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통 등 특수목적으로만 이용되던 오차 1m급 고정밀위치(DGPS) DMB전송기술이 이르면 내년부터 일반인들에게도 제공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정부 3.0 실현을 위한 정밀위치정보의 대국민 공개방안'을 10일 열린 국무회의에 보고한다고 9일 밝혔다.
해수부에 따르면 DGPS는 그동안 선박항해, 연구, 측량 등 특수목적으로 쓰기 위해 해수부가 전국 17곳에 기준국을 세웠다. GPS오차 범위는 1m 안팎이다.
하지만 고가의 수신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사실상 사용하기 힘들었다. 해수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년에 걸쳐 DMB 전파에 DGPS 정보를 실어 보내는 기반기술을 연구해 최근 개발을 끝냈다.
해수부는 "일반인들도 이르면 내년부터 별도 수신기 없이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D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국과 업무협약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 해결해야할 난관도 있다. 우선 단말기에 기존의 GPS칩 대신 멀티칩을 장착해야하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스마트폰·내비게이션 단말기 제조사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해수부는 차기 생산 단말기 모델부터 탑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지방 소도시나 해상과 같이 DMB 수신이 어려운 곳을 위해 등대 등에 DMB 중계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방송사와 협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일반 이용자의 DGPS 정보 콘텐츠 활용을 끌어올리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앱)의 개발도 추진할 방침이다. 해수부 산하 위성항법중앙사무소 기술지원 센터(042-824-0941)는 이 같은 앱 개발 업체를 지원한다.
해수부 임현철 해사안전국장은 "1m급 위치정보 제공은 개인용 내비게이션, 안전서비스, 위치추적 등 위성위치 측정시스템 응용시장 분야의 정확도 한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것"이라며 "향후 관련 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