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올해 50% 이상의 북미 내 시장점유율 달성이 예상된다고 4일 밝혔다. 오는 2026년 북미 지역에서의 전해액 총 생산량이 약 90만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엔켐은 압도적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약 65만톤 규모의 현지 시장에 공급할 방침이다. 엔켐은 올해 테슬라와 파나소닉에 전해액 납품을 본격화하면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북미 내 모든 대형 배터리 제조사에 제품 공급을 진행 중인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엔켐의 기술력과 제품 품질이 세계 최상위 수준일 뿐만 아니라 중국계 기업 제외 현지 단일 최대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엔켐은 제품 공급 확대에 기반한 시장점유를 극대화하기 위해 조지아 제1공장을 중심으로 10만톤 이상의 증설을 진행 중이다. 또한 테네시, 켄터키, 텍사스, 캐나다 온타리오 지역에도 추가 시설 확보에 나서고 있고, 이를 위해 최근 현지 프로그램을 통한 추가 자금 확보를 추진 중이다. 여기에 엔켐은 북미 시장 성과에 이어 유럽과 북미에 진출하려는 중국의 초대형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도 준비하고 있다. 내년 말까지 글로벌 상위 15개 기업에 제품 납품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폴란드, 헝가리, 프랑스 등 세계 각국 배터리 핵심 거점에 자체 생산시설 확충을 진행 중이다. 최근 엔켐은 리튬염, 첨가제, 용매 등의 전해액 원료 사업과 폐 NMP 리사이클 사업, 탄소나노튜브(CNT) 분산액 사업, 절연 코팅액 사업 등을 새롭게 전개하면서 매출 파이프라인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전해액 기업을 넘어 업스트림과 미드스트림을 아우르는 종합 케미컬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게 회사 측 계획이다. CNT 분산액 사업은 폐 NMP 리사이클 사업과 사업적 연관성이 높아 추가 매출 확보 및 이익률 극대화 등의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 이 밖에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리튬염 공장을 새만금에서 건설하고 있으며, 내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미국 조지아에 액상 리튬염 공장 건설도 준비 중이다. 회사 고위 관계자는 “현재 글로벌 전해액 시장은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시작되고 있다”며 “엔켐은 다른 경쟁사들과 달리 한 차원 높은 레벨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이 같은 결과가 최근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5위 기업 진입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편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엔켐은 1등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현 상황에서 현재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더욱더 속도감 있게 펼쳐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07-04 08:44:26[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NMP 리사이클링 사업 확대 및 탄소나노튜브(CNT) 도전재 분산액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26일 알렸다. 배터리 핵심 소재 및 사업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하는 차원이다. 북미에 단일 최대 규모 전해액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엔켐은 공격적 시장점유율 확대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전해액과 함께 ‘현지생산-현지공급’ 중심 신규 소재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성장 모멘텀을 극대화한단 방침이다. NMP는 양극용 극판 제조를 위한 ‘양극재(양극활물질) 슬러리’의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유일한 유기용매 소재다. 양극 활물질, 도전재, 결착재(바인더)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 시 사용되며 양극재 슬러리를 극판(알루미늄박 등) 위에 코팅·건조하는 과정에서 배기되는 폐-NMP(C-NMP)를 포집하고 정제하여 신액형태(R-NMP)로 공급하는 소재로 활용된다. 유럽에서 이차전지 환경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어 NMP 리사이클링 수요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배터리 셀 제조 기업들은 자체 NMP 회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다만 다양한 공정에 사용되는 만큼 높은 수요를 보이지만 가격이 비싸고 유해물질이기 때문에 취급이 어렵다는 게 특징이다. 이미 엔켐은 미국 조지아 공장에 전해액 생산시설과 함께 자체 시설을 구축하고 NMP 리사이클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약 2만t 규모의 생산능력(CAPA)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추가 증설 및 신설을 통해 이를 보다 늘리기로 결정했다. 