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가장 큰 걸림돌인 배터리 문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김도경 교수팀은 ‘리튬망간산화물 미세나노선’ 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물질은 기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물질에 비해 100배 이상의 출력밀도를 나타내며 제조기법이 단순하고 공정비용도 저렴해 앞으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팀은 10nm(10억분의 1m) 미만 굵기의 미세나노선 구조를 대량 합성해 양극물질에 적용해 기존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100∼200배가량 높은 출력밀도를 나타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엔진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출력밀도에 근접한 수준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내연기관의 출력밀도에 훨씬 미치지 못해 중량이 많이 나간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