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네이버, 사우디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1억 달러 규모

관련종목▶

사우디 정부 디지털 트윈 사업 수주..5년간 5개 도시

도시 계획 등에 활용.. 초대규모 AI 수출 기대감 높아

[파이낸셜뉴스] 네이버가 1억 달러(약 1350억원) 규모 ‘디지털 트윈 플랫폼’ 수출에 성공했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 첨단 기술로 무장한 ‘팀 네이버’가 아시아, 북미, 유럽에 이어 중동 지역까지 뻗어나간 것.

네이버, 사우디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1억 달러 규모
팀 네이버를 이끄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왼쪽 첫번째부터). 네이버 제공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MOMRAH)로부터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맡아, 수도 리야드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팀 네이버의 첫 대규모 중동사업이다. 네이버는 우리나라 및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간 지속적인 협업 기회를 발굴한다. 네이버랩스는 첨단 기술 고도화를, 네이버클라우드는 안정적인 클라우드 기술과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향후 5년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인 리야드를 비롯해 메디나, 제다, 담맘, 메카 5개 도시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3차원(3D)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를 도시 계획, 모니터링,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네이버 측은 “디지털 트윈은 장기적인 구축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도시 및 국가 단위의 인프라이자 플랫폼이다”라며 “AI, 로봇,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을 총망라해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네이버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법인 설립 및 중동 지역의 클라우드 리전(복수의 데이터센터)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의 초대규모AI 및 클라우드를 활용해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의 정책 현안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진행 중인 논의 역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 채선주 대외/ESG정책 대표는 “건설 플랜트 수출로 경제대국 대한민국의 초석을 다진 선배들의 노고와 땀의 가치를 깊이 새기고 있다”며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탄탄한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 2의 중동 수출 붐을 이끌어 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어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네이버가 IT 스타트업들의 중동 수출에 대한 다리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도 덧붙였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