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인구 대비 취업자의 비중을 나타내는 고용률이 외환위기 직전 수준을 아직도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선진국에 비해서도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생산가능 인구를 15∼64세(군인.교도소재소자 등 제외)으로 보고 계산한 고용률은 지난 해 59.8%로 전년의 59.3%보다는 다소 높아졌으나 지난 97년의 60.9%에 비해서는 낮았다.
연도별 고용률은 지난 98년 56.4%, 2000년 58.5%, 2001년 59.0%, 2002년 60% 등에 머물렀다.
경제성장으로 증가했던 고용률이 외환위기 이후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하고 있으나 여전히 환란 이전 수준에 못미치고 있는 것이다.
2003년 고용률은 한국이 63%로 미국 71.2%, 영국 72.9%, 네덜란드 73.6%, 일본 68.4%, 독일 64.6%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보다 대체로 낮았다.
한편 실업률은 한국이 3.5%로 독일 9.4%, 프랑스 9.3%, 미국 6.1%, 일본 5.4%, 영국 4.9% 등보다 낮았다.
재경부는 지난 해 여성 고용률이 48.3%로 남성의 72%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등 여성취업 부진으로 고용률이 낮게 평가되고 있다면서 보육제도 개선 등을 통해 여성인력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
dhlim@fnnews.com 임대환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