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현오석 “저축銀 출금 고의성 없어”..황교안 “아들 전세금 증여세 낼것”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조각을 완료한 지 하루 만인 18일 장관 내정자들에 대한 의혹이 백화점식으로 속속 제기되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지난 13일 첫 발표된 6개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 일부 부적격 판정을 내린 상태다. 민주당이 현미경 검증을 예고하고 나서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야 간 전운이 감돌고 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는 저축은행 사태가 불거지던 2011년 말 솔로몬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기 전 2억원의 예금을 인출한 점이 문제시되고 있다. 현 내정자 측은 이에 대해 "2011년 솔로몬저축은행과 경기솔로몬저축은행에서 2억원을 출금한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그러나 "당시 저축은행 사태와 관련 없이 2개 구좌는 2011년 4월과 10월에 각각 만기가 돼 예금 만기에 따라 출금한 것이며, 같은 해 7월에는 반포 아파트 구매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1개의 구좌를 추가로 인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 내정자는 2005년 7월 당시 25세이던 장녀에게 16억원 상당의 아파트를 증여하면서 담보대출을 받는 편법을 동원해 증여세 일부를 탈루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를 둘러싼 의혹도 꼬리를 물고 있다. 김 내정자는 장관 후보로 내정된 후 1986년 부인 및 당시 8세이던 장남 명의로 매입한 경북 예천군 임야(21만여㎡)에 대한 증여세를 27년 만에 '지각 납부'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도 재산 문제가 불거졌다. 민주당 서영교 의원은 황 내정자가 경기 성남지청장 등으로 재직하던 당시 연말정산에서 배우자에 대한 부양가족 기본공제 신청을 한 것이 이중소득공제여서 소득세법을 위반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또 "황 내정자의 장남이 2011년 7월 군 제대 후 KT에서 근무를 시작했고, 1년여 만인 지난해 8월 서울 잠원동의 한 아파트를 3억원에 전세 계약했는데 연봉 3500만원의 10배에 해당한다"며 전세자금을 황 내정자가 불법 증여하지 않았는지 의심했다. 이에 대해 황 내정자는 "자립을 위한 교육 차원에서 3억원을 대여한 뒤 차용증을 작성하고 금년 2월까지 매달 이자를 받았지만 인사청문 과정에서 오해 소지가 있어 증여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병역면제도 청문회장을 달굴 것으로 보인다. 이동필 농림축산부 장관 내정자도 대학생 시절 폐결핵에 걸려 면제 판정을 받아 청문회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이 내정자는 이에 대해 "신체검사에서 폐결핵 판정을 받아 깜짝 놀랐다"며 "이후 요양하며 군대에 가려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고 밝혔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