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국과 중국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두 나라의 협력 전략 등을 논의하는 ‘한·산둥성 교류협력 포럼’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원장 조정희)은 주칭다오대한민국총영사관, 산둥성 상무청 등과 함께 지난 3일 중국 현지에서 제4회 한·산둥성 교류협력 포럼을 열었다고 6일 밝혔다. KMI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지정학적 격변기와 경제안보 시대 속에서 한국과 산둥성 간의 미래지향적인 해양산업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두 나라의 해양수산, 해운·항만·물류, 해양관광, 해양환경을 비롯한 각 분야 전문가와 산·학·연·정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해양수산, 해운·항만·물류, 해양관광, 해양에너지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돼 두 나라 분야별 전문가들의 사례중심 발표 방식으로 진행됐다. 먼저 해양수산 세션에서는 한국어촌어항공단 이요셉 실장이 ‘지속가능한 어장 활용 위한 청정어장 재생사업’을 발표했으며 산둥 메이쟈그룹 페이서우청 부총재가 ‘산둥 해양식품 가공산업의 한국과의 공동 개발·유통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해운·항만·물류 세션에는 KMI 최나영환 전략기획실장이 ‘한국과 중국의 국제물류산업 여건’ 등을 주제로 발표하며 항만 간 연계운송 확대와 디지털 물류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중국 측은 산둥사회과학원 왕성 부원장이 ‘산둥 강항 물류 시스템 발전사’ 등을 주제로 발표하며 한·중 간 항로 연계와 해상운송 효율화 방안을 제언했다. 해양관광 세션은 한국크루즈 심상진 부회장이 ‘대한민국 크루즈 산업 육성 전략’을 주제 발표하며 중국 산둥성과의 정기항로 개설과 관광 콘텐츠 공동 개발·운영을 제안했다. 중국 측은 카이사 관광그룹 츠융제 동사장이 ‘산둥의 해양문화관광 발전 현황’을 주제로 소개하며 두 나라 간의 크루즈 교류와 복합관광벨트 구축 필요성을 주장했다. 해양에너지 세션은 KMI 정여진 부연구위원이 ‘블루카본 생태계의 탄소 저감 기능’ 등을 주제로 국제 탄소크레딧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 천펑윈 연구원은 ‘산둥 해양에너지 개발 현황’ 등을 주제로 두 나라의 해양에너지 기술 협력 확대 방향을 제시했다. 조정희 KMI 원장은 “중국 산둥성과 한국은 황해를 사이에 둔 해양 협력 최적의 파트너다. 항만물류, 수산가공, 스마트양식, 해양관광, 블루카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 나라의 전략적인 협력이 확대되도록 KMI도 지식정보 등을 적극 제공하겠다”며 “이번 포럼이 정책, 기술, 산업 전반에 걸친 두 나라의 해양협력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 KMI는 앞으로도 산둥성과 미래지향적 해양 파트너십을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2025-07-04 11:06:27◆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부원장급 △부원장 최상희 ◇본부장급 △기획조정본부장 김민수 △해양연구본부장 윤성순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장 이언경 △글로벌전략연구본부장 한덕훈 ◇실장·센터장급 △기획조정본부 전략기획실장 최나영환 △기획조정본부 연구관리실장 정대홍 △해양연구본부 해양경제연구실장 김주현 △해양연구본부 해양환경연구실장 조성진 △해양연구본부 연안공간연구실장 최석문 △해양연구본부 해양관광·문화연구실장 최일선 △수산연구본부 어업·양식연구실장 최순 △수산연구본부 수산업관측센터장 이남수 △수산연구본부 FTA이행지원센터장 박혜진 △수산연구본부 해외시장분석센터장 한기욱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해운산업연구실장 황수진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해사산업·안전연구실장 박혜리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국제공급망연구실장 조지성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국제물류투자분석·지원센터장 김동환 △항만연구본부 항만정책연구실장 김세원 △항만연구본부 항만산업연구실장 김은우 △글로벌전략연구본부 해양안보전략연구실장 윤인주 △글로벌전략연구본부 극지전략연구실장 김엄지 △글로벌전략연구본부 국제개발협력센터장 전혜은 △글로벌전략연구본부 중국연구센터장 김태일 △경영지원본부 전산정보실장 이재진 △어촌연구부 어촌·어항정책연구실장 이호림 ◇팀장급 △수산연구본부 수산업관측센터 수급동향전망팀장 강효녕 △수산연구본부 수산업관측센터 양식관측1팀장 조국훈 △수산연구본부 수산업관측센터 양식관측2팀장 백은영 △수산연구본부 해외시장분석센터 해외시장동향·전망팀장 김명수 △수산연구본부 해외시장분석센터 글로벌진출·전략팀장 양이석
