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對테러 비용 막막..끝나지 않은 9·11 체제

국제 테러 조직 알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은 죽었지만 그가 주도했던 '9·11 테러'로 바뀐 산업구조는 여전히 건재하다?

AP통신은 빈 라덴의 사망으로 지난 2001년 9·11 테러 이후 바뀐 산업구조가 다시 과거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항공과 기술, 선박안전, 금융 등의 부문에서 테러에 대비해 추가로 투자한 비용은 여전히 기업의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유가에 대해선 빈 라덴의 죽음으로 중동의 정정불안이 심화돼 유가가 오를 것이라는 의견과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테러 비용 부담 지속될 듯

우선 금융부문에선 9·11 테러 이후 제정된 '애국법'으로 인해 기업들의 비용 부담이 늘었으나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애국법에 따르면 금융기관들은 테러범의 돈세탁과 자금이동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애국법이 통과된 이후 지난 2002년 은행과 증권사 등이 내부보안 및 통제강화에 쓴 돈은 110억달러(약 11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01∼2004년 금융회사가 내부보안에 지출한 돈은 지난 2000년에 비해 연평균 60% 이상 많다.

항공산업에서도 9·11 테러 이후 공항 및 기내 테러방지를 위한 보안검색이 강화됐으나 지속될 전망이다. 과거 비행기 승객들은 간단한 절차를 거쳐 몸만 실으면 됐지만 이제는 장시간 철저한 검색을 받아야 한다. 비행기 탑승 전 신발을 벗고 정밀 보안검색을 받아야 하며 몸수색을 받기 싫으면 개인의 알몸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전신스캐너(알몸투시기)'를 통과해야 한다. 보안검색 강화로 검색을 받는 시간이 훨씬 길어져 불편을 겪는 승객들뿐 아니라 수익창출 문제로 항공사들도 울상을 짓고 있다.

기술산업에서는 더 정교한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정보기술(IT)이 테러 목표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에 기업들은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항구 보안산업은 밀수업자와 절도방지에서 이제 국제 테러 방지로 초점이 옮겨졌다. 컨테이너와 선적을 스캔하는 데 방사선과 감마선을 사용하고 보안 인원을 늘리면서 비용이 늘었다.

■유가 전망은 오락가락

다만 유가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빈 라덴 사망으로 유가가 오히려 더 오를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빈라덴 사망으로 테러 집단들이 빈 라덴 사망을 이유로 서구세계에 보복하면 유가불안이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구겐하임의 수석투자책임자 로라 타이슨은 "(빈 라덴의 죽음이) 유가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빈 라덴의 죽음 자체가 유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비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뉴욕대 경제학 교수인 누리엘 루비니는 "빈 라덴이 사망했다는 사실로 정치적 상황이 크게 바뀌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유가가 상승하는 것은 중국과 같은 신흥경제국의 원유수요 증가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에너지 부문에선 9·11 테러 이후 전력생산 공장과 에너지 운송망이 테러 공격목표가 되면서 보안비용이 급등했다.
보안비용 부담을 에너지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전가하면서 에너지 가격은 상승했다. 미 전략경제리서치의 회장인 마이클 린치는 특히 9·11 테러 이후 지난 10년간 유가가 급등했다고 지적했다. 빈 라덴이 주도했던 테러조직 알카에다가 중동에 위치한 정유공장과 원유 파이프라인 등을 공격해 공급을 방해할 것으로 우려됐기 때문이다.

/sjmary@fnnews.com서혜진기자 이효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