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법적으로 은퇴 연령에 들어선 60세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이 청년층과 같은 수준까지 올라섰다. 고령인구 급증으로 일하는 노인은 늘고, 청년층이 구직시장에서 이탈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달 60세 이상 경활률은 49.4%로 집계됐다. 경활률은 전체 인구 대비 경제활동인구 비율을 말한다. 60세 이상 인구의 절반이 일을 하거나 구직 중이라는 뜻이다. 60세 이상 경활률은 1년 전보다 0.8%p 상승했다. 1999년 6월 관련 통계가 집계된 뒤로 가장 높다. 고령화 영향으로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해 점차 속도가 빨라지는 추세다. 최근 5년간 상승 폭은 4.6%p로 같은 기간 15세 이상 인구 경활률 상승폭(2.6%p)의 두배에 육박한다. 노령층 경활률은 최근 하락세인 15∼29세 청년층 경활률(지난달 기준, 49.5%)을 거의 따라잡았다. 지방 소도시 등 일부 지역은 60세 이상 경활률이 청년층보다 더 높다. 전국 17개 시도 중 올해 1·4분기 기준으로 60세 이상 경활률이 청년층보다 높은 곳은 10개로 절반이 넘는다. 청년층 경활률은 지난해 5월 이후 13개월 연속 내리막길이다. 제조업, 건설업 등 양질의 일자리 부족, 대기업의 경력직 채용 선호 등으로 구직시장을 이탈한 청년들이 늘고 있는 탓이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2025-06-16 10:44:45[파이낸셜뉴스] 5월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이 1982년 통계작성 이래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1월부터 시작된 고용시장 호조세가 이어졌다. 취업자수는 27개월 연속 증가했다. 청년층과 제조업 부문은 부진을 벗어나진 못했다. 다만 취업자수 감소폭은 축소됐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3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83만5000명으로 전년동월비 35만1000명(1.2%) 늘어나며 63.5%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경활률(65.3%)과 실업률(2.7%)도 각각 5월 기준 역대 최고·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도체 부진이 제조업으로 이어지며 청년층 고용률은 7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7.6%로 전년동월비로 0.2%p 감소하며 9만9000명 줄었다. 다만 1년 새 줄어든 청년층 인구가 17만9000명에 달했고, 지난해 5월 고점을 기록한 청년고용률의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양호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청년층 고용률은 5월 기준 1982년 7월 이후 지난해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하는 높은 수준이고, 실업률도 통계 기준을 변경한 1999년 6월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제조업 고용 부진도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동월 대비 올해 기준 최대 감소를 기록한 4월(-9.7%)에 비해 5월은 3.9% 감소에 그치며 감소폭을 크게 줄였다. 엔데믹 공식화로 인한 대면활동 확대 등 서비스업 회복세가 이어지며 보건복지·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 서비스업 취업자의 꾸준한 증가도 고용시장 회복에 기여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이상에서 37만9000명, 30대에서 7만명, 50대에서 4만9000명 각각 증가하며 고령층 위주의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졌다. 저연령층에서는 20대에서 6만3000명, 40대에서 4만8000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6만6000명), 숙박및음식점업(12만8000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11만1000명) 등에서 증가를 이끌었다. 반대로 건설업(-6만 6000명), 제조업(-3만9000명), 도매및소매업(-3만1000명) 등에서 감소를 보였다. 실업자는 5월 기준 78만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만2000명(-11.5%) 감소했다. 실업률로도 2.7%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보였다. 기획재정부는 "앞으로도 대면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며 고용률・실업률은 양호한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다만 "수출 및 설비투자 부진 등에 따라 제조업 일자리 회복이 지연되며 취업자수 증가폭은 점차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3-06-14 08:04:11[파이낸셜뉴스]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 보다 35만명 가량 늘었다. 제조업과 건설 경기는 부진했지만 코로나19 거리두기 완화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면서 고용률도 증가세다. 다만 제조업 한파가 이어지면서 청년층 고용은 13만7000명 줄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3만2000명으로 전년동월비 35만4000명(1.3%) 늘어나며 62.7%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경활률(64.4%)과 실업률(2.8%)도 각각 4월 기준 역대 최고, 최저 수준이다. 연령별로 60세이상에서 고용이 44만2000명, 50대에서 5만5000명, 30대에서 1만5000명 증가했다. 하지만 20대에서 11만6000명, 40대에서 2만2000명 각각 감소했다. 60대 이상의 일자리가 고용률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대와 40대 일자리는 되레 줄어들고 있다. 인구가 줄고 있는데다 제조업 고용부진 여파로 분석된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6개월 연속 감소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9만7000명 줄어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달(-4만9000명)에 비해 감소폭도 커졌다. 도소매업(-6만2000명), 건설업(-3만1000명) 등도 감소했다. 숙박및음식점업(17만1000명),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4만8000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10만명) 등 코로나 종식 이후 대면 위주의 관광·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나는 추세다. 고용률(15세 이상)은 62.7%로 집계됐다. 고용률은 5월 63%에서 완만하게 하락세를 시작했다. 6~7월 62.9%, 8월 62.8%, 9~11월 62.7%로 조금씩 하락하다가 12월 61.3%로 주저앉았다. 올해 1월 60.3%로 최저치를 찍고 반등을 시작한 뒤로는 증가세를 지속 중이다. 지난달 실업자는 80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9000명(-6.9%) 감소했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실업률은 2.8%로 1년 전보다 0.2%p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내수˙서비스업 회복세가 지속되며 고용률, 실업률은 안정적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가폭도 크게 둔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IT 부문 중심의 제조업 경기부진,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재연 우려 등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수 증가폭은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밝혔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3-05-10 09:4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