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거래소에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ETF는 타겟 데일리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인공지능(AI) 빅테크의 성장성을 따라가면서 높은 수준의 분배금을 추구하는 월배당 ETF다. 타겟 커버드콜 전략은 연간 목표 프리미엄을 타겟으로 옵션 매도 비중을 최소화해 기초자산의 상승 참여를 극대화하는 투자 전략이다. 해당 ETF처럼 옵션을 매일(데일리) 매도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다. 옵션 매도 비중을 약 10%로 낮추고, AI빅테크 시장 상승에 약 90% 참여한다. 월간 옵션 매도 방식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ETF’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성 측면에서도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ETF’에 비해 ‘AI’에 더욱 집중한다. 주가수익성장비율(PEG), 영업이익률(OPM), 평균매출성장률을 기반으로 수익성 높은 AI빅테크 종목만을 선별한다. 이를 통해 AI플랫폼, AI반도체, AI클라우드 3개 섹터의 대표 기업 10종목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편입 종목으로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이 있다. 기존 빅테크 ETF가 주로 편입하던 아마존, 테슬라, 어도비, 넷플릭스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매월 15일에는 분배금을 지급한다.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 등 매월 말일에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와 함께 투자할 경우 월 2회, 격주 배당 솔루션을 완성할 수 있다. 분배금 지급 주기가 격주로 분산되면 포트폴리오가 안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재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SK증권, 유진투자증권에서 해당 ETF의 일 거래 조건을 충족한 고객들에게는 추첨 등을 통해 문화상품권이 증정된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0-15 08:50:13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금리영향을 크게 받는 기술주와 트럼프 행정부 수혜가 예상되는 전력, 조선 업종의 명암이 크게 갈렸다. 오는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정책 변화가 예상되고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론이 부각되고 있는 영향이 커보인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17일 국내 ETF 시장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로 14.51% 올랐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종목과 일평균 거래량 10만주 이하 종목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 기준이다. 그 뒤로 수익률 14.26%를 기록한 'HANARO CAPEX설비투자iSelect'가 바짝 따라붙었다. 이 두 종목은 각각 'iSelect AI 전력핵심설비지수'와 'iSelect CAPEX 설비투자 지수'를 기초지수로 삼아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등 국내 주요 전력 관련주가 포트폴리오를 주로 구성하고 있다. 또 미국 전력 및 인프라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도 7.41% 올라 상승률 5위에 올랐다. 증권사 ETF 관련 한 연구원은 "그간 워낙 미국 지표가 잘 나오다 보니 금리 인하를 앞으로 못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시장 전반이 좋지 않았다"며 "그러다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망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시장이 반등했다. 하지만 트럼프 취임 일정으로 시장이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조선 등 종목이 트럼프 수혜를 받아 크게 올랐다"며 "전력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보다도 인공지능(AI) 관련 상품이다 보니 더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조선·원전 등 트럼프 정책 수혜가 전망되는 종목에 관심이 고조됐다. 원전 관련 'HANARO CAPEX설비투자 iSelect'가 8.53% 올라 상승률 3위였다. 뒤이어 조선·방산·항공우주·가상화폐 등 트럼프 수혜 분야에서 경쟁력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 'PLUS 한화그룹주'(7.67%, 4위)를 비롯해 조선 관련 종목 'SOL 조선 TOP3플러스'(6.01%, 8위), 'TIGER 200 중공업'(4.81%, 9위) 등이 상승률 상위권에 줄줄이 이름 올렸다. 등락률 상위 10개 종목 중 7개가 트럼프 2기 출범 기대감에 움직였던 셈이다. 반면 미국 AI 빅테크 성장성을 따라가는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등은 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주 하락률 3.45%를 기록했다. 그동안 나스닥 쏠림 현상으로 수익률이 크게 증가했지만 올해 들어 금리 및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주요 빅테크 기업 주가가 조정을 겪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메그니피센트7(M7)를 중심으로 하는 'ACE 미국빅테크7+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도 3.21% 하락해 하락률 상위 2위에 나란히 자리했다. 