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으로 대규모 가축 매몰이 진행된 지역의 2차오염 방지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22일 현재 AI 발생지역은 5개 시·군, 17개 농가이며 약 533만2000수의 닭과 오리가 매립됐다.
환경부는 우선 매몰지 주변 지하수오염 영향정도, 침출수 및 악취 발생여부 등 환경 관리실태에 대해 긴급 조사에 착수했다.
환경부는 지방환경청에 주1회 주변지역 지하수를 채수, 분석하고 AI로 인한 지하수오염이 확인되면 관정폐쇄 및 비상급수체계를 구축토록 했다.
또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관리공단 등의 지하수, 악취관계자 및 전문가로 현장조사단을 구성, AI가 최초 발생한 김제 지역에 대한 침출수 및 악취 처리 등 환경관리 실태에 대한 긴급 조사를 실시했으며 지하수 등의 AI 바이러스 잔류 여부를 조사중이다.
아울러 매몰에 따른 장기적인 토양 및 지하수 환경오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달부터 매몰지역 토양, 지하수에 대한 오염 정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하수를 음용하는 살처분 매몰지역 주민의 먹는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급배수관로 465㎞ 및 정수, 배수시설 각1개소를 긴급 설치하기 위한 국고 498억원(6개 시군, 104개 마을)지원을 기획재정부 등에 요구했다.
환경부는 이와함께 매립시 사용하는 비닐규격, 생석회 살포 등 현행 ‘가축전염병예방법’의 매몰기준 및 환경오염 방지조치 규정을 보완하는 방안을 마련, 농수산식품부와 법개정을 협의할 예정이다.
/khchoi@fnnews.com최경환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