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원조 소농사꾼 강기갑, “송아지 치사율에 주목해야”

소 농사꾼 강기갑 의원이 31일 구제역을 완전 종식시키지 못할 경우 “다음 세대 가축으로 넘어가면 국내 축산업 기반 회복이 어려워 진다”고 경고했다.

강 의원은 10여년 동안 소를 키운 농사꾼 출신으로 이번 구제역 사태를 수출을 위한 청정국 지위 회복의 문제가 아니라 축산 농가의 생명줄이 달린 문제로 보고 있다.

송아지와 어린돼지의 구제역 치사율은 각 50∼70%, 45%로, 아주 높기 때문에 구제역 사태가 장기화 되면 가축들이 세대를 거듭할 수록 ‘씨가 말라’ 축산업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 의원은 이날 발간한 구제역 종식을 위한 정책보고서에서 “이제부터가 더 큰 싸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정부가 구제역 ‘방역’에 초점을 맞추는 동안 구제역 ‘종식’을 위한 대책이 부족했다고 진단했다. 또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강조한 백신 정책에 대해서도 그 허와 실을 면밀히 따져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 의원은 “구제역 전염 지역의 경우 다음 세대로 넘어가면 가축이 절반까지 줄어들 수 있다”며 “또 그 다음 세대는 어떻겠는가? 거기서 또 절반으로 줄 수 있지 않나? 농가들이 애써 길러도 가축들이 언제 죽어 나갈지 모른다면 어떻게 마음놓고 축산을 하겠느냐”고 말했다.
구제역 상재국이 되면 축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토양 자체가 붕괴된다는 의미다.

강 의원은 백신 정책에 대해서도 “현재 세계적인 기술로도 100% 항체 생성은 불가능한데 그렇다면 백신 맞은 지역에 바이러스가 전염될 경우 감염되는 가축들이 나온다는 것”이라며 “백신 접종지역에서도 발생 즉시 대응을 철저히 해서 발생 정도를 점차 감소시켜 가는 방법 밖에 없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또 정부가 내놓은 ‘부분 살처분’ 방침은 “감염의 위험이 있는 가축들까지 방치해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위험이 크다”며 ‘조속한 종식’이 더 많은 가축들의 희생을 막는 길임을 강조했다.

/khchoi@fnnews.com 최경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