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SM엔터테인먼트의 클래식·재즈 음악 전문 레이블 'SM Classics(SM 클래식스)'와 오는 14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15일 롯데콘서트홀에서 'SM 클래식스 라이브 2025 with 서울시립교향악단'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SM엔터테인먼트의 창사 30주년과 서울시향의 재단법인 설립 20주년 및 창단 80주년을 기념하는 전 세계 최초의 K팝 오케스트라 라이브 콘서트다. 그동안 서울시향과 SM 클래식스가 협업해 녹음한 K팝 오케스트라 버전과 지난 30년간 대중에게 꾸준히 사랑받아온 SM 대표곡들을 서울시향의 수준 높은 연주로 들려준다. 지휘는 최근 다양한 무대에서 주목받고 있는 MZ세대 지휘자 김유원이 맡는다. 앞서 서울시향과 SM 클래식스는 국내 최초로 교향악단과 엔터테인먼트 기업 간 업무협약을 맺고 2020년 레드벨벳의 '빨간 맛 (Red Flavor)'과 샤이니 종현의 '하루의 끝 (End of a day)'을 선보였다. 이후 2022년에는 레드벨벳의 'Feel My Rhythm(필 마이 리듬)'과 에스파의 데뷔곡 'Black Mamba(블랙 맘바)', 2023년에는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와 엑소의 '으르렁(Growl)', 2024년에는 레드벨벳의 'Psycho(사이코)'와 라이즈의 'Boom Boom Bass(붐 붐 베이스)' 오케스트라 버전과 뮤직비디오를 공개하며 전 세계 K팝과 클래식 팬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공연을 위해 연기,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그룹 샤이니의 민호가 양일간 오프닝 내레이터로 나선다. 14일에는 서울시향의 오케스트라 연주와 미디어아트를 결합한 무대 연출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예정이며, 15일에는 걸그룹 레드벨벳의 메인보컬 웬디가 서울시향과 협연한다. 서울시향 관계자는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아티스트 협업을 통해 누구에게나 친숙하면서도 수준 높은 음악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5-02-05 07:51:17[파이낸셜뉴스] 서울시립교향악단과 SM엔터테인먼트가 걸그룹 에스파의 데뷔곡 '블랙 맘바'의 오케스트라 버전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오는 30일 오후 6시 공개한다. 서울시향과 SM엔터 클래식 레이블 SM 클래식스는 2020년 7월 레드벨벳의 '빨간 맛'과 '하루의 끝'의 오케스트라 버전을 선보이며 케이팝과 클래식 팬에게 신선한 충격을 줬다. 올해 7월에 발매한 '필 마이 리듬' 오케스트라 버전을 통해 뜨거운 호응을 얻기도 했다. 이번에 가장 '핫한' 걸그룹 중 하나인 에스파의 '블랙 맘바' 클래식 버전도 출시하는 계기가 됐다. 블랙 맘바 오케스트라 버전은 기존 클래식 오케스트라 음악과 다르게 SM의 분위기에 걸맞은 현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오케스트라 사운드로 원곡을 제해석했다. 이번 오케스트라 버전은 앞서 공개된 SM 컬처 유니버스 세계관 2번째 에피소드인 '넥스트 레벨' 오프닝에 삽입됐던 '블랙 맘바'의 오케스트라 연주 풀버전으로 K-팝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을 전망이다. 한편 서울시향은 향후 SM 클래식스 와 클래식-케이팝 장르 간 지속적인 협업을 통한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고 양사 연주자 및 아티스트 교류, 공동 콘서트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음원과 뮤직비디오는 오는 30일 오후 6시, 멜론, 지니, 아이튠즈, 애플뮤직, 스포티파이 등 각종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와 유튜브 SMTOWN 채널을 통해 공개한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2022-09-28 08:59:43[파이낸셜뉴스]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가 서울시립교향악단(이하 서울시향)과 장르간 협업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SM과 서울시향은 2월 10일 오후 5시 SM 성수 신사옥에서 ‘장르간 협업을 통한 문화 콘텐츠의 확장 및 발전’에 대한 MOU를 체결했으며, 이날 협약식에는 이성수·탁영준 SM 공동대표, 손은경 서울시향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앞서 2002년에도 협력한 바 있는 양사는 이번엔 상호 협력의 범위를 한층 확장시켜 지속적으로 장르를 뛰어넘은 차별화된 K콘텐츠를 제시해, 전 세계 음악 팬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더불어 양사는 지난 MOU의 일환으로 발표한 ‘빨간 맛’, ‘하루의 끝’ 오케스트라 버전 등 컬래버레이션 음원처럼, 올해에도 SM 히트곡을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새롭게 편곡 및 연주해 선보이며, 추후 콘서트도 공동 주최할 예정이다. 