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5000만 크리에이터의 시대는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성장이 한국의 미래를 견인할 것이라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 사람들이 크리에이터로, 그리고 팬으로 시작하여 슈퍼 크리에이터, 슈퍼 팬으로 성장하는 미래를 기대합니다." 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는 파이낸셜뉴스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2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크리에이트 에브리웨어, 창작자와 호흡하라'는 주제로 진행한 제13회 퓨처ICT포럼에서 "카카오엔터는 국내와 글로벌에서 크리에이터들이 슈퍼 크리에이터로 거듭날 수 있는 플랫폼과 수익화 모델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진수 대표는 특정 플랫폼 기반으로 시작한 유튜버, 웹툰 작가, 틱톡커 등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멀티 플랫폼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다양한 포맷의 창작활동과 사업다각화를 전개하고 있음을 주목했다. 이른바 창작 기반 기업가인 '슈퍼 크리에이터'의 등장이다. 이 대표는 "크리에이터가 창작자에서 창작 기반 기업가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도전과 진화가 필요하다"면서 "이들은 끝없이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팬들을 모객하고 참여시킨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디지털 팬덤 기반 브랜드와 지식재산권(IP)을 만들고 확장하는 전문가로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다양한 수익화 모델을 만든다"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아이유와 같은 K팝 아티스트들도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에서 활동하면서 '디지털 하이브리드' 커리어를 확장하고 있다. 또 디지털에서 태동한 버추얼 크리에이터도 음원 발매를 넘어 오프라인 방송에 등장하고 있다. 이 대표는 "메타버스로의 확장이 본격화되면서 버추얼 크리에이터 활동무대는 더 넓어질 것"이라며 "카카오엔터는 카카오 공동체와 함께 '버추얼 크리에이터 대중화'에 진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슈퍼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핵심으로 '슈퍼 팬'을 제시했다. 그는 "출판, 영상, 뮤직, 게임 분야 디지털 전환이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이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투자도 활발하다"며 "팬들 역시 창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무는 2차 창작과 커뮤니티 활동으로 크리에이터 시대를 가속해왔다"고 진단했다. 이어 "전문 크리에이터 역시 더 큰 팬덤을 육성하기 위해 플랫폼을 넘나들며 팬을 모으고 개인 브랜드와 IP를 키우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에는 공통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추천하는 콘텐츠를 함께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 대표는 "슈퍼 팬들은 유사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놀거리를 끝없이 발굴하며 커뮤니티 리더 역할로 성장한다"면서 "슈퍼 크리에이터 네트워크의 핵심에 있는 슈퍼 팬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카카오엔터 등 카카오 공동체 역시 슈퍼 팬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카카오는 사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크리에이터를 위한 경제생태계인 'B2C2C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카카오 유니버스 안에서는 크리에이터가 슈퍼팬과 더 쉽게 만나고, 크리에이터-콘텐츠-슈퍼팬이 선순환되는 구조를 다양한 비즈니스모델(BM)을 통해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특별취재팀 김미희 팀장 이보미 김만기 차장 김준혁 임수빈 이주미 박문수 기자
2022-06-22 18:10:48[파이낸셜뉴스] “글로벌 5000만 크리에이터의 시대는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성장이 한국의 미래를 견인할 것이라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 사람들이 크리에이터로, 그리고 팬으로 시작하여 슈퍼 크리에이터, 슈퍼 팬으로 성장하는 미래를 기대합니다.” 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사진)는 파이낸셜뉴스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2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크리에이트 에브리웨어, 창작자와 호흡하라’는 주제로 진행한 제13회 퓨처ICT포럼에서 “카카오엔터는 국내와 글로벌에서 크리에이터들이 슈퍼 크리에이터로 거듭날 수 있는 플랫폼과 수익화 모델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진수 대표는 특정 플랫폼 기반으로 시작한 유튜버, 웹툰 작가, 틱톡커 등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멀티 플랫폼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다양한 포맷의 창작 활동과 사업 다각화를 전개하고 있음을 주목했다. 이른바 창작 기반 기업가인 ‘슈퍼 크리에이터’의 등장이다. 이 대표는 “크리에이터가 창작자에서 창작 기반 기업가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도전과 진화가 필요하다”면서 “이들은 끝없이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팬들을 모객하고 참여시킨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디지털 팬덤 기반 브랜드와 지식재산권(IP)을 만들고 확장하는 전문가로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다양한 수익화 모델을 만든다”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아이유와 같은 K-팝 아티스트들도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에서 활동하면서 ‘디지털 하이브리드’ 커리어를 확장하고 있다. 또 디지털에서 태동한 버추얼 크리에이터도 음원 발매를 넘어 오프라인 방송에 등장하고 있다. 