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교육청은 광주 학생들이 5·18 역사를 직접 체험하며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오월 버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오월 버스'는 오는 4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00대 운영되며, 국립 5·18민주묘지 등 주요 5·18 사적지를 찾아 5·18민주화운동 체험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학교당 최대 4대, 최대 6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5·18 사적지 탐방 프로그램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단, 사적지 중 국립 5·18민주묘지는 반드시 방문해야 하며, 전일빌딩 245, 5·18민주화운동기록관, 5·18자유공원 등을 자유롭게 선택해 방문 예약을 한 후 '오월 버스' 지원을 신청하면 된다. 신청은 오는 21일까지 민주인권교육센터 누리집을 통해 할 수 있다. 광주시교육청이 지난 6일부터 희망 학교를 신청받은 결과, 현재까지 41개 학교가 82대의 '오월 버스'를 신청했다. 한편 광주시교육청은 지속된 세수 결손으로 인한 강도 높은 긴축재정에도 불구하고 '오월 버스' 운영, 5·18 계기 교육 자료 개발, 찾아가는 5·18 세계화 프로그램 등 학생 체험 중심 5·18 프로그램을 신규로 운영한다. 앞으로도 효율적인 사업 예산 편성을 통해 각 학교에서 5·18교육이 체험 중심으로 이뤄지고, 5·18의 가치가 세계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오월 버스'를 통해 학생들이 교실을 넘어 역사적 현장에서 5·18민주화운동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면서 "5·18 교육 내실화를 통해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3-20 10:22:11【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교육청이 5·18민주화운동 교육자료를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보급한다. 28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5·18 주간을 앞두고 '오월 교육 꾸러미', '5·18 전시자료', '5·18 중등인정교과서' 등 5·18민주화운동 교육자료 3종을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배부키로 했다. 이번 5·18 교육자료는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5·18 역사 왜곡을 막고 학생들에게 5·18의 역사적 의미를 교육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오월 교육 꾸러미'는 5·18 관련 도서, 활동지, 5·18 보드게임, 입체퍼즐(옛 전남도청), 직소퍼즐, 활동엽서 등 5·18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체험활동 자료와 도서 등으로, 초등용과 중등용으로 나눠 제작됐다. 중등용에는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가 포함돼 있다. '5·18 전시자료'는 5·18의 역사적 의미와 의의를 담았으며, '5·18중등인정교과서'는 학생들이 5·18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한 광주광역시교육감 인정교과서(고등학교용)다. 광주시교육청은 광주를 포함해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희망 신청을 받아 '오월 교육 꾸러미' 200개교, '5·18 전시자료' 200개교, '5·18중등인정교과서' 50개교 등에 선착순 배부한다. 자료는 중복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오는 4월 11일까지 광주시교육청 민주인권교육센터 누리집 참여마당 5·18 교육자료 신청 게시판에서 설문조사 배너를 통해 하면 된다. 광주시교육청은 4월 15일부터 신청 학교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보급해 5·18기념주간에 학교에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우리 아이들에게 5·18 역사를 올바르게 교육하는 것이 왜곡을 막는 길이다"면서 "5·18 교육자료 꾸러미 보급을 통해 학생들이 5·18의 진실을 알고 올바르게 배워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교육청은 5·18 교육 활성화를 위해 5·18 사적지 탐방 '오월 버스' 운영, 5·18 계기 교육자료 개발, 찾아가는 5·18 세계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3-28 10:44:23【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교육청은 올해 5·18민주화운동 제43주년을 맞아 오는 27일까지를 기념 교육주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체험행사를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광주시교육청은 먼저, 5·18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5·18민주화운동 교육의 의미를 바로 새기기 위해 오는 10일자체 행사인 '5·18쿠키먹Go! 5·18배우Go! 5·18민주화운동'을 추진한다. 이번 행사에선 5·18민주화운동 교육 관련 리플릿을 배부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5·18에 대한 의미를 포스트잇에 적은 후 생각 나눔판에 붙여 5·18 교육의 의미를 되새기며 의견을 함께 나눌 계획이다. 또 전시된 5·18 관련 자료를 보며 사적지 모양 쿠키를 나누고 5·18 배지를 서로 달아주는 출근 맞이 행사와 함께 과별·팀별 5·18민주화운동 관련 행사 참여의 날을 진행한다. 이어 13일에는 체험 중심 5·18민주화운동 교육의 하나로 횃불코스 3.3km를 걷는 '5·18 사적지 함께 걷기 축제'를 진행한다. 광주지역 학생, 학부모, 교직원 300여명이 참여해 전남대 정문(사적 1호)에서 광주역 광장(사적 2호)과 시외버스공용터미널 옛터(사적 3호)를 거쳐 광주중앙초까지 걸으며 5·18 정신을 함께 느껴본다. 이번 행사는 5·18 사적지 코스를 직접 걸으며 민주화운동의 역사적인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고 5·18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착지에서는 금남로 일대 사적지를 탐방할 수 있는 리플릿을 배부하며, 경찰 협조 및 안전 요원을 배치해 안전사고 예방도 철저히 한다. 오는 20일에는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청소년들의 다양한 끼와 열정으로 표현하는 체험 중심 민주주의 축제인 '5·18 청소년문화제'가 펼쳐진다. 청소년이 5·18민주화운동 정신 계승의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획-운영-평가의 전 과정에 청소년들이 주도한다. 특히 청소년 5·18홍보단 '푸른새'가 주축이 돼 기획·운영한다. 오월의 숲(테마전시), 이슈놀이터(참여부스), 금남로 버스킹, 민주성회(청소년 자유발언), 플래시몹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광주지역 청소년뿐 아니라 서울, 성남 등 전국 청소년들이 참여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모두가 함께 나누고 어우러지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선 교육감은 "교실 현장에서 5·18민주화운동 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체험을 통해 모두가 5·18정신을 느끼고 기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5·18정신이 광주를 넘어 전국으로, 더 나아가 전 세계에서 민주·인권·평화의 가치로 확대돼 이야기되고 꽃 피울 수 있도록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3-05-09 16:5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