한편, SM은 2020년 클래식 레이블 ‘SM Classics’(SM 클래식스)을 설립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2-02-11 14:03:38[파이낸셜뉴스] "K팝, K컬처의 진원지인 한국, 서울이 전 세계 문화의 메카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목표.”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이성수 대표가 콘텐츠 스타트업 콘퍼런스 ‘2021 스타트업콘’ (STARTUP:CON)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 이성수 대표는 7일 온라인으로 중계된 ‘2021 스타트업콘’에 참석해 ‘SM 콘텐츠 로드맵 - SMCU를 통해 바라보는 미래 콘텐츠 시대’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펼쳤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2021 스타트업콘’은 콘텐츠 창업 생태계에 빅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투자 활성화 및 네트워크를 통한 글로벌 교류·진출 활성화를 위해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 콘퍼런스다 이날 이성수 대표는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미래 세상을 로봇과 셀러브리티의 세상, 나아가 아바타의 세상이 될 것이라 예견하고, 이미 십수 년 전부터 미래 콘텐츠 시대를 준비해 왔다”고 운을 뗐다. “작년 아바타가 함께 하는 ‘메타버스 걸그룹’ 에스파가 데뷔했고, 에스파가 펼치는 스토리텔링을 시작으로 SM이 꿈꾸는 초거대 버추얼 세상의 실체를 세상에 선보이게 됐다. 그것이 바로 SM이 바라보는 메타버스, SM의 컬처 유니버스 즉, SMCU이다”라고 설명했다. SMCU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없이 전 세계가 문화로 연결된 미래 엔터테인먼트 세상이자, SM이 지향하는 메타버스향 미래 콘텐츠다. 이는 "음악의 장르를 넘어 콘텐츠의 장르가 된 K팝을 가장 K팝 답게 만들어주는 가장 주효한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는 게 이대표의 설명이다. 이대표는 K팝을 기존의 음악 장르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문화적 IP로 봤다. "SMCU 안에서 아티스트, 음악, 뮤직비디오, 공연 등 다양한 형태의 독자적인 IP가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는 메타버스향 콘텐츠 IP를 만들어가는 데 집중함으로써 콘텐츠의 또 다른 세계, 넥스트 레벨을 이뤄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IP 확장의 예로 그는 SM의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를 꼽았다. "SM 오리지널 뮤직비디오들을 더욱 선명한 화질로 업스케일링하고, 기존의 마스터 음원을 다시금 2021년의 사운드로 리마스터링(Re-mastering) 하는 작업을 거쳐 새롭게 선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백편의 리마스터링 뮤직비디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선후배가 함께 하는 특별한 오리지널 콘텐츠도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러한 SM의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는 과거의 영상을 단순히 화질을 업그레이드해 현재의 IP로 선보이는 개념을 넘어서, 이를 2021년 버전으로 재해석해 선보이는 프로젝트로서, 과거의 IP를 진화시켜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콘텐츠로 전 세대의 교감을 이끌어내는, 즉 IP의 진정한 확장을 이뤄내는 프로젝트로 이해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소개했다. 또 "클래식 레이블 ‘SM 클래식스’는 K팝과 클래식, 재즈, 월드 뮤직이 접목된 K팝을 더 넒은 음악의 장르로 확장하여 소개하고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레이블"이라며 " 앞으로 다양한 레퍼토리를 쌓아 전 세계에 K팝스 오케스트라(K-POP’s Orchestra) 공연까지 선보이며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SMCU의 주요 키워드인 ‘광야 (KWANGYA)’에 대한 설명도 이어갔다. 