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에서 자살 사망자 수가 최근 10년 새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사망률은 강남권과 비강남권이 현격한 격차를 보여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지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구 10만명당 사망률, 흡연율, 자살률 등을 분석해 29일 발표한 '서울시민 건강격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연평균 사망자는 2000년 566명에서 2009년에 394명으로 30.4% 줄었다.
자치구별로 사망률은 큰 편차를 보였다. 사망률이 낮은 구는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순이며 시내 424개 동별 사망률도 하위 10%에 속하는 동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 74%가량 집중됐다. 이에 비해 중랑구, 금천구, 동대문구, 강북구, 노원구 등의 순으로 사망률이 높아 강북지역과 저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일수록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망률이 가장 낮은 서초구는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사망자가 335명이고 가장 높은 중랑구는 469명으로 중랑구가 서초구에 비해 40%나 많다. 노원구, 강서구, 중랑구, 관악구, 은평구, 동대문구, 성북구, 강북구는 연간 사망자 수가 400명을 넘는다.
사망 원인별로는 폐암, 위암, 간암, 허혈성심질환, 뇌혈관질환, 만성하기도질환, 사고 등으로 이들 질환에 따른 사망자 수는 줄었다.
하지만 자살 사망자 수는 2000년 11.3명에서 2009년 24.8명으로 2.2배 수준으로 늘었다.
남녀 성인(30~64세)의 교육 수준별 사망률(대졸 이상 중졸 이하)은 남자의 경우 2000년 595명에서 2010년 672명으로, 여자도 같은 기간 141명에서 251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서울시는 지역별 건강격차 해소를 위해 취약지역에 도시보건지소 사업을 우선 지원하고 사망률이 높은 지역에 대한 보건사업 지원 예산을 반영하기로 했다.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실시하는 암검진 사업에 저소득층이 참여하는 비율을 높이도록 독려해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고 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관리를 현재 보건소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대사증후군 관리사업'과 연계해 확대하기로 했다.
김서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