박현정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초 이후 금리에 민감한 대형 기술주 주가가 많이 빠졌다"며 "다만 AI 관련 올해 실적이 괜찮을 거라는 기대가 있어서 저가매수 형태로 자금 자체는 많이 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5-01-19 18:05:18#OBJECT0# #OBJECT1# [파이낸셜뉴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금리영향을 크게 받는 기술주와 트럼프 행정부 수혜가 예상되는 전력, 조선 업종의 명암이 크게 갈렸다. 오는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정책 변화가 예상되고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론이 부각되고 있는 영향이 커보인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17일 국내 ETF 시장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로 14.51% 올랐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종목과 일평균 거래량 10만주 이하 종목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한 기준이다. 그 뒤로 수익률 14.26%를 기록한 'HANARO CAPEX설비투자iSelect'가 바짝 따라붙었다. 이 두 종목은 각각 'iSelect AI 전력핵심설비지수'와 'iSelect CAPEX 설비투자 지수'를 기초지수로 삼아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등 국내 주요 전력 관련주가 포트폴리오를 주로 구성하고 있다. 또 미국 전력 및 인프라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도 7.41% 올라 상승률 5위에 올랐다. 증권사 ETF 관련 한 연구원은 "그간 워낙 미국 지표가 잘 나오다 보니 금리 인하를 앞으로 못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시장 전반이 좋지 않았다"며 "그러다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망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시장이 반등했다. 하지만 트럼프 취임 일정으로 시장이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조선 등 종목이 트럼프 수혜를 받아 크게 올랐다"며 "전력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보다도 인공지능(AI) 관련 상품이다 보니 더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조선·원전 등 트럼프 정책 수혜가 전망되는 종목에 관심이 고조됐다. 원전 관련 'HANARO CAPEX설비투자 iSelect'가 8.53% 올라 상승률 3위였다. 뒤이어 조선·방산·항공우주·가상화폐 등 트럼프 수혜 분야에서 경쟁력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 'PLUS 한화그룹주'(7.67%, 4위)를 비롯해 조선 관련 종목 'SOL 조선 TOP3플러스'(6.01%, 8위), 'TIGER 200 중공업'(4.81%, 9위) 등이 상승률 상위권에 줄줄이 이름 올렸다. 등락률 상위 10개 종목 중 7개가 트럼프 2기 출범 기대감에 움직였던 셈이다. 반면 미국 AI 빅테크 성장성을 따라가는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등은 약세가 두드러졌다. 지난주 하락률 3.45%를 기록했다. 그동안 나스닥 쏠림 현상으로 수익률이 크게 증가했지만 올해 들어 금리 및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주요 빅테크 기업 주가가 조정을 겪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메그니피센트7(M7)를 중심으로 하는 'ACE 미국빅테크7+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도 3.21% 하락해 하락률 상위 2위에 나란히 자리했다. 박현정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초 이후 금리에 민감한 대형 기술주 주가가 많이 빠졌다"며 "다만 AI 관련 올해 실적이 괜찮을 거라는 기대가 있어서 저가매수 형태로 자금 자체는 많이 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종료 등으로 헬스케어 관련 종목 성적이 저조했다. 유한양행,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대표 바이오주로 구성된 'KODEX 바이오'(-2.78, 하락률 3위)와 'RISE 바이오TOP10액티브'(-2.27%, 7위) 낙폭이 컸다. 또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2.21%, 8위)는 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 머크 등 글로벌 비만 관련 기업에, 'TIMEFOLIO 글로벌안티에이징바이오액티브'(-2.29%, 6위)는 국내외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에 고루 투자하는 종목으로 낮은 수익률을 보였다. 인도 니프티 지수 약세에 연동된 상품 수익률도 하락했다. 'KODEX 인도Nifty50'(-2.68%, 5위), 'TIGER 인도니프티50'(-2.63%, 6위), ACE 인도시장대표BIG5그룹액티브(-2.16%, 10위) 등이 크게 내렸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5-01-19 11:25:24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 시리즈' 2종의 개인 누적 순매수가 총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들 2종 ETF는 최근 '테슬라'를 새롭게 편입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8일 기준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의 상장(2024년 8월 27일)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는 592억원이다.