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신경외과 김상현 교수는 흉추부의 청소년 특발성 측만증으로 수술을 받으려다 키아리증후군이 발견된 13세 여아에게 흉강경을 이용한 흉추 측만증 교정 수술을 실시해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키아리 증후군 환자는 30~50%에서 경도의 측만증이 있고 이중 약16%가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이 환자에게 키아리증후군 치료보다 먼저 측만증 수술을 시행할 경우 소뇌가 경추 쪽으로 탈출하거나 당김이 심해져 사지마비, 호흡마비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키아리 증후군에 대한 후두부 감압술 및 경막확장술을 먼저 시행하고, 이후 안정기가 되면 측만증 수술(후방에서 나사못을 고정하여 교정 및 골유합술 시행)을 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원칙이다.
하지만 김상현 교수는 수술 전 시행한 영상 검사, 신경학적 검사, 뇌압측정을 토대로 후두부 감압술 및 경막확장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환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측만증에 대한 수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얻은 것이다.
이 수술은 갈비뼈 사이에 약 2cm정도의 절개선을 5~6개 정도 만들고 흉강경을 이용해 측만증을 수술하는 방법이다.
30~40cm의 절개를 해야 했던 기존 방법과 비교하면 △척추를 지지하는 인대, 근육, 관절의 손상 △수술 후 심한 통증 △긴 회복기간 △재원기간 연장 △큰 상처로 인한 미용상 문제 등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 짧은 분절의 교정으로 기존 수술방식과 같은 정도의 교정력을 얻을 수 있어 측만증 교정은 물론 정상 척추 분절을 더 많이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