이 대표는 “메타버스로의 확장이 본격화되면서 버추얼 크리에이터 활동 무대는 더 넓어질 것”이라며 “카카오엔터는 카카오 공동체와 함께 ‘버추얼 크리에이터 대중화’에 진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슈퍼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핵심으로 ‘슈퍼 팬’을 제시했다. 그는 “출판, 영상, 뮤직, 게임 분야 디지털 전환이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이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투자도 활발하다”며 “팬들 역시 창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무는 2차 창작과 커뮤니티 활동으로 크리에이터 시대를 가속해 왔다”고 진단했다. 이어 “전문 크리에이터 역시 더 큰 팬덤을 육성하기 위해 플랫폼을 넘나들며 팬을 모으고 개인 브랜드와 IP를 키우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에는 공통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추천하는 콘텐츠를 함께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 대표는 “슈퍼 팬들은 유사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놀거리를 끝없이 발굴하며 커뮤니티 리더 역할로 성장한다”면서 “관심사 커뮤니티인 슈퍼 크리에이터 네트워크의 핵심에 있는 슈퍼 팬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카카오엔터 등 카카오 공동체 역시 슈퍼 팬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카카오는 사용자들이 직접 컨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크리에이터를 위한 경제생태계인 ‘B2C2C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카카오 유니버스 안에서는 크리에이터가 슈퍼팬과 더 쉽게 만나고, 크리에이터-콘텐츠-슈퍼팬이 선순환되는 구조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BM)을 통해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임수빈 기자
2022-06-22 11:07:39카카오 공동체가 관심사 중심의 소통, 창작자와 이용자 간 생태계 구축을 핵심으로 하는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생태계 구축 구상을 제시했다. 글로벌 빅테크 메타의 '호라이즌'처럼 카카오 내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 관심사와 연결시켜 카카오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다. 7일 카카오 남궁훈 대표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카카오의 궁극적 메타버스 생태계 '카카오 유니버스' 방향을 공개했다. 남궁 대표가 제시한 카카오 유니버스는 △관심사 중심의 소통을 연결하는 '오픈링크' △카카오톡 내 비목적성 소통 확장 △창작자와 이용자간(B2C2C) 생태계 구축 등이 특징이다. ■카카오만의 가상영역 설계 카카오 공동체는 카카오 유니버스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넘어 가상현실 세계를 제시했다. 카카오브레인은 'KoGPT'와 '칼로(Karlo)' 등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들을 바탕으로 두가지 기능을 마련 중이다. '상호작용형 AI'와 '대화형 AI'다. 상호작용형 AI는 얼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페이스 리타기팅'과 다른 자아 구현을 위한 '뉴럴 렌더링'을 통해 개개인이 자신만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것을 지원한다. 자신의 사진 한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3D 캐릭터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오픈채팅 또는 영상통화에서 타인과 소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화형 AI는 가상인물과 콘텐츠를 기반으로 타인과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인기 웹툰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인공의 성격과 가치관, 말투, 뉘앙스를 지닌 AI 캐릭터를 생성해 사용자가 이 같은 AI와 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다. 넵튠도 이 같은 시스템이 적용된 메타버스 생태계를 먼저 선보여 카카오 공동체가 나아갈 메타버스 생태계 청사진을 선보인다. ■'오픈링크'가 메타버스 기반 카카오는 카카오 유니버스의 첫 단추로 '오픈링크'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누구나 함께 참여해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방식이다. 오픈링크는 취미, 장소, 인물 등 공통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모여 소통하고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연결성'을 강조한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기반으로 제공될 예정이며, 지도·블로그 등 외부 애플리케이션(앱) 등과 연동을 통해 확정성을 키워나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카카오 공동체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에도 오픈링크와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 해당 서비스 사용자들이 공통 관심사와 관련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오픈링크 생태계 내에서 사용자들이 목적 외 즐길거리를 함께 찾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추가해 카카오 유니버스를 유연하게 운영할 계획이다. 하반기 내에는 프로필 개편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만의 캐릭터를 생성하고 나만의 펫을 키울 수 있는 기능을 신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일방적이었던 상태 메시지에 지인이 방문해 이모티콘·응원메시지·선물 등을 통해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B2C2C 개념 제시 콘텐츠 제작·전파를 넘어 이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수익모델을 지원하는 'B2C2C' 개념도 제시했다. 오픈채팅방 방장이 구독모델을 적용해 정보 제공에 대한 수익을 창출, 브런치에 글을 쓰는 창작자도 콘텐츠로 수익을 얻는 구조다. 1인 미디어, 미디어 스타트업 등 전문 콘텐츠 생산자를 위한 올인원 콘텐츠 플랫폼(CMS)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편리하게 생산, 광고·유료·후원·커머스 등 비즈니스 도구를 활용해 수익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B2C2C 생태계를 기반으로 좋은 콘텐츠 제공, 흥미로운 콘텐츠 소비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이어질 것으로 카카오는 기대하고 있다. 향후 카카오는 번역시스템 고도화, 글로벌 서비스 지원을 통해 전 세계 서비스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남궁 대표는 "카카오는 하나의 서비스나 플랫폼이 아니라 관심사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서로 연결되고, 의미있는 관계를 만들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면서 "카카오 유니버스가 활성화되어 전 세계인을 관심사 기반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면 장기적으로 '비욘드 코리아'라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임수빈 기자