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는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업 중 성장성과 수익성을 고루 갖춘 10종목을 선별해 투자한다. 글로벌 AI 산업을 선도하며, AI를 통해서 실제 수익을 창출해내는 빅테크 기업들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커버드콜 버전인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는 AI 빅테크의 성장성을 따라가면서 타겟 데일리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매월 15일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배당 ETF다. 빅테크의 성장성과 매월 높은 수준의 분배금을 얻을 수 있어 2024년 10월 15일 상장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많은 인기를 받고 있다. 상장 이후 8일 기준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795억원이다.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 시리즈' 2종은 지난 6일 정기 리밸런싱으로 테슬라를 편입했다. ETF 기초지수인 'KEDI미국AI빅테크10 지수'는 시가총액으로 기업을 선정하던 기존 빅테크 관련 지수와 달리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등 재무지표를 기반으로 수익성 높은 AI 빅테크 종목만을 선별한다. 테슬라는 지난해 3·4분기 순이익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장률과 이익률을 기록한 대표 AI 빅테크 기업으로 새롭게 포함됐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1-09 18:14:05[파이낸셜뉴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 시리즈' 2종의 개인 누적 순매수가 총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들 2종 ETF는 최근 ‘테슬라’를 새롭게 편입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8일 기준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의 상장(2024년 8월 27일)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는 592억원이다.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는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업 중 성장성과 수익성을 고루 갖춘 10종목을 선별해 투자한다. 글로벌 AI 산업을 선도하며, AI를 통해서 실제 수익을 창출해내는 빅테크 기업들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커버드콜 버전인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는 AI 빅테크의 성장성을 따라가면서 타겟 데일리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매월 15일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배당 ETF다. 빅테크의 성장성과 매월 높은 수준의 분배금을 얻을 수 있어 2024년 10월 15일 상장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많은 인기를 받고 있다. 상장 이후 8일 기준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795억원이다. 'TIGER 미국AI빅테크10 ETF 시리즈' 2종은 지난 6일 정기 리밸런싱으로 테슬라를 편입했다. ETF 기초지수인 ‘KEDI미국AI빅테크10 지수’는 시가총액으로 기업을 선정하던 기존 빅테크 관련 지수와 달리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등 재무지표를 기반으로 수익성 높은 AI 빅테크 종목만을 선별한다. 테슬라는 지난해 3·4분기 순이익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장률과 이익률을 기록한 대표 AI 빅테크 기업으로 새롭게 포함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이도선 매니저는 “TIGER미국AI빅테크10 ETF 시리즈는 단순 시가총액뿐만 아니라 기업의 매출 성장성까지 고려한 포트폴리오로, 현재 성장하고 있는 AI 빅테크 기업들에 선별적으로 투자 가능하다”며 “앞으로도 높은 성장성을 가진 종목이 새롭게 등장할 경우 분기 리밸런싱을 통해 적극 편입하는 등 미국 대표 AI 빅테크 기업들에 집중 투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1-09 10:35:34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산업 발전 전망과 투자법을 총망라한 'AI 투자 ETF 가이드북'(사진)을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1956년 첫 등장한 이래 세번의 겨울(침체기)를 맞이한 AI 산업은 현재 챗GPT, 생성형 AI 등으로 봄을 지나 가장 뜨거운 여름(호황기)으로 향하고 있다. 이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이해하고 AI 시대 투자의 지침이 될 수 있도록 가이드북을 제작했다. 'AI 투자 ETF 가이드북'은 AI 산업에 대한 트렌드와 산업의 발전 방향성 등을 상세하게 담고 있다.