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대전시는 이달 24~26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양자기술 행사 ‘퀀텀 코리아 2025’에 참가, 양자산업 선도도시로서 대전의 차별화된 역량과 생태계를 집중 홍보한다고 24일 밝혔다. 대전테크노파크와 함께 전시관을 운영하는 대전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양자기술 관련 인프라, 산학연 연계성과, 국내외 협력 사례 등을 소개하고, 국가 양자 클러스터 유치의 최적지로서 대전의 전략적 강점을 부각할 계획이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퀀텀 코리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글로벌 양자 기술 행사로, 양자 분야 주요 기관과 전문가들이 최신 기술 트렌드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교류의 장이다. 특히 올해 행사는 유엔이 지정한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International Year of Quantum Science and Technology)’를 기념해 ‘100년의 양자, 산업을 깨우다(100 Years of Quantum, Awakening Industry)’라는 주제로 열리며, 국제 전시회, 글로벌 컨퍼런스(CQI), 대중강연, 네트워킹, 교육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일정이 마련된다. 행사에는 대전시와 서울시 등 지자체를 비롯해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주요 연구기관과 KT, LG유플러스 등 대기업, 미국 IBM·아이온큐·큐에라, 프랑스 콴델라 등 국내외 70여 개 기관·기업이 참여한다. 대전시는 이번 전시에서 양자기술 실증 및 산업화, 인재양성, 국제협력까지 아우르는 대전의 종합 양자 생태계를 소개하고, 국내외 유관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 확대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손철웅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은 “대전은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인프라와 연구·산업 역량을 갖춘 도시”라며 “이번 퀀텀 코리아를 통해 대전의 경쟁력을 국내외에 알리고, 국가 양자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국내 대표 양자 연구기관이 집적된 양자기술 거점도시로, 세계적 수준의 양자 생태계를 구축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 캐나다 퀘벡주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연계 기반도 지속 확대 중이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6-24 08:47:04LG유플러스는 이달 24~26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5’에 참가해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인증 및 네트워크 보안 기술을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퀀텀코리아는 양자기술의 최신 동향과 산업 적용 가능성을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기술 전문 행사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초 출시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계정관리 서비스 ‘알파키’와 통합 보안 플랫폼 ‘U+SASE’를 중심으로 부스를 구성하고 양자컴퓨팅 환경에 대응 가능한 미래형 보안 인프라를 소개한다. 전시부스는 사무실과 원격근무지를 각각 표현한 양면 구성으로 설계됐다. LG유플러스의 U+PQC VPN과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안전한 업무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시관에는 총 12종의 전시 콘텐츠가 마련된다. 알파키 체험존에서는 사용자와 관리자 환경을 구현한 태블릿 기반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 인증 절차를 체험할 수 있다. 기술 설명 패널, 소개 영상, 퀴즈 이벤트 등도 함께 진행된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은 “양자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갖추는 것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LG유플러스가 알파키와 U+SASE 같은 실용적이고 신뢰도 높은 솔루션으로 고객 안심이라는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5-06-23 08:48:26[파이낸셜뉴스] 메가존클라우드는 최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양자기술 행사 ‘퀀텀 코리아 2025’에서 클래시큐(Classiq)와 ‘양자컴퓨팅 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양사는 △국내 양자교육 프로그램 공동 개발 △고객 대상 공동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 △기술 통합을 통한 하이브리드 컴퓨팅 구현 등 양자기술 상용화 시대를 대비한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산업 수요에 기반한 실증형 기술검증(PoC), 고객 맞춤형 워크숍, 국내외 기술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통해 양자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클래시큐는 고수준 양자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기업으로, 양자 모델링 언어 Qmod와 다양한 양자 하드웨어에 호환되도록 회로를 최적화하는 딥 컴파일 기술로 알려져 있다. 