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첨단 우주항공기술이 집약된 국가보안시설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우주센터의 일부 지역에 첨단 보안시스템이 미비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예상된다.
나로우주센터 접경지역인 국립공원 등산로 주변에는 철조망과 폐쇄회로(CC)TV 등 단순 보안시설 등이 설치돼 외부 침입에 대비한 첨단 경비시스템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3일 교육과학기술부와 나로우주센터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999년부터 안전성과 발사각, 부지 확보 용이성 등 정밀조사를 거쳐 2001년 전남 고흥군 봉래면 외나로도 495만8700㎡(150만여평)에 센터 건립을 확정, 3314억원을 투입해 이듬해인 2002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2009년 6월 준공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 13번째 우주센터 보유국이 됐다.
정부는 나로우주센터에서 2009년과 지난해 우리나라 첫 우주로켓인 나로호(KSLV-Ⅰ)를 발사했으나 실패하자 현재 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에 나서 3차 발사를 준비 중이다.
이처럼 본격적인 우주항공시대를 열겠다는 정부 의지에 비해 나로우주센터의 각종 보안시설 확충 등은 인근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심의위원회와 인허가 협의, 대규모 부지 등 문제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나로우주센터는 지난해 보안 및 울타리 설치 예산으로 60억원가량을 배정받았으며 지난해부터 495만㎡ 부지의 울타리 설치작업에 착수했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또 국립공원 심의위원회와의 센터 인근 등산로 철조망 설치 등 각종 경비·보안시스템 설치를 위한 인·허가 협의가 시설 특수성 등 때문에 지난해 이뤄져 올 4월 완료 예정이던 각종 시설물 설치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센터 측은 이 때문에 전체 부지 중 주요 시설건물이 위치한 39만6000㎡(12만평 상당)와 해상국립공원 해변에는 열감지센서, 침입경보센서 등 첨단 보안·경계시설을 갖췄으나 센터 접경 등산로 지역은 CCTV와 철조망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육군 야간매복조 순찰과 청원경찰, 특수경비 인력 등을 통해 접경지역 '유인' 위주 보안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센터 측은 전했다.
센터 관계자는 "올 하반기 첨단시설 및 철조망 등이 완공되면 확실하게 24시간 감시가 가능하고 지금까지 등산로를 통해 센터 부지로 침입한 등산객은 없었다"면서도 "현재 상태로는 약간의 문제 발생 가능성은 있을 수 있다"고 털어놨다.
이 관계자는 "가장 우려되는 것은 발사체의 발사운영 시기"라며 "이 시기에는 발사와 관련된 각종 첨단장비 및 연료 등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인이 접경지역으로 접근하면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침입자가 CCTV에 포착되면 5분 내에 경비인력이 출동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지만 완벽을 기하기 위해 올 하반기까지 첨단시스템을 갖추도록 하겠다"며 "국방부, 국가정보원과 야외지역 등지에도 첨단센서를 설치하자는 논의가 진행됐다"고 전했다.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등산로 접경지역이라면 철조망에 감지기 등을 설치, 관제센터에서 확인이 가능토록 하면 시설보안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pio@fnnews.com박인옥 김태호기자
■사진설명=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에 나서 3차 발사를 준비 중인 나로우주센터는 올 하반기까지 외부 침입 등에 대비한 첨단시스템을 완비키로 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