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고학력 청년 백수 전체의 54.5%

대학을 나왔지만 직업을 얻지 못한 청년 백수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또 노인들이 많아지면서 2036년에는 청·장년층 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일 내놓은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청년층(25∼29세) 가운데 경제 활동을 하지 않은 이들은 24만8000명에 이르렀다. 대졸 청년층 전체의 54.5%에 이르는 규모다.

고학력 청년 백수는 2004년 13만8000명(36.3%)에서 2005년 16만7000명(42.5%), 2006년 20만1000명(48.2%), 2007년 22만4000명(51.3%) 등으로 크게 불어나고 있다.

이는 대학진학률은 높아지는데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는 줄어든 데 따른 현상이다. 대학진학률은 1980년 27.2%에서 2000년 68.0%, 2004년 81.3%로 뛰더니 지난해에는 83.8%까지 치솟았다.

고령화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조사됐다. 2000년 노인 인구가 전체의 7%를 넘는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데 이어 2016년에는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2018년에는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서는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2026년에는 노인이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26년만에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것이다. 세계 최단 기록이다.

이에 따라 노인 부양을 위한 사회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노인 부양 비율은 지난해 14.3%였으나 2018년 19.7%, 2027년 32.6%, 2036년 48.9%로 늘어나게 된다. 지난해 15∼64세 인구 7명이 노인 1명을 돌봤다면 2036년에는 2명이 1명의 노인을 먹여 살려야 한다는 얘기다.

김대기 통계청장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비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령자와 여성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면서 “정년연장, 임금피크제 도입, 보육지원 강화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tar@fnnews.com김한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