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 'TIGER 미국테크TOP10Indxx ETF' 등 총 16개의 국내 최대 AI 투자 ETF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16일 기준 총 순자산 규모는 약 7조 3548억원으로 국내 운용사 중 최대 규모다. 특히 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산업의 빠른 성장세에 발맞춰 다양한 TIGER AI 투자 ETF를 선보이고 있다. 올해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 'TIGER 미국AI반도체팹리스 ETF'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투자 성향에 맞게 ETF를 선택할 수 있도록 라인업을 확대했다. 옵션 매도 비중을 약 10%로 낮추고 AI빅테크 시장 상승에 약 90% 참여하는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로 AI 투자에 커버드콜을 접목한 ETF까지 새롭게 선보였다.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팀 정의현 팀장은 "빅테크 기업들의 LLM 성능 경쟁은 AI의 학습 수준을 급격히 향상시켰고, 이제는 실생활에 활용되는 디바이스에 AI가 탑재되는 시대" 라며 "내 손안의 AI를 활용할 수 있게 된 시대에 이번 가이드북은 AI 산업에 효과적으로 투자하는 안내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0-17 18:28:18[파이낸셜뉴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산업 발전 전망과 투자법을 총망라한 ‘AI 투자 ETF 가이드북’을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1956년 첫 등장한 이래 세번의 겨울(침체기)를 맞이한 AI 산업은 현재 챗GPT, 생성형 AI 등으로 봄을 지나 가장 뜨거운 여름(호황기)으로 향하고 있다. 이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이해하고 AI 시대 투자의 지침이 될 수 있도록 가이드북을 제작했다. ‘AI 투자 ETF 가이드북’은 AI 산업에 대한 트렌드와 산업의 발전 방향성 등을 상세하게 담고 있다.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 ‘TIGER 미국테크TOP10Indxx ETF’ 등 총 16개의 국내 최대 AI 투자 ETF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16일 기준 총 순자산 규모는 약 7조 3548억원으로 국내 운용사 중 최대 규모다. 특히 미래에셋자산운용은 AI 산업의 빠른 성장세에 발맞춰 다양한 TIGER AI 투자 ETF를 선보이고 있다. 올해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 ETF’, ‘TIGER 글로벌AI인프라액티브 ETF’, ‘TIGER 미국AI반도체팹리스 ETF’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투자 성향에 맞게 ETF를 선택할 수 있도록 라인업을 확대했다. 옵션 매도 비중을 약 10%로 낮추고 AI빅테크 시장 상승에 약 90% 참여하는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로 AI 투자에 커버드콜을 접목한 ETF까지 새롭게 선보였다.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팀 정의현 팀장은 “빅테크 기업들의 LLM 성능 경쟁은 AI의 학습 수준을 급격히 향상시켰고, 이제는 실생활에 활용되는 디바이스에 AI가 탑재되는 시대” 라며 “내 손안의 AI를 활용할 수 있게 된 시대에 이번 가이드북은 AI 산업에 효과적으로 투자하는 안내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0-17 08:43:45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거래소에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ETF는 타겟 데일리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인공지능(AI) 빅테크의 성장성을 따라가면서 높은 수준의 분배금을 추구하는 월배당 ETF다. 타겟 커버드콜 전략은 연간 목표 프리미엄을 타겟으로 옵션 매도 비중을 최소화해 기초자산의 상승 참여를 극대화하는 투자 전략이다. 해당 ETF처럼 옵션을 매일(데일리) 매도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다. 옵션 매도 비중을 약 10%로 낮추고, AI빅테크 시장 상승에 약 90% 참여한다. 월간 옵션 매도 방식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ETF'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성 측면에서도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ETF'에 비해 'AI'에 더욱 집중한다. 주가수익성장비율(PEG), 영업이익률(OPM), 평균매출성장률을 기반으로 수익성 높은 AI빅테크 종목만을 선별한다. 이를 통해 AI플랫폼, AI반도체, AI클라우드 3개 섹터의 대표 기업 10종목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편입 종목으로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이 있다. 기존 빅테크 ETF가 주로 편입하던 아마존, 테슬라, 어도비, 넷플릭스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매월 15일에는 분배금을 지급한다.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 등 매월 말일에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와 함께 투자할 경우 월 2회, 격주 배당 솔루션을 완성할 수 있다. 분배금 지급 주기가 격주로 분산되면 포트폴리오가 안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재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0-15 18:0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