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 ◇부장 △안광현 경수형SMR계통기술개발부장 △주호영 경영관리부장 ◇팀장 △김경인 기술사업화팀장
2025-03-02 12:20:24◆한국원자력연구원 ◇부장 △이정한 기기안전진단연구부장 △구서룡 선진계측제어연구부장 △고광훈 양자광학연구부장 △권혁 경수형SMR원자로기술개발부장 △유승엽 경수형SMR계통기술개발부장 △박기용 다목적소형연구로시운전부장 △이제환 4세대원자로기술개발부장 △김찬수 고온원자로개발부장 △지성훈 선진처분기술개발부장 △최우석 운반저장기술개발부장 △서범경 원자력시설청정기술개발부장 ◇실·팀장 △이성욱 로봇응용연구실장 △박병하 고온원자로사업총괄실장 △남종수 방사성폐기물처분실장 △전재언 품질보증실장 △이민호 품질검사실장 △문형철 윤리팀장 △윤재하 인사관리팀장 △정철은 기업지원팀장 △임기환 감사팀장
2025-01-31 13:17:37◆한국원자력연구원 △조성우 다목적소형연구로사업관리부장 △서경우 연구로공학실장 △남효온 핵주기기술전략실장
2024-12-31 10:44:59[파이낸셜뉴스]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병엽 박사가 제10대 한국방사선산업학회장으로 선출돼 2025년 1월부터 2년간 학회를 대표한다. 정병엽 신임 학회장은 30일 "한국방사선산업학회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방사선 기술 융복합 연구에 앞장서고 국가 방사선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방사선 산업의 저변을 넓힐 수 있도록 연구의 기획부터 산업현장의 실증연구까지 역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정 학회장은 천연잔디(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메이신 성분 이용 제품을 개발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제8호 연구소기업 ㈜바이오메이신을 설립한 방사선 생명공학 분야 전문가로,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한국방사선산업학회는 우리나라 유일의 방사선 산업 진흥을 위한 연구개발 및 실용화 관련 전문 학술 단체로 2006년 설립된 이후 국내 방사선 산업 및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4-12-30 09:37:55◆ 한국원자력연구원 △행정부장 정성현 △안전방호부장 이강우
2024-12-09 16:11:20[파이낸셜뉴스]포스코이앤씨가 국내 유일의 원자력 종합 연구개발 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미래 신성장 사업 기술개발에 나선다. 포스코이앤씨는 15일 인천 송도사옥에서 포스코이앤씨 전중선 사장과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고온가스로(HTGR) 개발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이앤씨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고온가스로(HTGR)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노형 확보를 위한 공동연구, 기술이전, 인력지원, 실증사업추진 및 수출 기반 상용화 등 전 영역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HTGR는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는 헬륨을 냉각재로 사용하고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해 750도 고온열을 생산하는 원자로다. HTGR은 1600도 이상에서도 방사능이 방출되지 않는 삼중피복입자 핵연료(TRISO)를 사용해 외부전원 상실, 운전원 조치 불가능 등 극한 사고에서도 자연냉각만으로 원자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무탄소 고효율 전력생산, 공정열 공급 및 수소생산에 활용 가능한 4세대 원자로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해 원자력사업단 조직을 개편해 원자력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한울 3, 4호기 건설사업에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또 서울대 중입자가속기 건설사업, 국내 최초원전인 고리 1호기 안전해체를 위해 건립되는 한국원자력 환경복원연구원 내 신축 사업 등 대형 원전 사업 외에도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계획하고 있다. 한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부터 고온가스로 기반의 원자력수소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포스코이앤씨를 포함한 12개 기관과 원자력공정열 신사업창출을 위해 원자력열이용협의체 출범을 주도한 바 있다. 현재는 포스코홀딩스와 공동으로 고온가스로와 고온수전해 공정을 연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
2024-07-15 10:50:03[파이낸셜뉴스] 부산시 기장군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방사선 바이오 의학과 산업 기술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두 기관은 '제1회 방사선의과학 미래혁신 심포지엄'을 통해 만나 방사선 바이오산업 기술의 전략적 상호 협력을 위한 ‘DIRAMS-KAERI 공동워크샵’과 업무협약(MOU) 체결을 했다. 앞서 군은 지난해 7월 ‘방사선 의과학 융합클러스터 활성화 포럼’을 개최하면서 군과 시, 서울대학병원 등의 다자간 협약 체결과 함께 의과학 융합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연계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425_sama@fnnews.com 최승한 기자
2024-06-27 16:40:48[파이낸셜뉴스] 현대건설은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건설 본사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민관합작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측은 차세대 원자로인 소듐냉각고속로(SFR) 관련 △개발사업 △국내외 실증사업 △수출 기반 상용화 및 수출에 대한 상호 독점적 사업 참여 △공동연구 및 지식재산권(IP) 기술이전 등에 대해 협력키로 했다. SRF는 열 중성자를 이용하는 경수로와 달리 고속 중성자를 이용해 핵분열을 일으키고 물이 아닌 액체 소듐(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다. 제4세대 원자로의 핵심 노형으로, 사용한 핵연료를 재활용해 우라늄 이용률을 향상시키고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경제성, 지속성, 안전성 등이 뛰어나 차세대 원전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대건설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22년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경수로형 SMR, 비경수로형 SMR인 용융염원자로(MSR), 원전해체 등 원전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기존의 경수로형 SMR 뿐만 아니라 차세대 원자로의 기술역량 확보 및 사업 추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각적인 협력을 통해 에너지 안보의 기반을 확립하는 것은 물론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해 글로벌 에너지 신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2024-06-12 09:59:11◆한국원자력연구원 ◇본부장 △조창연 경영기획본부장 ◇부장 △이영철 기획부장 △유연형 성과확산부장 △임창현 디지털경영·정보보안부장 △조섭기 감사부장 ◇팀장 △이윤석 총무팀장 △오아름이 구매팀장
2024-05-31 09:37:54◆한국원자력연구원 △조진영 선진원자로연구소장
2024-04-01 09: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