그는 "광야는 현실과 가상 세계를 아우르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K팝 팬들은 새롭게 이전한 SM 성수동 신사옥과 서울숲 일대를 일컬어 ‘광야’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가상 세계에서 무한의 영역인 ‘광야’가, 공간의 개념으로 넘어와 성수동 신사옥으로 지칭되며 SMCU의 랜드마크가 되고, 나아가 K팝, K컬처의 진원지인 한국, 서울이 전 세계 문화의 메카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SM은 아티스트, 음악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IP를 SMCU라는 거대 세계관 안에서 트랜스 미디어 전략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릴리즈로 확장하고, 비즈니스적으로는 원소스멀티유즈(OSMU) 전략을 통해 인접 사업영역으로 확대하며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고자 하며, 이렇게 창출된 부가가치는, 다시금 현실과 가상, 시공간, 세대, 장르의 경계가 없는,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선순환을 계속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팬들과의 소통 창구가 되는 ‘채널’의 역할도 강조했다. “SM은 앞으로도 팬들과의 인게이지먼트를 높일 수 있는 채널을 만드는 작업을 계속하며, 이러한 채널을 통해 SM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즐기고 리크리에이티브 콘텐츠로 재생산하는 프로슈머들을 지원하는 ‘핑크 블러드 프로젝트’도 이어가겠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이성수 대표는 컬처 테크놀로지를 언급했다. 그는 “2005년에 A&R로 입사했을 때, 이수만 프로듀서의 특별 프로젝트인 ‘3D 영상을 활용한 뮤직비디오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R&D 업무를 하는 TFT의 일원으로 동시에 일했던 경험이 있다"며 "그 당시에는 굉장히 앞서 나간 일이었지만, 2008년도에 제임스 카메룬 감독의 ‘아바타’라는 영화로 전 세계가 3D 콘텐츠에 열광했을 때, SM은 이미 이와 관련한 R&D가 끝나있었기에, 바로 삼성전자 그리고 제임스 카메룬 감독과 컨소시엄을 맺고 소녀시대의 3D 뮤직비디오를 선보일 수 있었다"고 돌이켰다.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가 가장 강조하는 SM의 중요한 키워드는 ‘더 퓨처 오브 컬처 테크놀로지’이고, SM이 미래를 준비하는 방식이다.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음악을 기반으로 한 문화 콘텐츠 기업이었지만, IT와 AI 같은 그 당대의 기술 혹은 시대를 앞서는 기술을 우리 콘텐츠에 접목시키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이러한 시도를 20년 이상 지속적으로 해온 것이 SM이다. 콘텐츠 기업으로서 다양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 기업들과 협력해 나가고 싶고, 응원한다”며 연설을 마무리했다. 한편, ‘2021 스타트업콘’은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 콘퍼런스다. 올해는 넷플릭스 창립자 마크 랜돌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바라트 아난드 교수, 500 Global 대표 크리스틴 차이 등이 기조연설을 펼친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1-10-07 14:46:54□연극·뮤지컬 공연명/일시/장소/내용 ◆스프링 어웨이크닝/7.4∼12.31/두산아트센터 연강홀/독일 작가 베데킨트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조정석 김무열 김유영 등이 출연한다. 4만∼8만원. (02)744-4011 ◆펌프 보이즈/7.7∼9.13/예술마당 2관/2007년 첫선을 보인 콘서트 뮤지컬로 배우들이 록앤롤, 스윙, 아카펠라, 블루스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직접 연주하고 노래한다. 5만원. (02)3485-8700 ◆돈 주앙/7.9∼8.23/충무아트홀 대극장/올해 초 경기 성남아트센터에서 공연됐던 작품의 앙코르 무대로 강태을 김다현 등이 바람둥이 돈 주앙으로 출연한다. 5만∼12만원. 1544-1555 ◆파라오는 살아있다/7.18∼8.30/극장 용/세계적인 소설가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무대화한 작품으로 이집트 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2만∼5만원. 1544-5955 ◆젊음의 행진/7.18∼10.25/코엑스 아티움/인기만화 ‘영심이’를 토대로 만든 주크박스 뮤지컬로 김건모 신승훈 현진영 등의 노래가 뮤지컬 넘버로 불려진다. 3만5000∼7만원. (02)738-8289 ◆브로드웨이 42번가/7.21∼8.30/LG아트센터/화려한 무대 의상과 탭 댄스가 인상적인 브로드웨이 히트 뮤지컬로 박상원 박해미 옥주현 등이 캐스팅됐다. 