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암환자의 12%는 항암 치료 후에도 영구적인 탈모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강형진·피부과 권오상 교수·최미라 전임의 연구팀은 2011년 1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항암치료를 동반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 159명과 건강한 일반인 167명을 대상으로, 탈모 현황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159명의 환아 모두 항암 치료 후 탈모를 겪었다고 16일 밝혔다. 탈모증은 항암치료를 시작한지 평균 1.5개월 후부터 발생했으며 항암치료 종료 후 평균 2.2개월까지 지속됐다.
전체 환아의 67%는 항암치료 전에 비해 모발 밀도가 줄었고, 58%는 모발색이 변했으며, 78%는 머리 질감이 변했다.
환아의 모발이 회복되더라도, 모발의 밀도와 두께가 건강한 어린이에 비해 각각 15%, 5% 낮았다.
또 전체 환아 중 12%(19명)는 항암치료 종료 후에도 탈모가 회복되지 않는 영구적인 탈모를 겪었다. 영구적인 탈모란 항암치료가 종료 된지 6개월 이 지났어도 기존 모발의 75% 이상이 손실돼 회복되지 않거나 미용적으로 가발을 써야하는 상태이다.
특히 항암치료를 동반한 조혈모세포이식을 어린 나이에 받을수록, 티오테파 항암제를 사용할수록 영구적 탈모 발생 위험률이 높았다.
권오상 교수는 "나이가 어릴수록 모낭줄기세포가 가소성은 뛰어나나 손상에 취약할 수 있다"며 "또 줄기세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주변의 치밀 이음의 촘촘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또 티오테파 항암제는 DNA복제를 억제해 세포분열을 방해하는 알킬화 항암제제이므로 상대적으로 모낭줄기세포군에 큰 손상을 준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로 항암유발탈모의 발생을 예측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고 말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백혈병, 악성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등 혈액종양환자에게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와 함께 암세포와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조혈모세포를 이식해 주는 치료법이다.
이번 연구는 피부과학 임상분야 권위지인 미국피부과학회지(IF=4.906) 12월호에 게재됐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