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18대 대선] 安측 인사 끌어안기 나선 文.. '화학적 세력 결합'이 숙제

문재인 캠프와 안철수 캠프의 인적·정책적 연대가 진정한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를 위한 키워드로 떠올랐다. 양측이 어느 선에서 인적·정책적 연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따라 대선정국이 다시 한번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전문가들은 안 전 후보측 인사들의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합류 여부 및 국민연대 구성방식, 정책협상팀의 공동합의문 발표 및 내용이 양측 간 인적·정책적 연대 수준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단일화 룰 협상에서 갈등의 골이 깊어져 양측 간 인적연대는 난항이 예상되는 반면 정책 공동합의문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간 정책연대는 순항할 것으로 전망된다.

■난항 예상되는 '인적연대'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측은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가 후보 사퇴를 발표한 직후부터 안 캠프 측에 적극적인 구애의 신호를 보내고 있다. 문 캠프 내에서 안 캠프와의 유기적 결합을 염두에 두고 제2의 '대통합 선대위' 구성과 같은 전면적인 조직 재정비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도 적극적인 구애의 일환이다.

이처럼 문 후보 측은 '양 세력 간 아름다운 결합'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캠프 선대위원장단이 지난 24일 총사퇴를 하고 26일에는 선대위의 '입'을 담당할 공보단이 일부 개편되면서 안 전 후보측 인사들이 향후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비워뒀지만 안 전 후보측 인사들은 정중동 속에 안 전 후보의 정치적 행보를 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안 전 후보의 정치적 행보에 따라 인적통합의 명암이 갈릴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문 후보 선대위원장으로 거론되는 안 후보측 인사는 송호창·김성식·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이다. 하지만 안 전 후보가 정치를 계속하겠다고 한 만큼 캠프 중심세력은 언제든지 정치세력화할 수 있도록 안 전 후보 진영에 그대로 남아 있을 가능성도 높다.

아울러 단일화 과정에서 양측의 앙금이 해소되지 않은 점과 자칫 문 캠프 쪽으로 흡수통합되는 모양새가 될 경우 안 캠프 인사들의 반발도 예상돼 이래저래 양 세력의 '유기적 화합'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단일화' 각론서 이견

난항에 빠졌던 단일화 협상과 달리 양측의 정책 단일화 작업은 큰 틀에서 비교적 순항해왔다. 안 후보의 급작스러운 후보 사퇴 선언이 단일화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는 우려감이 높아지면서 정책적 연대에 거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양측이 가치와 정책 연대를 표방한 점을 고려하면 정책 단일화가 어떤 방식으로든 공식적으로 표명돼야 단일화 효과를 정상 궤도에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일단 단일화 협상과 별도로 진행된 경제복지정책팀과 외교통일안보정책팀 협상팀은 현재 공동정책합의문 초안을 마무리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다만 재벌 개혁과 금융감독기구 개편 그리고 안보정책 등 정책 각론에서 다소 이견을 빚으면서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내용과 관련한 양측의 말을 종합해 보면 경제복지정책팀에서 논의 중인 경제민주화정책 관련 재벌 개혁과 금융감독체계 개편의 구체적인 내용에서 약간의 의견차가 있고, 외교통일안보정책팀이 담당하는 안보정책 분야에서는 정책 방향을 잡는 과정에서 시각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재벌 개혁은 소유지배구조 개혁과 관련, 안 후보 측이 주장한 계열분리명령제를 최종 합의문에 넣을지가 관건이다. 금융감독체계 개편의 경우 양측은 금융감독기능과 정책기능을 분리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금융시장(영업행위)과 금융건전성 감독 기능을 통합할지 아니면 분리할지를 놓고 여전히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안보정책과 관련, 문 후보 측 관계자는 "안 후보 측에서 현 정권과 비슷하게 다소 강경한 안보정책을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relee@fnnews.com 이승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