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우울증·간질·불면증 치료 중추신경계 기전 풀렸다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 간질, 불면증 등의 난치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중추신경계 핵심 기전을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KIST 신경과학센터 이창준 박사팀이 각종 정신질환의 원인을 규명하는 열쇠가 될 수 있는 중추신경계의 ‘지속성 가바(Tonic GABA)’ 분비 기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지에 게재됐다.

중추신경계는 중추신경계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인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중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의 경우 외부 자극 없이도 신경세포간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에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 가바가 가바 수용체와 결합해 활성화시키면 흥분과 억제가 몸에서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지속성 가바 분비에 문제가 생겨 전체적인 균형이 깨지게 되면 인체는 불균형과 과도한 흥분으로 인해 간질성 발작, 불면증, 운동성 소실 등의 이상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또 학습 및 기억, 운동조절능력 등 인체의 기본적인 기능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술을 많이 마시면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렵고 똑바로 걷기 힘든 이유는 흥분기능이 직접 증가되서라기보단 알코올에 가바 수용체의 활성이 증가돼 불균형이 초래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중추신경계의 지속성 가바 분비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지속성 가바 분비의 근원이 소뇌의 비신경세포인 ‘버그만글리아 세포(Bergmannglia)’이고 이 세포에 존재하는 특정한 음이온 채널인 베스트로핀을 통해 가바가 분비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버그만글리아 세포는 소뇌에 존재하면서 전체 뇌 조직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교세포(Glial Cell)의 일종이다.

이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가바 분비를 활성화하거나 막아버리는 결합 분자를 인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우울증, 간질, 불면증 등의 조절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kueigo@fnnews.com김태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