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구리에도 관세 추가를 검토 중인 미국에 한국 기업들의 투자위축을 지적하며 합리적인 대응을 촉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1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 관보에 따르면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일 미국 상무부를 상대로 구리 수입에 대한 미국 정부의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와 관련해 의견서를 제출했다. 전 세계를 상대로 전방위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25일 '구리 수입에 따른 국가안보 위협 대처'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해당 명령에서 미국 상무부에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미국의 구리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요구했다. 보고 기한은 명시되지 않았으나 관련 법률에 따르면 상무부는 270일 안에 결과를 내놔야 한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수입품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의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규정한 조항이다.산업통상자원부는 의견서에서 한국산 구리 제품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미국 경제와 공급망 안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구리 관세가 미국 내 구리 가격을 인상해 궁극적으로 미국 제조사의 경쟁력을 약화하고 공급망에 차질을 일으키는 등 미국의 안보와 경제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의 전체 구리 수입에서 한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3%에 불과한 데다 주로 건설, 상수도, 전력 기반시설 등 국방과 직접 연관성이 적은 산업에서 사용돼 미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 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는 대미투자 한국 기업이 한국산 동박(copper foil)을 사용한다면서 한국산 동박 대부분이 미국에 약 465억달러(약 66조3229억원)를 투자해 1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든 한국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된다고 설명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2025-04-14 18:13:16'First-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가 오는 23∼2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에서 아시아 최고 금융·투자포럼 '2025 FIND Financial Insight Summit'을 개최합니다.'금융의 새로운 길을 찾다'와 '금융의 통찰과 네트워크를 얻는다'는 의미를 담은 'FIND'는 아시아 최고의 금융포럼인 서울국제금융포럼과 아시아 최고의 대체투자컨퍼런스인 서울국제A&D컨퍼런스가 함께합니다. 올해 26회를 맞는 서울국제금융포럼의 주제는 'AI가 바꿀 금융의 미래'입니다. 스탠퍼드대학교 AI연구소 상임이사를 맡고 있는 제임스 렌데이 교수가 기조연설자로 나섭니다. AWS의 사이먼 로우리 금융서비스 총괄, 올거나이즈 이창수 대표 등이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AI 서비스 혁신과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AI 미래학자 마틴 포드 등이 금융시장에서 AI의 한계와 도전을 집중 조명할 예정입니다. 둘째 날 열리는 제23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에서는 세계 1위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켄 토조 아시아·태평양지역 상장지수펀드(ETF) 상품그룹 총괄이 기조강연에 나섭니다. 조던 크루즈 오크트리캐피털 상무이사와 패드로 팔란드라니 글로벌X 리서치헤드도 강연자로 나와 ETF와 AI를 중심으로 본 대체투자의 확산과 중요성을 짚고 AI를 활용한 혁신금융투자상품 생성의 중요성을 설파합니다. ■ 행사명 : 2025 FIND Financial Insight Summit ■ 일정 및 장소-제26회 서울국제금융포럼 : 4월 23일(수) 오전 8시30분~오후 3시30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그랜드볼룸(B1F) -제23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 : 4월 24일(목) 오전 8시30분~오후 2시20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그랜드볼룸(B1F) ■ 주최 : 파이낸셜뉴스, 오크트리 ■ 후원 :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전국은행연합회,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 등록신청 : 홈페이지(https://event.fnnews.com/event) ■ 문의 : 2025 FIND 사무국 (02)6965-0026