3만∼12만원. (02)501-7888 ◆버자이너 모놀로그/7.30∼9.6/SM스타홀/미국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이브 엔슬러가 여성의 성기에 얽힌 경험과 고백을 듣고 이를 토대로 쓴 연극. 연출 이지나. 1만5000∼3만5000원. (02)747-2070 ◆노트르담 드 파리/8.4∼27/국립극장 해오름극장/국내에 프랑스 뮤지컬 붐을 일으킨 작품의 한국어 공연으로 윤형렬 문혜원 서범석 김수용 등이 출연한다. 4만∼12만원. 1544-1555 ◆일 삐노끼오/8.7∼23/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카를로 콜로디의 원작 동화를 바탕으로 한 이탈리아 뮤지컬로 이탈리아 배우들이 직접 내한해 원어로 공연한다. 4만∼13만원. (02)3461-0976 ◆샤우팅/8.12∼23/한전아트센터/인기 아이돌 그룹 ‘빅뱅’의 승리와 대성이 출연하는 창작뮤지컬로 이들이 낸 에세이집 ‘세상에 너를 소리쳐’를 바탕으로 했다. 6만6000∼8만8000원. (02)501-7888 ◆스페셜 레터/8.15∼12.31/SM아트홀/제3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창작뮤지컬상 수상작의 첫 서울 공연으로 하지승 곽병진 최주리 문진아 김남호 등이 출연한다. 2만5000∼4만원. (02)501-7888 ◆지킬 앤 하이드/8.28∼9.20/세종문화회관 대극장/지난 2004년 첫 공연돼 큰 인기를 얻었던 작품의 오리지널 무대로 ‘오페라의 유령’의 브래드 리틀이 주연을 맡았다. 2만2000∼14만원. 1588-5212 □클래식 공연명/일시/장소/내용 ◆서머 클래식스/8.21/세종체임버홀/바이올리니스트 이성주가 이끄는 현악 앙상블 ‘조이 오브 스트링스’의 청소년 음악회로 피아졸라의 ‘리베르 탱고’ 등이 연주된다. 1만∼2만원. (02)780-5054 ◆박종훈의 러브레터/8.25/예술의전당 콘서트홀/피아니스트 박종훈과 친구들이 함께 하는 무대로 계희정(클라리넷), 김상진(비올라), 양고운(바이올린) 등이 출연한다. 2만∼3만원. 1577-5266 ◆7인의 음악인들/8.26/예술의전당 콘서트홀/정명훈 김선욱 양성원 송영훈 이유라 등 7명의 클래식 스타가 꾸미는 실내악 무대로 슈만의 ‘피아노 5중주’ 등을 연주한다. 4만4000∼11만원. (02)518-7343 ◆뮤직 프롬 프랑스/8.27/금호아트홀/금호아트홀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가 라벨의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소나타’, 생상의 ‘판타지 작품 95’ 등 프랑스 음악을 들려준다. 3만원. (02)6303-7700 ◆앙상블 디토 콘서트/8.30/충무아트홀 대극장/‘충무아트홀 서머 클래식 페스티벌’ 마지막 무대로 앙상블 디토가 모차르트의 ‘현악 3중주를 위한 디베르티멘토’ 등을 연주한다. 3만∼7만원. (02)2230-6601 ◆고양합창페스티벌/9.2∼12/고양아람누리/국내 전문 합창단을 위한 축제로 고양시립합창단, 성남시립합창단, 대전시립합창단, 부천필코러스 등 전국 8곳의 시립합창단이 참가한다. 1만원. 1577-7766 □무용·국악 공연명/일시/장소/내용 ◆볼쇼이 아이스 쇼/8.15∼9.6/목동아이스링크/러시아 출신의 세계 정상급 피겨 스타 40여명이 내한해 ‘백조의 호수’ ‘눈의 여왕’ ‘카르멘’ 등을 선보인다. 3만4000∼7만7000원. (02)6678-1122 ◆she, 지젤/8.28∼30/대학로예술극장/서울발레시어터(SBT)가 고전발레 ‘지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던발레 작품으로 원작의 스토리를 상당부분 바꿨다. 안무 제임스 전. 2만∼7만원. (02)3442-2637 ◆유쾌한 가야금 이야기/8.29/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4명의 여성 가야금 연주자로 구성된 ‘여울’이 국악, 재즈, 록, 클래식 등 다양한 음악을 가야금 선율로 들려준다. 2만2000원. (02)720-3933 □대중음악 공연명/일시/장소/내용 ◆달에서 온 편지/8.1∼30/르메이에르 소극장/가수 조규찬의 소극장 콘서트 두번째 무대로 그의 단편집 ‘달에서 온 편지’를 테마로 한 다양한 음악을 선보인다. 5만원. (02)745-1575 ◆클래지콰이 콘서트/8.21∼22/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대중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펑크 그룹 클래지콰이가 4집 프로젝트 앨범 발매를 기념한 무대를 꾸민다. 3만3000∼7만7000원. (031)783-8000 ◆엠팩 내한공연/8.24/예술의전당 콘서트홀/미국 출신의 남성 6인조 아카펠라 그룹 엠팩의 단독무대로 재즈, 소울, 펑키, R&B, 팝 등 다양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3만∼6만원. (02)599-5743
2009-08-20 16:5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