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특검(내란·김건희·채해병)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면서 국민의힘 내부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3대 특검 전부에 인지 수사 조항이 포함돼 수사 범위를 무한정 확대할 수 있는데다 내란특검법의 경우 '표결 방해 시도' 혐의까지 수사 대상으로 명시하는 등 국민의힘에 대한 전방위적인 수사까지 예상되면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특검의 칼날이 국민의힘을 겨눌 지 주목된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선포는 윤 전 대통령의 독단적인 선택이었고 이미 탈당했다며 선을 긋고 있다. 계엄 선포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도 지난 20일 의원총회에서 12월 3~4일 계엄사태 당시를 복기하며 표결 방해는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특검의 인지수사 범위가 넓어 국민의힘에 불길이 번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수사 과정에 대한 언론브리핑 조항도 있어 국민의힘이 여론전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흘러나온다. 실제 국민의힘은 지난 1월 이를 '독소 조항'으로 규정하며 해당 조항을 삭제한 자체 '계엄특검법'을 발의한 바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3개 특검이 각각 인지 수사를 하면 어디로 튈지 모른다"며 "단순히 계엄과 김건희 여사, 채해병에 대한 수사가 아니라 막 끄집어내는 수사로 칼춤을 추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언론브리핑에 대해서도 "재판에서 유죄가 인정되든 안되든 마구잡이식 기소로 망신주기 언론플레이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 일각에선 내란 특검이 '표결 방해' 수사에 본격 돌입할 경우 정치적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한 의원은 "일부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부분은 수사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관계와 무관하게 조사 대상이 되거나 기소를 하는 것은 방어권을 행사할 수 없다"며 "많은 의원들이 (수사)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긴장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107명 의원 중 8명 이상이 의원직을 상실하는 '최악의 경우'까지 거론됐다. 그는 "내란과 외환은 단순 가담자도 큰 형벌을 받는다"며 "몇 명만 (수사로) 흔들려도 개헌 저지선이 무너질 수 있다"고 했다. 김건희특검법에 대해서도 "공천 문제나 여론조사에 관여한 의원들이 나올 경우 당이 힘든 상황에 몰릴 수 있다는 걱정이 있다"고 밝혔다. 해당 의원은 이어 "지방 선거까지 분위기를 연결시켜 당이 쑥대밭이 되는 과정 속에서 국민의 신뢰를 많이 잃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당내에선 지난 2016~2017년 2달여간 가동됐던 '최순실 게이트' 특검의 악몽이 떠오른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3특검의 경쟁적 수사가 어디로 튈지 모른다"며 "(최순실 특검 당시) 많은 의원들이 수사를 받진 않았지만 보수·정부 인사들이 수사를 많이 받은 경험으로 인지 수사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
2025-06-26 18:2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