클래시큐의 제품은 복잡한 양자 프로그램을 더 쉽게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고, 비전문가를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가 최적화된 양자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만들고 실행할 수 있게 지원한다. 향후 몇년 내 물리적 큐비트 수가 본격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클래시큐의 모델 중심 접근 방식은 양자컴퓨팅의 실용화를 앞당길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협력은 메가존클라우드가 추진 중인 ‘아시아 최대 양자 클라우드 서비스 허브’ 전략과도 긴밀히 연계된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아마존 브라켓 기반의 양자 접근 환경을 국내 기업에 제공하고 있으며, 양자 인공지능(AI), 양자 최적화, 양자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메가존클라우드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클래시큐의 고도화된 알고리즘 설계 툴과 플랫폼이 메가존클라우드의 양자 클라우드 서비스 역량과 결합되면 보다 실용적인 양자컴퓨팅 활용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2025-07-02 09:59:14LG유플러스는 글로벌 양자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는 민간 연합체 '퀸사(QuINSA)'의 초대 의장사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주엄개 유선사업담당(상무)이 의장을 맡았다. 퀸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운영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미래양자융합센터(QCI)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민간 협의체로, 양자통신·센서·컴퓨팅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 표준화를 목표로 지난 202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의장사가 없었으나 이번 의장사 선정을 통해 민간 주도의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상용 환경에서 양자내성암호(PQC)를 가장 먼저 도입한 성과를 인정받아 초대 의장사로 추천됐다. 최근 정부는 2035년까지 PQC 기반으로 보안체계를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퀸사 활동을 통해 양자기술의 글로벌 표준 흐름을 주도하고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기회를 발굴할 방침이다. 제1회 퀸사 국제총회는 지난 25일 오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렸으며 국내외 통신·양자 기술 기업 및 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기술 세미나와 표준화 전략을 논의했다. 총회에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24~26일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5' 행사에 참가해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기술을 실물 환경에서 구현한 업무공간을 전시했다. 퀸사는 향후 정기 총회를 통해 분야별 기술 분과 중심의 표준안을 정리하고 ITU-T(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ISO/IEC(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기술위원회) 등 국제 표준기구에 제안할 계획이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는 "양자 기술의 국제표준화는 민간이 주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실증된 기술 역량과 상용화 경험을 기반으로, 민관 협업을 통해 글로벌 생태계를 넓혀가고 차별적 고객가치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자윤 기자
2025-06-29 18:38:47LG유플러스는 글로벌 양자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는 민간 연합체 ‘퀸사(QuINSA)’의 초대 의장사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주엄개 유선사업담당(상무)이 의장을 맡았다. 퀸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운영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미래양자융합센터(QCI)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민간 협의체로, 양자통신·센서·컴퓨팅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 표준화를 목표로 지난 202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의장사가 없었으나 이번 의장사 선정을 통해 민간 주도의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상용 환경에서 양자내성암호(PQC)를 가장 먼저 도입한 성과를 인정받아 초대 의장사로 추천됐다. 최근 정부는 2035년까지 PQC 기반으로 보안체계를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퀸사 활동을 통해 양자기술의 글로벌 표준 흐름을 주도하고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기회를 발굴할 방침이다. 제1회 퀸사 국제총회는 지난 25일 오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렸으며 국내외 통신·양자 기술 기업 및 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기술 세미나와 표준화 전략을 논의했다. 