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글로벌 빅테크기업들간의 인공지능(AI) 로봇 관련 기술개발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기업인 LG전자가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2012~2021년)간 세계 주요국 특허청인 IP5(한국, 미국, 중국, 유럽연합, 일본)에 출원된 인공지능 적용 로봇 관련 특허출원을 분석한 결과, 출원건수는 연평균 58.5%씩 늘어 2012년 20건에 불과하던 것이 2021년 모두 1260건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韓, 출원량·출원 증가율 2위 출원인을 국적로 보면 중국이 60%(3313건)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한국 24.7%(1367건), 미국 8.1%(446건) 순이었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중국이 59.7%로 인공지능 로봇분야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은 53.4%로 2위를 차지했다. 출원된 인공지능 기술을 분석한 결과, 교육·엔터테인먼트·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로봇을 적용한 응용분야 제어 기술이 53.6%(2962건)로 가장 많았다. 로봇이 사물을 인식하거나 조작하는 외부환경과 상호작용 기술이 33.8%(1869건), 학습을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기술이 12.6%(694건)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8위, 국내업체 성장가능성 주요 출원인별로는 LG전자(18.8%·1038건)가 최다 출원인 1위를 차지했으며, 일본의 파눅(FANUC·1.8%·97건)이 2위, 중국의 화남사범대학(1.5%·83건)이 3위로 뒤를 이었다. LG전자는 청소로봇과 서비스로봇, 물류로봇에 사물인식과 음성인식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국내외에 적극적으로 권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8위(0.7%·41건)를 기록, 인공지능 로봇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신차성 LG전자 IP센터 팀장은 "로봇 및 AI 분야 신사업을 위해 2017년부터 연구개발(R&D)을 본격화했다"면서 "특허 선점과 포트폴리오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 관련 특허출원이 2019년 특히 많았다"고 말했다. 이선우 특허청 지능형로봇심사과장은 "중국은 출원의 대부분이 자국에 한정돼 있고 테슬라 등 글로벌 주요 기업들은 특허출원이 적다"면서 "외부환경과 상호작용 기술, 구동 제어 기술 개발에 힘쓰면서 특허 권리화에 적극 나선다면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로봇 관련 특허권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1-03 10:24:38[파이낸셜뉴스]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11일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에서 '과학·수학·정보 교육 정책 발전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과학·수학·정보 교원과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해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과학·수학·정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 실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구과학창의재단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user/KOFACs)을 통해 실시간 중계되며, 온라인 질의응답도 가능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광형 총장이 '미래 교육으로의 대전환을 위해 과학·수학·정보 교육이 나아가야할 길'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지정토론과 자유토론에서는 과학·수학·정보 분야의 전문가와 현장교원이 함께 참여해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한 미래교육 발전방향과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은 황규호 이화여대 사범대학장이 좌장을 맡는다. 지정 토론자로는 고용철 제주고 교장(전국과학교사협회장)과 정종식 중앙대사범대학부속중 수석교사(체험수학교사연구회장), 이정서 대구화남초 교사(대구컴퓨팅교사연구회장),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금종해 고등과학원 교수(대한수학회장), 이재호 경인교대 컴퓨터공학과 교수(한국정보교육학회장)이 참여한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21-05-11 12:5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