엔켐 관계자는 “글로벌 NMP 시장은 소수 업체들이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제품 단가를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형성해 놓은 상황”이라며 “글로벌 셀메이커를 중심으로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 NMP 리사이클링 소재에 대한 수요가 커진 만큼 이미 구축해 놓은 시설과 선제적 사업을 진행하면서 확보한 각종 노하우와 고객사 레퍼런스 덕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회사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는 북미 시장에서 총 약 14만t 규모의 NMP 리사이클링 생산능력을 확보해 독보적 지위를 더욱 끌어올릴 예정”이라며 “유럽 지역에서도 약 10만t 규모 생산능력을 구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엔켐은 NMP 사업을 바탕으로 CNT 도전재 분산액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CNT는 도전재 분산액에 사용되는 소재로 카본블랙 등 기존 소재 대비 전기적·열적·기계적 특성이 우수해 새로운 대체재로 꼽힌다. 카본블랙의 20% 함량만으로 동일한 성능을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CNT는 소재 특성상 응집력이 매우 강해 전기 전도성을 높이려면 고밀도 활물질 사이에 CNT를 균질하게 분산될 수 있게 물리적, 화학적 기술을 이용해 도전재 분산액 형태로 제조된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용매가 NMP다. 엔켐은 리사이클링 사업을 통해 확보한 NMP로 CNT 도전재 분산액을 자체 기술로 생산함으로써 뛰어난 가격경쟁력 기반 관련 시장을 공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06-26 08:49:46LG화학이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공장을 본격 가동하면서 차세대 소재 시장 공략 등 사업구조 고도화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 석유화학 기초소재 부문에서 기존의 범용제품뿐만 아니라 차세대 소재 개발에 적극 투자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껏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LG화학은 올해 기초소재 부문에 약 8000억원 등 지난해보다 40%가량 늘어난 총 2조76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단일 최대 탄소나노튜브 공장LG화학은 1월 31일 약 250억원을 투자해 전남 여수공장에 연간 400t 규모 탄소나노튜브 전용 공장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제품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탄소나노튜브 단일 라인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글로벌 화학업체들은 탄소나노튜브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에스유에스엔 씨노텍(SUSN Sinotech)이 600t, 미국 씨-나노(C-Nano)가 500t, 일본 쇼와덴코(Showa Denko)가 500t의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번 공장 준공으로 LG화학은 세계 4번째 양산 규모를 갖추면서 기존 선도업체인 벨기에 나노씰(Nanocyl)과 프랑스 아르케마(Arkema)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LG화학은 올해 전지용 소재 등 공급 물량을 시작으로, 판매 규모를 점차 늘려 내년 말까지 공장을 풀가동할 방침이다. 탄소나노튜브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됨에 따라 오는 2019년 추가 증설도 검토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업계에선 전 세계 탄소나노튜브 시장이 올해 824t에서 2020년 1335t 규모로 연평균 10% 이상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탄소나노튜브는 전기 전도율(구리와 동일), 열 전도율(다이아몬드와 동일) 및 강도(철강의 100배) 등에서 기존의 소재를 훨씬 뛰어넘는 특성을 갖고 있다. 2차전지부터 항공기 동체 소재까지 활용 영역이 방대해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최근엔 IT산업 및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리튬이온전지의 양극 도전재 등으로 탄소나노튜브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최근 기존의 분말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제품 개발 이후 사용이 편리한 압축형태의 제품도 출시했고, 액체상태의 분산액 형태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사업구조 고도화 박차 LG화학은 탄소나노튜브 공장 본격 가동 등 기초소재 분야에서 추진 중인 고부가 제품으로의 사업구조 고도화 전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신소재 개발에 집중 투자하면서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를 위해 LG화학은 탄소나노튜브 관련 분야에서도 투자와 함께 단계적 성과를 거뒀다. △2011년 독자 기술 개발을 위한 R&D 돌입 △2013년 20t 규모 파일럿 양산 라인 구축 △2014년 컴파운드 및 전지용 제품 개발 △2016년 자동차용 전도성 플라스틱, 경량 고강성 플라스틱 및 CNT-알루미늄 복합체 용도 개발 등 국내외 포함 약 25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아울러 자체 개발한 세계 최대 규모 유동층 반응기를 통해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쟁사 대비 각각 10% 이상 우수한 순도와 전도성 및 강도를 보유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LG화학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북미, 유럽, 중국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는 전략이다. 