2025-04-14 18:08:58[파이낸셜뉴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10일 ‘신한투자증권 대학생 팬슈머 클럽 쏠-루션 2기 수료식’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쏠-루션’은 증권사의 브랜드 및 서비스에 대해 대학생 고객 관점에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팬슈머 클럽이다. 이번 2기는 지난 3개월 간 제휴 서비스, 콜라보 마케팅, 유튜브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제안 과제를 수행했다. 또 신한투자증권의 실무자들과 함께 실현 가능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에 참여해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신한투자증권 본사에서 진행된 ‘쏠-루션’ 2기 수료식은 주요 활동과 성과 소개를 시작으로 수료증과 상장 수여, 우수 활동자와 팀 시상 순으로 진행됐다. 활동 최우수 1개 팀에는 200만 원의 포상금과 2025년~2027년 신한투자증권 대졸 신입사원 공개채용 시 서류전형 면제 혜택을 부여했다. 우수상을 수상한 2개 팀에는 각 100만원의 포상금을, 장려상을 수상한 3개팀에는 각 5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최우수 활동 인원 2인에게는 신한투자증권 본사에서 3개월 간 체험형 인턴사원으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번 대학생 팬슈머 클럽 쏠-루션 2기의 생생한 의견을 Z세대 고객 경험을 향상 하는데 활용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처럼 회사와 고객이 함께 성장하는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4-14 16:46:22◆ 유진투자증권 △감사총괄 한재혁 △구조화금융본부장 신동오 △기업금융본부장 유장훈 △WM본부장 유만식 △자본시장실장 이주형 △IPO실장 오주현 △채권솔루션실장 전소진 △디지털사업실장 정종원 △ECM팀장 서용희 △Coverage팀장 성낙규 △IPO1팀장 김성훈 △구조화금융전략팀장 이상후 △부동산개발2팀장 김형태 △CM2팀장 윤은총 △CM3팀장 김병준
2025-04-14 16:36:13[파이낸셜뉴스]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미국 국채 금리가 일주일 사이 최대 폭으로 치솟으면서(채권 값 폭락) 미국 채권 개미들의 혼란도 커지고 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오히려 미국 장기채 시장 변동을 두고 투자 기회라는 평가도 나온다. 14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08p 오른 4.495%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 2월 20일(4.5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달 4일까지만 해도 10년물 금리는 3.99%까지 내려간 바 있다.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만 해도 안전자산으로 투자 심리가 옮겨가면서 채권 매수세가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7일부터 11일까지 일주일 만에 0.5%p가까이 급등했다. 이는 2001년 11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 폭이다.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의 급상승은 채권 가격의 급락을 뜻한다. 국채 금리가 단기간 급등한 배경으로 증권가에서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반등 및 미국 재정적자 우려가 확산된 결과로 보고 있다. 여기에 9일(현지시간) 미 행정부가 갑작스레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히면서 미 국채 금리 변동성을 재차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최근의 미국 소비자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우 전쟁으로 미국이 고물가 시대에 진입했던 지난 2022년 당시 고점 수준을 넘어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반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의 그림자가 미 국채 금리 급등 현상을 촉발시켰다"고 말했다. 중국 등 해외 보유국들이 미 국채를 매도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관세 전쟁 하에서 중국이 미국채 매도를 무기로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실제 중국이 보유한 미국채는 지난 2010년대 초반 1조4000억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까지 7000억달러로 절반가량 줄여오기도 했다. 중국이 미국에 대해 125% 관세 맞불을 놓는 상황에서, 미 채권시장의 유동성 위기를 가장 좋아할 주체도 중국"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발 변동성을 피해 대표적 안전자산인 미 국채를 순매수했던 국내 투자자들은 금리 급등 여파로 단기적으로는 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국내 투자자의 미 국채 순매수액은 27억9016만달러(약 4조8000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21억7008만달러) 대비 28% 늘었다. 다만 관세 불확실성이 잡히는 대로 미 국채 금리가 재차 하락할 것으로 기대한 국내 투자자들이 미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를 지속적으로 순매수하고 있다. 코스콤 체크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는 최근 일주일 간(4월 7~11일)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를 254억원,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H)'를 200억원어치 사들였다. 이기간 국내 채권형 ETF 중 개인 투자자 순매수 1, 2위 규모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미 정부와 연방준비제도(연준) 모두 최근 금리 상승에 대해 주의를 갖고 모니터링을 하는 만큼 금리 상승은 미 국채 장기물의 매수 기회"라며 "재차 금리가 상승할 경우 연준이 양적 긴축(QT)을 조기 종료하고 유동성 공급을 통해 채권 금리를 안정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4-14 15:57:02[파이낸셜뉴스] 유진투자증권이 디지털 혁신과 비즈니스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조직개편 및 인사를 단행했다. 유진투자증권은 ‘디지털혁신총괄’을 신설했다고 14일 밝혔다. 고경모 유진투자증권 대표가 디지털혁신총괄도 맡아 디지털 전략의 실행력을 높일 예정이다. 산하에는 ‘디지털사업실’을 신설해 기존 IT본부와 함께 배치, 조직 간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조직 운영 효율성과 비즈니스 수익성 강화를 위한 구조 개편도 이뤄졌다. 기존 IB부문을 폐지하고 이를 ‘기업금융본부’와 ‘구조화금융본부’로 분리해 각 분야의 전문성 및 업무추진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채권 분야에서는 채권금융본부 내 ‘채권솔루션실’을 신설하고, 기존에 1개였던 CM(Capital Market)팀을 3개 팀으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채권 중개 영역의 수익성을 높이고 시장 변화에 보다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localplace@fnnews.com 김현지 기자