총회에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24~26일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5’ 행사에 참가해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기술을 실물 환경에서 구현한 업무공간을 전시했다. 퀸사는 향후 정기 총회를 통해 분야별 기술 분과 중심의 표준안을 정리하고 ITU-T(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ISO/IEC(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기술위원회) 등 국제 표준기구에 제안할 계획이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는 “양자 기술의 국제표준화는 민간이 주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LG유플러스는 퀸사 의장사로서 실증된 기술 역량과 상용화 경험을 기반으로, 민관 협업을 통해 글로벌 생태계를 넓혀가고 차별적 고객가치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5-06-28 10:00:10[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오는 2035년까지 양자 기술 수준을 85%까지 높이고, 양자 관련 인재도 2500명 수준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하반기 양자 특화대학 2곳을 선정해 공동 연구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24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양자 축제 '퀀텀 코리아 2025'에서 진행된 퀀텀 프론티어 포럼을 통해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정부의 양자 정책 목표와 계획을 밝혔다. 이날 발표를 진행한 심주섭 과기정통부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은 "국내 양자 기술 수준을 현재 62.5% 수준에서 오는 2035년에는 85% 수준까지 높인다는 목표"라며 "양자는 인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양자 전문인력도 현재 384명 수준에서 2035년까지 2500명까지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양자 관련 국제 협력도 강화해 오는 2035년까지 누적 2100억원을 국제 협력에 사용할 계획이다. 앞서 한국의 양자 정책은 크게 3단계로 추진돼왔다. 초창기에는 연구개발(R&D) 위주로 2019년부터 투자를 시작한 이후 2022년 인재양성 전략을, 2023년부터 2024년 관련법 통과 시행에 이어 올해는 양자에 대한 산업화를 중심으로 종합계획과 시행계획을 준비중이라는 설명이다. 심 과장은 "양자 기술 관련해서는 컴퓨팅, 통신, 센서 3가지 분야가 가장 중요한 분야"라며 "초전도 분야는 오는 2035년 이후 상용화가 목표이며, 양자통신은 오는 2031년까지 전국에 시범 수준까지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시행된 양자 관련법에 이어 올해는 전체적인 거버넌스를 정립해서 산업과 민간간 협업도 준비중이다. 이어 추가 연구개발과 기술 지원도 계획중이다. 양자 연구개발 지원은 2019년 100억원의 소규모로 시작했지만 양자가 국가전략기술로 선정되면서 그 지원 규모는 빠르게 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올해 연구지원액은 전년보다 50% 증가했고, 이 같은 증가 규모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심 과장은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국제협력과 인력 양성 지원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며 "학계와의 공동 연구도 활성화해 하반기에는 양자분야 특화대학 2곳을 지정해 지원코자 한다"고 밝혔다. 하반기부터 공통 연구를 통해 기술발전과 인재양성을 이어나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퀀텀 코리아 2025'는 이날부터 26일까지 3일간 ‘100년의 양자, 산업을 깨우자’는 주제로 진행된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5-06-24 14:59:26LG유플러스는 이달 24~26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5'에 참가해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인증 및 네트워크 보안 기술을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퀀텀코리아는 양자기술의 최신 동향과 산업 적용 가능성을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기술 전문 행사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초 출시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계정관리 서비스 '알파키'와 통합 보안 플랫폼 'U+SASE'를 중심으로 부스를 구성하고 양자컴퓨팅 환경에 대응 가능한 미래형 보안 인프라를 소개한다. 전시부스는 사무실과 원격근무지를 각각 표현한 양면 구성으로 설계됐다. LG유플러스의 U+PQC VPN과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안전한 업무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시관에는 총 12종의 전시 콘텐츠가 마련된다. 알파키 체험존에서는 사용자와 관리자 환경을 구현한 태블릿 기반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 인증 절차를 체험할 수 있다. 기술 설명 패널, 소개 영상, 퀴즈 이벤트 등도 함께 진행된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은 "양자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갖추는 것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LG유플러스가 알파키와 U+SASE 같은 실용적이고 신뢰도 높은 솔루션으로 고객 안심이라는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구자윤 기자