2022-06-07 18:16:31[파이낸셜뉴스] 카카오 공동체가 관심사 중심의 소통과 창작자와 이용자간 생태계 구축을 핵심으로 하는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생태계 구상을 제시했다. 글로벌 빅테크 메타의 '호라이즌'처럼 카카오 내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 관심사와 연결시켜 카카오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다. 7일 카카오 남궁훈 대표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카카오의 궁극적 메타버스 생태계 '카카오 유니버스' 방향을 공개했다. 남궁 대표가 제시한 카카오 유니버스는 △관심사 중심의 소통을 연결하는 '오픈링크' △카카오톡 내 비목적성 소통 확장 △창작자와 이용자 간(B2C2C) 생태계 구축 등이 특징이다. ■'美 빅테크처럼'…카카오만의 가상영역 설계 카카오 공동체는 카카오 유니버스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넘어 가상현실 세계를 제시했다. 카카오브레인은 'KoGPT'와 '칼로(Karlo)' 등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들을 바탕으로 두가지 기능을 마련 중이다. '상호작용형 AI'와 '대화형 AI'다. 상호작용형 AI는 얼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페이스 리타겟팅'과 다른 자아 구현을 위한 '뉴럴 렌더링'을 통해 개개인이 자신만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것을 지원한다. 자신의 사진 한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3D 캐릭터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오픈채팅 또는 영상 통화에서 타인과 소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화형 AI는 가상 인물과 콘텐츠를 기반으로 타인과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인기 웹툰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인공의 성격과 가치관, 말투, 뉘앙스를 지닌 AI 캐릭터를 생성, 사용자가 이 같은 AI와 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다. 넵튠도 이 같은 시스템이 적용된 메타버스 생태계를 먼저 선보여 카카오 공동체가 나아갈 메타버스 생태계 청사진을 선보인다. ■'오픈채팅' 닮은 '오픈링크'가 메타버스 기반 카카오는 카카오 유니버스의 첫 단추로 '오픈링크'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누구나 함께 참여해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방식이다. 오픈링크는 취미, 장소, 인물 등 공통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모여 소통하고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연결성'을 강조한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기반으로 제공될 예정이며, 지도·블로그 등 외부 애플리케이션(앱) 등과 연동을 통해 확정성을 키워 나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카카오 공동체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에도 오픈링크와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 해당 서비스 사용자들이 공통 관심사와 관련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오픈 링크 생태계 내에서 사용자들이 목적 외 즐길거리를 함께 찾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추가해 카카오 유니버스를 유연하게 운영할 계획이다. 하반기 내에는 프로필 개편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만의 캐릭터를 생성하고 나만의 펫을 키울 수 있는 기능을 신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일방적이었던 상태 메시지에 지인이 방문해 이모티콘·응원메시지·선물 등을 통해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B2C2C 개념 제시 콘텐츠 제작·전파를 넘어 이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수익 모델을 지원하는 'B2C2C' 개념도 제시했다. 오픈채팅방 방장이 구독모델을 적용해 정보 제공에 대한 수익을 창출, 브런치에 글을 쓰는 창작자도 콘텐츠로 수익을 얻는 구조다. 1인 미디어, 미디어 스타트업 등 전문 콘텐츠 생산자를 위한 올인원(all-in-one) 콘텐츠 플랫폼(CMS)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편리하게 생산, 광고·유료·후원·커머스 등 비즈니스 도구를 활용해 수익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B2C2C 생태계를 기반으로 좋은 콘텐츠 제공, 흥미로운 콘텐츠 소비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이어질 것으로 카카오는 기대하고 있다. 향후 카카오는 번역 시스템 고도화, 글로벌 서비스 지원을 통해 전 세계 서비스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카카오 남궁훈 대표는 "카카오는 하나의 서비스나 플랫폼이 아니라 관심사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서로 연결되고, 의미있는 관계를 만들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면서 "카카오 유니버스가 활성화되어 전 세계인을 관심사 기반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면 장기적으로 '비욘드 코리아'라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임수빈 기자
2022-06-07 15: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