2025-05-12 11:56:22[파이낸셜뉴스] 부산대학교는 해양수산 분야 교육·연구 활성화를 위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지난 17일 교내 대학본부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어 공동연구기기동에서 두 기관 공동연구센터 개소식을 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과 공동연구센터 개소로 두 기관은 △해양지식 함양과 해양수산 정책 이해 증진 △해양수산 인재 양성을 통한 관련 분야 취·창업 활성화 기여 △인적·물적 융합을 통한 해양수산 분야의 학술적 성과 창출과 산업 발전 기여, 학·연 지역 협력모델 창출 등을 통해 학계와 산업계에서 해양수산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연 협력의 외연 확대, 양 기관의 동반 발전과 해양수산 분야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협력 방안 창출 등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두 기관 전문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글로벌 싱크탱크로서 역량과 위상 제고를 촉진하는 데에 협력하기로 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2024-12-18 09:51:5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제물류투자분석·지원센터장 김동환
2024-09-03 16:24:40◆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센터장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 국제물류투자분석·지원센터장 김동환
2024-09-03 14:26:3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센터장 보직임명 △대외협력사업부 중국연구센터장 김태일
2024-03-29 10:28:2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 경제전망·데이터연구실장 김주현
2024-02-19 11:22:42【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항만공사(UPA)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상호협력·교류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8일 울산항 마린센터 12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은 해운·항만·물류분야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연구와 실행을 위해 상호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협약 내용은 △해운·항만·물류분야 관련 연구 결과 공유 △해운·항만·물류분야 관련 연구 수행 시 UPA 참여 및 의견 반영 △국제물류 및 국내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협력 △세미나·정책포럼 정례 개최를 통한 정책개발이다. 울산항만공사 김재균 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주요 항만정책을 공유하면서 울산항 현장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인 정책을 발굴 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하겠다”라며 “해운·항만·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 협력해 울산항이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물류를 선도하는 글로벌 에너지허브 항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2-10-18 16:50:1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직임명 △기획조정본부 본부장 박광서 △경제전략연구본부 본부장 김민수 △해양연구본부 본부장 최지연 △수산연구본부 본부장 마창모 △해운연구본부 본부장 고병욱 △항만연구본부 본부장 김근섭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 본부장 이언경 △수산정책사업본부 본부장 김대영 △어촌연구부 부장 박상우 △경제전략연구본부 경제전망·데이터연구실 실장 장정인 △경제전략연구본부 북방·극지전략연구실 실장 윤인주 △경제전략연구본부 지역경제·관광문화연구실 실장 최일선 △해양연구본부 해양환경·공간연구실 실장 육근형 △해양연구본부 독도·해양법연구실 실장 박영길 △수산연구본부 수산·양식정책연구실 실장 조헌주 △수산연구본부 연근해어업연구실 실장 고동훈 △해운연구본부 해운정책연구실 실장 이호춘 △해운연구본부 해운금융연구실 실장 박성화 △해운연구본부 해운빅데이터연구센터 센터장 윤재웅 △항만연구본부 항만정책·운영연구실 실장 김찬호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 첨단물류·기술연구실 실장 서정용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 해사산업연구실 실장 박한선 △물류·해사산업연구본부 국제물류투자분석·지원센터 센터장 최나영환 △어촌연구부 어촌삶의질연구실 실장 홍혜수 △대외협력사업부 국제개발협력센터 센터장 전형모 △대외협력사업부 중국연구센터 센터장 한광석
2022-02-07 16:47:3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직(전보) △수산연구본부 어업자원연구실 이정삼 실장 △수산연구본부 국제수산연구실 정명화 실장 △해운·물류연구본부 해운금융연구실 박성화 실장 △항만연구본부 항만운영연구실 김찬호 실장 △항만연구본부 첨단항만연구실 이언경 실장 △수산정책사업본부 수산업관측센터 양식관측연구1팀 이기영 팀장 △수산정책사업본부 수산업관측센터 양식관측연구2팀 노아현 팀장 △수산정책사업본부 수산업관측센터 관측모형연구팀 허수진 팀장 △수산정책사업본부 수산업관측센터 대중어관측연구팀 조국훈 팀장 △경영지원본부 행정지원실 김혁주 실장 △경영지원본부 청사관리실 이병우 실장 △대외협력사업부 IAME2022사무국 박용안 사무국장
2021-04-01 09:5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