2025-06-23 18:15:41[파이낸셜뉴스] 한국과 스위스가 양자 과학 기술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제1차관은 23일 오후 서울 주한스위스대사관에서 열린 '퀀텀 코리아 2025 사전행사(Waiting for Quantum Korea 2025)'에 참석해 퀀텀 코리아 2025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고, 대한민국과 스위스 간 양자과학 기술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 행사는 퀀텀 코리아 2025의 공식행사로, 대한민국과 스위스 간 정부부처 및 주요 산업 관계자와의 양자과학 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한스위스대사관 주관으로 개최됐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과 백승욱 한국연구재단 양자기술단장 등이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했고, 마티나 히라야마 스위스 교육연구혁신청(SERI) 청장(차관급), 다그마 슈미트 타르탈리 주한스위스 대사, 카트린 헤스 벨왈드 스위스 국립과학재단(SERI) 학술이사 등이 스위스 대표로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주한스위스 대사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패널토론, 양자과학기술 연구사례 발표, 스위스 양자기술 관련 소개 등이 이어졌다. 이날 행사에 앞서 개최된 양국 대표 회담에서는 한-스위스 양자과학 기술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이창윤 차관은 폐회사에서 2008년부터 이어온 대한민국과 스위스의 과학기술협력의 역사를 언급하며“대한민국 양자기술의 산업화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어 스위스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이 협력을 바탕으로 양국의 양자과학기술분야가 더욱 큰 도약과 혁신의 순간을 맞이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5-06-23 14:57:04[파이낸셜뉴스] 충남도는 양자 관련 연구기관, 기업 등 국내외 전문가들에게 충남의 양자산업 육성 정책과 주요 추진 사업 등을 소개하기 위해 오는 24∼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충남도는 지역의 양자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를 구축하기위해 제정한 ‘충청남도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와 ‘제1회 양자과학기술 육성 포럼’ 개최, 양자센싱 기술 개발 전략 수립 등 그동안 추진한 양자산업 육성 정책을 소개할 계획이다. 또 △양자암호통신 시범 기반 구축 △양자센싱 기반 라이다(LiDAR) 센서 및 모듈 실증 △양자초분극 기반 화학 독극물 탐지 기술 개발 등 국책사업과 연계된 실증 중심의 추진 사업들을 상세히 홍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충남도는 충남 홍보관을 방문하는 기업에 제조기술융합센터, 충남지식산업센터,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주요 첨단산업단지 현황, 기업 자금 지원 등 다양한 기반 시설과 기업 지원 정책 등도 소개한다. 이와 함께 지역 일반 현황, 우수한 교통망, 탄탄한 산업 기반, 풍부한 대학·연구기관 기반을 강조해 대한민국 산업의 중심지이자 양자 기술 기반 산업 육성을 위한 최적지임을 부각할 예정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이번 퀀텀코리아 2025 충남 홍보관 운영을 통해 충남이 보유한 탁월한 양자 기술 실증 및 산업 육성 기반을 국내외 기관·기업에 널리 알릴 것”이라며 “양자산업 관련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관련 기업의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등 충남의 양자기술이 대한민국의 핵심 경쟁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6-22 10:20:43[파이낸셜뉴스]한국산업은행은 28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경상남도가 주최하는 스타트업 페어 GSAT 2025와 연계해 'KDB 넥스트라운드 in 경남'을 개최했다. 올해 첫 번째 지역라운드로 개최된 경남 라운드는 방산·로봇·소재 등 경남 전략산업뿐 아니라 유통·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지역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기회 확대에 중점을 뒀다. 이날 라운드는, 산업은행의 벤처지원 업무 소개와 경남 벤처생태계 경쟁력을 주제로 한 패널토론과 경남소재 혁신 스타트업 5개사의 IR 발표 등으로 구성됐다. 패널토론에는 퀀텀벤처스코리아(수도권 VC), 레디로버스트머신(지역 스타트업),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지역 창업지원기관)가 참여해 경남 벤처생태계의 경쟁력을 주제로 논의를 펼쳤다. 이어진 IR 세션에서는 경남 지역의 다양한 업종을 대표하는 혁신 스타트업 5개사가 기술력과 시장성을 소개하며 투자유치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지리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VC가 주목할 만한 경쟁력을 갖춘 경남 지역 스타트업을 소개하고, 수도권과 지역 간 투자 연계의 필요성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신혜숙 산업은행 부행장(혁신성장금융부문)은 “경남은 전통 산업과 혁신 스타트업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 벤처 생태계의 중심이자 기술혁신의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산업은행은 ‘지역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이라는 사명감을 바탕으로, 지역 스타트업의 도약을 위해 함께하는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2025-05-29 10:2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