2025-04-14 15:26:56[파이낸셜뉴스] 쿼터백자산운용은 삼성증권과 투자자 맞춤형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RA) 일임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였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쿼터백자산운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삼성증권 퇴직연금(IRP) 고객을 위한 ETF 포트폴리오 추천 서비스 형태로 출시됐다. 고객의 투자 성향을 분석해 1분 내로 개인화된 전략을 자동 추천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 성장, 글로벌 배당 등 선호도가 높은 전략을 중심으로 총 6종의 모델 포트폴리오가 제공된다. 기존 상품과 달리 고객의 투자 성향을 기반으로 전략을 개인 맞춤형으로 구성하며, 이후 운용 단계에서는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성장 △글로벌 배당 △글로벌 타겟데이트펀드(TDF) △고정 배분 △유연 배분 △한국 배분 등으로 고객의 투자 성향과 연금 운용 스타일에 따라 전략 선택이 가능하다. 운용 전략은 쿼터백자산운용이 자체 개발한 매크로 진단 모델, 자산별 투자 신호 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됐다. 또 경기 지표, 기업 실적, 투자 심리 등 글로벌 데이터를 분석하는 알고리즘 기술도 적용됐다. 시장 상황에 맞춰 월 1회 이상 리밸런싱이 자동 수행되는 한편, 투자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갖췄다. 조홍래 쿼터백자산운용 대표는 "기관들이 선택한 글로벌 투자 역량을 개인 투자자에게도 제공하고자 이번 서비스를 기획했다"며 "AI 기반 전략 추천을 통해 복잡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개인 투자자들이 연금 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4-14 13:37:43[파이낸셜뉴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주한유럽상공회의소와 투자유치 협력강화에 나선다. 박성호 부산진해경자청장은 14일 경자청을 방문한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 Andrew Millard 지부장과 투자유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우수한 투자환경과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 유럽 기업들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한 Andrew Millard 지부장은 유럽 투자가의 관심 분야와 진입장벽 해소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으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전략산업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가졌다. 주한유럽상의는 2012년 설립된 국내 외국계 경제 단체 중 하나로 유럽연합(EU),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영국(UK) 등 유럽 기업들의 권익을 대변하고 한-EU 간 경제교류 촉진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산지부는 지역 내 유럽기업 지원 및 네트워킹 확대를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400여개의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 또, 연간 다양한 비즈니스 행사와 규제·정책 활동을 통해 유럽기업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특히, 세계 1위 선사인 MSC를 비롯해 르노자동차, 보쉬렉스로스, 윌로펌프 등 유럽의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경자청 개청 이래 유럽 기업들의 누적 투자액은 총 15억 3000만 달러로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약 32%를 차지해 대륙별 투자지역 중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유럽 기업에게 아시아 진출의 전략적 거점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경자청은 주한유럽상의 회원사를 대상으로 투자유치설명회를 개최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투자환경과 맞춤형 지원책을 홍보하며 글로벌 투자유치 활동을 지속해왔다. 경자청은 앞으로도 주한유럽상의와의 두터운 협력관계를 지속해 유럽 기업들과의 지속적인 관계 구축은 물론, 지역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또, 향후에도 1대1 맞춤형 투자 상담, 글로벌 홍보활동 등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유망 기업 발굴과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박성호 청장은“이번 방문은 유럽 기업들과의 교류 확대, 기술협력,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이번 면담을 계기로 주한유럽상공회의소 및 유럽 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고 가시적인 투자유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5-04-14 11:37:30[파이낸셜뉴스] BNK투자증권(대표이사 신명호)은 14일부터 6월 30일까지 주식·채권 순입고 및 금융상품 가입 고객에게 최대 120만원 상당의 백화점 상품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고객의 자산 확대와 금융상품 거래 활성화를 위해 기획됐다. 