손옥동 기초소재사업본부장은 "향후 탄소나노튜브를 비롯해 유망 신소재 발굴을 위한 R&D에 적극 투자해 차세대 소재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
2017-01-31 19:06:01LG화학이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공장을 본격 가동하면서 차세대 소재 시장 공략 등 사업구조 고도화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 석유화학 기초소재 부문에서 기존의 범용제품뿐만 아니라 차세대 소재 개발에 적극 투자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껏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LG화학은 올해 기초소재 부문에 약 8000억원 등 지난해보다 40%가량 늘어난 총 2조76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단일 최대 규모 탄소나노튜브 공장 LG화학은 1월 31일 약 250억원을 투자해 전남 여수공장에 연간 400t 규모 탄소나노튜브 전용 공장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제품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탄소나노튜브 단일 라인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글로벌 화학업체들은 탄소나노튜브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에스유에스엔 씨노텍(SUSN Sinotech)이 600t, 미국 씨-나노(C-Nano)가 500t, 일본 쇼와덴코(Showa Denko)가 500t의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번 공장 준공으로 LG화학은 세계 4번째 양산 규모를 갖추면서 기존 선도업체인 벨기에 나노씰(Nanocyl)과 프랑스 아르케마(Arkema)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LG화학은 올해 전지용 소재 등 공급 물량을 시작으로, 판매 규모를 점차 늘려 내년 말까지 공장을 풀가동할 방침이다. 탄소나노튜브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됨에 따라 오는 2019년 추가 증설도 검토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업계에선 전 세계 탄소나노튜브 시장이 올해 824t에서 2020년 1335t 규모로 연평균 10% 이상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전기 전도율(구리와 동일), 열 전도율(다이아몬드와 동일) 및 강도(철강의 100배) 등에서 기존의 소재를 훨씬 뛰어넘는 특성을 갖고 있다. 2차전지부터 항공기 동체 소재까지 활용 영역이 방대해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최근엔 IT산업 및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리튬이온전지의 양극 도전재 등으로 탄소나노튜브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최근 기존의 분말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제품 개발 이후 사용이 편리한 압축형태의 제품도 출시했고, 액체상태의 분산액 형태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사업구조 고도화 박차 LG화학은 탄소나노튜브 공장 본격 가동 등 기초소재 분야에서 추진 중인 고부가 제품으로의 사업구조 고도화 전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신소재 개발에 집중 투자하면서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것. 이를 위해 LG화학은 탄소나노튜브 관련 분야에서도 투자와 함께 단계적 성과를 거뒀다. △2011년 독자 기술 개발을 위한 R&D 돌입 △2013년 20톤 규모 파일럿 양산 라인 구축 △2014년 컴파운드 및 전지용 제품 개발 △2016년 자동차용 전도성 플라스틱, 경량 고강성 플라스틱 및 CNT-알루미늄 복합체 용도 개발 등 국내외 포함 약 25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자체 개발한 세계 최대 규모 유동층 반응기를 통해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쟁사 대비 각각 10% 이상 우수한 순도와 전도성 및 강도를 보유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LG화학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북미, 유럽, 중국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는 전략이다. 손옥동 기초소재사업본부장은 "향후 탄소나노튜브를 비롯해 유망 신소재 발굴을 위한 R&D에 적극 투자해 차세대 소재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
2017-01-31 09:3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