실현하고자 하는 기아와 PBV 활용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 도시로 거듭나고자 하는 경기도, 화성특례시의 뜻이 합쳐져 진행됐다. 이번 협약으로 기아는 2조2000억원을 투자해 짓고 있는 세계 최초 PBV 전용 공장 화성 이보 플랜트 건설을 계획대로 진행하고, 경기도와 화성특례시는 관련된 여러 인허가 및 인프라 개선 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기아와 경기도, 화성특례시는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국가공모사업 및 관련 신사업 모델 발굴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지역 내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한 PBV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에도 함께 나선다. 구체적으로 기아는 PBV 기반의 휠체어용 차량(WAV), 수요 응답 교통(DRT) 모델을 경기도와 화성특례시에 도입·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양방향 충방전(V2G) 충전 인프라 조성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환경 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이번 전략적 협업이 맞춤형 PBV 모빌리티 솔루션을 개발하고 확대해 나갈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올해 하반기 전용 플랫폼 E-GMP.S에 기반한 맞춤형 차량 구조와 다양한 첨단 신기술을 갖춘 첫 번째 전용 PBV인 PV5를 선보일 계획이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2025-03-06 18:07:48[파이낸셜뉴스] 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경기도, 화성특례시와 함께 손을 맞잡았다. 기아는 6일 오토랜드 화성에서 송호성 사장, 최준영 국내생산담당 사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목적기반차량(PBV) 기반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의 비전을 실현하고자 하는 기아와 PBV 활용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 도시로 거듭나고자 하는 경기도, 화성특례시의 뜻이 합쳐져 진행됐다. 이번 협약으로 기아는 2조2000억원을 투자해 짓고 있는 세계 최초 PBV 전용 공장 화성 이보 플랜트 건설을 계획대로 진행하고, 경기도와 화성특례시는 관련된 여러 인허가 및 인프라 개선 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기아와 경기도, 화성특례시는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국가공모사업 및 관련 신사업 모델 발굴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지역 내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한 PBV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에도 함께 나선다. 구체적으로 기아는 PBV 기반의 휠체어용 차량(WAV), 수요 응답 교통(DRT) 모델을 경기도와 화성특례시에 도입·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양방향 충방전(V2G) 충전 인프라 조성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환경 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이번 전략적 협업이 맞춤형 PBV 모빌리티 솔루션을 개발하고 확대해 나갈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올해 하반기 전용 플랫폼 E-GMP.S에 기반한 맞춤형 차량 구조와 다양한 첨단 신기술을 갖춘 첫 번째 전용 PBV인 PV5를 선보일 계획이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2025-03-06 15: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