주식·채권을 5000만원 이상 BNK투자증권 계좌로 순입고 할 경우, 금액에 따라 최대 6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지급하며, 채권(만기 1년 이상), ELB, WRAP 상품 등 금융상품 신규 가입 고객에게도 동일한 기준으로 최대 60만원의 상품권이 제공된다. 두 가지 이벤트에 동시 참여하면 최대 12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주식 순입고 고객의 경우 이벤트 기간 내 1000만원 이상 주식 거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벤트 신청은 BNK투자증권 홈페이지 및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를 통해 가능하며, 예산 소진 시 선착순 마감된다. BNK투자증권 관계자는 “고객들이 자산을 늘리는 동시에 더욱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이번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입장에서 더 친숙하고 만족도 높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BNK투자증권 홈페이지 및 고객지원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5-04-14 10:40:53【하노이(베트남)=부 튀 띠엔 통신원·김준석 기자】“LG전자는 내년까지 하이퐁 제조기지의 규모를 더 확대할 계획이었지만 미국 관세 문제로 내년 투자는 재고해야 하는 상황이다.” 베트남 하이퐁에서 글로벌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LG전자 베트남 법인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 정책이 바뀌지 않을 경우 향후 베트남 내 투자 확대 계획을 보류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베트남 내 생산된 가전 제품 다수를 미국시장에 직접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120억달러(약 17조1528억원)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 당초 LG전자는 침체에 빠진 가전 시장의 돌파구로 '글로벌 사우스' 중 하나인 베트남을 중심으로 투자와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46%의 관세 부과까지 거론되자 베트남 내 투자 확대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베트남 언론과 하이퐁 경제특구관리위원회가 예상한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손실액은 약 28억1000만달러(약 40조 711억원)에 달한다. 14일 베트남 현지 매체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베트남 하이퐁 경제특구관리위원회는 미국의 상호 관세정책 관련 기업인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한 목소리로 베트남 정부가 적극적으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김완기 LG전자 베트남 법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미국 관세 문제로 내년도 하이퐁 내 짠주 산업단지 추가 투자를 재검토해야 할 상황"이라고 토로하며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베트남 정부와 하이퐁 정부가 관세 및 협상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LG전자를 비롯한 LG그룹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면서 "지난주부터 베트남 정부가 미국 정부와 첫 협상을 시작하면서 관세정책이 90일 연기된 것은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46%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기 전까지, 베트남에 적용되던 최혜국 대우(MFN)에 따른 평균 관세율은 약 9.4%였다. 구체적으로 농산품은 평균 17.1%, 비농산품은 평균 8.1%의 관세가 부과됐다. 미국산 제품의 대베트남 수출 시 대부분은 15% 이하의 세율이 적용됐다. 이 때문에 중국을 대체할 포스트 차이나로 떠올랐다. 하지만 지난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46%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한국·중국·일본 기업들이 진출한 하이퐁과 박닌·타이응우옌 등 대표적인 제조·산업단지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직원들의 베트남 출장을 전격 보류하고 상황을 예의주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이후 베트남 협상 대표단이 미국을 찾는 등 추가 협상이 개시됐다. 업계 관계자는 "베트남 정부가 관세율 인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상황을 예단할 수 없다"면서도 "현재 상황이 급박하게 변하고 있어 섣불리 투자 확대를 결정할 수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한편, 하이퐁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미국으로 수출되는 베트남 상품에 예정대로 46%의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하이퐁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세율은 다른 지역의 경쟁회사보다 10~20%p 더 높아지게 돼 베트남 상품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하이퐁에는 LG전자를 비롯해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이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다. LG디스플레이과 LG이노텍은 미국산 부품을 수입해 베트남 제조기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부 튀 띠엔 통신원
2025-04-14 10:2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